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 죽음 부르는 층간소음, 신기술 외면하는 건설사들

“위층에서 쿵쿵 뛰는 애 때문에 시끄러우면 올라가서 아이스크림이라도 사주면서 애 얼굴도 보고 이름도 물어보라.” 故 신영복 성공회대 교수가 제시한 층간소음 해결책이다. 그가 이렇게 말한 이유는 ‘아는 애가 뛰면 덜 시끄러워서’다. 평화롭고 정감 가는 방법이지만, 세상은 그렇지 못하다.
층간소음은 불편함을 넘어 사회적 골칫거리가 됐다. 실제 지난해 관련 기관에 접수된 층간소음 전화상담 건수는 2만8,000건을 넘었다. 전년보다 24%가량 늘었다. 층간소음을 견디다 못해 이웃을 찾아 흉기를 휘둘렀단 소식은 단골 뉴스거리다. 내 집 천장에 우퍼 스피커를 달아 윗집 바닥을 울리는 ‘층간소음 보복스피커’도 인기다.
바닥 울리는 소리 말고도 스트레스를 주는 소음이 있다. 윗집 화장실에서 나는 물소리다. 아침저녁으로 이웃의 샤워하는 소리, 변기 물 내리는 소리를 듣는 것은 고역이다. 원인은 ‘층하배관’이다. 국내 아파트 화장실 대부분은 아랫집 천장에 배관이 묻혀있다.
최근 내 집 벽면이나 바닥에 배관을 설치하는 ‘층상배관’이 주목받는다. 층상배관은 물소리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문제는 건설사들이 비용이 더 들고, 시공이 까다롭단 이유로 층상배관을 모든 사업장에 적용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층상배관을 설치한 아파트 단지의 공통점은 하나다.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 조합이 ‘갑’이 돼 시행사로 나서는 경우다. 최근 강남 개포지구에 재건축 단지를 분양한 한 건설사 관계자는 “조합원이 원하는 경우가 아니면 굳이 층상배관을 적용할 이유는 현재까지 없다”고 말했다.
특히 아파트 4,000여가구가 들어설 세종시의 한 생활권에선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공모지침서에 층상배관 사용을 명시했으나, GS건설 등 일부 시공사의 반대로 적용이 무산된 경우도 생겼다. 한 사업장에서 적용하지 않자 나머지 세 곳도 층상배관 대신 층하배관을 쓰기로 했다.
윗집 아이에게 아이스크림을 건네고, 이웃의 멱살을 잡고, 스피커를 설치하는 방법으론 층간소음을 해결할 수 없다. 해법은 간명하다. 집을 짓는 건설사가 바닥을 두껍게 만들고, 층간소음 저감 설계를 사업장 가리지 않고 적용하는 것이 답이다. /유민호기자 you@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대박땅꾼의 땅땅땅] 왜 토지투자를 할까? 목표에 따라 전략이 달라진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토지투자의 원리, 정부 정책을 따라간다
- [이지연의 스마트 스피치] 자발적 IR커뮤니케이션 활동의 필요성과 효과
- [대박땅꾼의 땅땅땅] 토지투자의 원리, 사람에 투자한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토지투자의 원리, 1시간에 투자한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무모한 도전이 될까, 위대한 도전이 될까?
- [대박땅꾼의 땅땅땅] 꼼꼼히 준비해야 하는 지목변경
- [대박땅꾼의 땅땅땅] 기획부동산을 조심하자
- [기고] 국가인재생태계 개혁 없다면, 대한민국 미래는 없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3,000만 원짜리 토지 투자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영남이공대, 지역연계 신산업 진로체험 프로그램 성과평가회 개최
- 2영덕군, 2026년 어촌신활력증진사업 공모 선정
- 3영덕군, 2025·26 산불 감시원 발대식 개최
- 4영덕군, 영덕도예문화체험장 본격 개장
- 5계명문화대, 우즈베키스탄 KOICA 직업훈련원과 직업교육 협력 강화
- 6영남대, ‘국내 TOP5’ 연구력 입증…라이덴랭킹 2년 연속 쾌거
- 7iM뱅크(아이엠뱅크), 2025 을지연습 평가결과 ‘최우수 기관’ 선정
- 8KT&G 대구경북본부, 대구대에 지역 인재 양성 위한 장학금 기탁
- 9강대식 의원, '장생탄광 강제동원 진상규명 및 희생자 지원에 관한 특별법' 대표발의
- 10수성구, ‘내일을 키우는 힘, 저출생 시대 길을 찾다’. . .저출생 대응 포럼 개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