5년 새 먹거리 물가 22.9% 상승…빵·과일·커피 '고공행진'
경제·산업
입력 2025-10-08 08:25:40
수정 2025-10-08 08:25:40
이혜연 기자
0개

[서울경제TV=이혜연기자] 최근 5년간 먹거리 물가가 20% 넘게 치솟으며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지수는 2020년 9월 대비 22.9% 상승했다.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16.2%)보다 약 7%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품목별로 보면 과일(35.2%), 우유·치즈·계란(30.7%) 등은 5년 전보다 30% 이상 올랐다. 빵(38.5%), 케이크(31.7%), 떡(25.8%), 라면(25.3%) 등도 크게 오르면서 빵 및 곡물류 전체 상승률은 28.0%에 달했다. 과자·빙과류·당류(27.8%) 역시 높은 상승 폭을 보였다.
고춧가루·참깨 등 기타 식료품(21.4%), 육류(21.1%), 어류 및 수산물(20.0%)도 평균을 밑돌긴 했지만 모두 20% 이상 상승했다.
비주류 음료 중에서는 커피·차·코코아(38.2%)가 가장 많이 올랐고, 생수·청량음료·과일·채소주스도 22.7% 상승했다. 반면 주류 및 담배 물가 상승률은 5.0%로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주류만 따로 보면 13.1%에 달했다.
연도별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 상승률은 △2020년 4.4% △2021년 5.9% △2022년 5.9% △2023년 5.5% △2024년 3.9%로, 5년 내내 높은 상승세를 이어왔다.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각각 △0.5% △2.5% △5.1% △3.6% △2.3%였다.
생활과 밀접한 품목들도 전반적으로 높은 물가 상승을 기록했다. ‘음식 및 숙박’ 부문은 24.8% 올라 가장 큰 폭을 보였으며, 이 중 외식비를 뜻하는 ‘음식 서비스’는 25.1% 상승했다. 이는 식료품 원재료 가격 상승이 외식비에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비누·샴푸·미용료 등이 포함된 ‘기타 상품 및 서비스’는 24.1% 상승했고, 세제·청소용품 등 생활용품과 가사 서비스 비용을 포함한 ‘가정용품 및 가사서비스’는 19.4% 올랐다.
전월세와 공공요금 등이 포함된 ‘주택·수도·전기 및 연료’는 16.7%, ‘의류 및 신발’은 16.2%로 평균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반면 ‘교통’ 물가(15.9%)는 평균보다 낮았으며, ‘오락 및 문화’(9.5%), ‘교육’(8.8%), ‘보건’(6.2%)은 상승 폭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통신비는 0.2% 하락해 주요 품목 중 유일하게 물가가 낮아졌다. /hy2e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15억 초과 거래 다시 늘었다…비강남 한강벨트 '갭투자' 몰려
- 현대차·기아 RV, 역대 최다 판매 눈앞…하이브리드 성장 견인
- 금값, 사상 첫 온스당 4000달러 돌파…"글로벌 불안에 안전자산 쏠림"
- AI 이어 양자까지…구글, 2년 연속 노벨상 수상자 배출
- 케이팝 데몬 헌터스 OST, 빌보드 2관왕…'골든' 8주째 1위
- 추석 6일째, 귀경길 일부 정체…오후 5~6시 절정
- WTO, 내년 세계 무역 성장률 0.5%로 대폭 하향…"트럼프 관세 여파"
- 4년 새 건설근로자 19만 명 감소…"경기 회복해도 인력난" 우려
- 美 이어 EU도 철강 장벽 강화…韓 수출길 더 좁아진다
- 테슬라, 모델Y·3 저가형 출시…시장 반응 '냉담'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15억 초과 거래 다시 늘었다…비강남 한강벨트 '갭투자' 몰려
- 2현대차·기아 RV, 역대 최다 판매 눈앞…하이브리드 성장 견인
- 3금값, 사상 첫 온스당 4000달러 돌파…"글로벌 불안에 안전자산 쏠림"
- 4AI 이어 양자까지…구글, 2년 연속 노벨상 수상자 배출
- 5케이팝 데몬 헌터스 OST, 빌보드 2관왕…'골든' 8주째 1위
- 6추석 6일째, 귀경길 일부 정체…오후 5~6시 절정
- 7WTO, 내년 세계 무역 성장률 0.5%로 대폭 하향…"트럼프 관세 여파"
- 84년 새 건설근로자 19만 명 감소…"경기 회복해도 인력난" 우려
- 9美 이어 EU도 철강 장벽 강화…韓 수출길 더 좁아진다
- 10테슬라, 모델Y·3 저가형 출시…시장 반응 '냉담'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