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4000보만 걸어도 사망위험 40%↓…빈도보다 ‘걷는 양’이 중요

경제·산업 입력 2025-10-25 08:00:11 수정 2025-10-25 08:00:11 김민영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美 연구팀, 노년 여성 11년 관찰
"많이 걸을수록 사망 위험 낮아"

[사진=게티이미지]

[서울경제TV=김민영 인턴기자] '얼마나 자주 걷느냐'보다 '얼마나 많이 걷느냐'가 건강에 더 중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노년 여성에 대한 연구에서 주 3회 하루 4000보 이상 걸을 경우 사망 위험이 40%까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미국 하버드 의대 브리검 여성병원 리쿠타 하마야 박사팀에 따르면, 노년기 여성 1만3000여 명을 대상으로 하루 걸음 수와 심혈관 질환 및 사망 위험 간 관계를 추적 관찰한 연구에서 이런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노년 여성의 경우 주 1~2회라도 하루 4000보 이상 걸으면 사망 및 심혈관 질환 위험이 감소했고 걸음 수가 많을수록 효과가 컸다며 걷기 패턴과 관계 없이 하루 걸음 수가 많을수록 건강상 이점도 크다는 점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많은 연구에서 활발한 신체활동이 건강수명 연장에 중요하다는 게 확인되고 있지만, 나이가 들수록 얼마나 많은 신체활동을 해야 하는지, 건강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신체활동 수준은 얼마인지 아는 것도 중요하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심혈관질환과 암 진단 이력이 없는 여성 1만 3547명(평균 나이 71.8세)을 대상으로 하루 걸음 수와 심혈관 질환 및 사망 위험 간 관계를 평균 11년간 추적 관찰했다.

참가자들은 2011~2015년 7일간 가속도계를 착용해 걸음 수를 측정했다. 추적 관찰이 이루어진 2024년까지 사망자는 1765명(13%), 심혈관 질환 진단을 받을 사람은 781명(5%)이었다.

분석 결과 하루 4000보 이상을 걷는 날이 1주일에 3일 이상인 그룹은 하루도 안 되는 그룹에 비해 전체 사망 위험이 40% 낮았고, 1~2일인 그룹도 사망 위험이 26%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도 하루 4000보 이상 걷는 날이 1~2일인 그룹과 3일 이상인 그룹 모두 하루도 4000보 이상 걷지 않는 그룹보다 27% 낮았다.

또 하루 평균 걸음 수가 5000보 이상인 경우 사망 위험이 30% 내외, 6000~7000보 이상인 경우 32~40% 정도 낮아지는 등 걸음 수가 많을수록 사망 위험이 조금씩 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팀은 "이 연구는 주 1~2회라도 하루 4000보 이상 걸으면 사망 위험과 심혈관 질환 위험이 낮아진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이는 걷기 빈도보다는 걸음 총량이 노년층 건강에 더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결과가 시사하는 실제적 의미는 더 좋거나 가장 좋은 걷기 패턴이 따로 있는 게 아니라 걸음 총량이 건강의 핵심 요인이라는 점"이라며 "자기에게 맞는 형태로 신체활동을 하면 사망과 심혈관 질환 위험을 낮출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melissa6888@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