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C 전환 가속에 중소 부품업계 ‘생존위기’…“속도보다 수용성 고려해야”

경제·산업 입력 2025-11-01 08:00:06 수정 2025-11-01 08:00:06 이혜란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제44회 자동차모빌리티산업발전포럼 개최
‘미래차 전환기 대응과 산업 지속 성장 전략’ 논의

[사진=뉴스1]

[서울경제TV=이혜란기자] 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는 29일 ‘미래차 전환기 대응과 자동차 산업의 지속 성장 전략’을 주제로 제44회 자동차모빌리티산업발전포럼을 열었다. 

이번 포럼은 미국발 관세 부담, NDC(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 이행, 노란봉투법 시행 등 복합 위기 속에서 국내 자동차산업의 구조적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강남훈 회장은 개회사에서 “정부의 2035년 수송부문 NDC 목표는 부품업계에 구조적 충격을 줄 수 있다”며 “국내 부품기업의 95% 이상이 중소·중견기업이고, 이 중 절반 이상은 매출의 10% 미만만 미래차 분야에서 나오고 있어 급격한 내연기관 퇴출은 현실적이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수송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은 현실적인 목표 설정과 함께 실현 가능한 접근이 필요하며, 하이브리드차를 비롯한 다양한 전동화 기술과 탄소중립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차 활용 등 과도기적 대안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원호 라이카그룹 R&D센터장은 첫 번째 주제발표에서 “국내 부품기업의 76.5%가 전체 매출 중 미래차 비중이 10% 미만”이라며 “50% 이상이 적자 상태로, 전환기 ‘골든타임’을 확보하지 못하면 산업 붕괴가 불가피하다”고 경고했다. 그는 생산량 비례형 인센티브 도입, R&D 현금 지원체계 전환, ‘미래차 특별법’ 조속 시행 등을 제안했다.

이어 조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보조금 재원 한계와 가격 경쟁력 문제로 2030년 전기차 450만대 목표 달성은 사실상 어려울 것”이라며 “EU·일본·미국처럼 생산비용 절감을 위한 연구개발, 차세대 배터리·연료전지 기술 개발, 국내 공급망 구축 전략이 필요하고, 국내 생산 여건 개선(국내 생산 보조금 및 세제 지원, 생산방식 혁신과 투자 지원)도 병행되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패널토론에서는 천서형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이 “중국은 정부의 강력한 지원과 빠른 기술 혁신을 바탕으로 전기차·배터리·AI 중심의 글로벌 기술 표준 형성자로 부상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과열 경쟁을 통제하며 품질을 중시하는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유럽 등에서 ‘조용한 침투 전략’을 통해 신뢰 기반의 확산을 추진하며, 기존의 속도 경쟁에서 구조 중심의 경쟁으로 전환하고 있다”이라고 분석했다. 

이상희 한국공학대 교수는 “미래 모빌리티 분야 연구직에 한정한 근로시간 유연화 등 산업 맞춤형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안했으며, 오윤석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단장은 “2·3차 중소 부품사의 생존을 위해 완성차-1차-2차 협력체계를 기반으로 한 ‘핀셋식 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업계는 이번 논의를 계기로 현실적인 NDC 목표 설정과 미래차 전환 속도 조절이 병행돼야 한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ran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이혜란 기자

rann@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