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값 약세…은행 전세자금대출 증가세 둔화세 이어져

전셋값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전세자금대출 증가세 둔화 현상이 지속하고 있다.
14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KEB하나·NH농협은행의 지난달 말 전세자금대출 잔액은 68조4,901억원으로, 3월말에 견줘 2.0%(1조3,371억원) 늘었다. 전세자금대출의 전월 대비 증가율은 앞선 3월에 2.0%로, 2017년 5월의 1.9% 이후 23개월 만에 최저를 기록한 데 이어 4월에도 재차 낮은 수준을 보였다.
전년 동월과 비교해도 증가세 둔화 추세는 마찬가지다.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이 올 2월 38.2%로 40% 미만으로 떨어진 이후 3월 35.9%, 4월 34.3%로 하락 추세다. 전세자금대출 증가세 둔화는 지난해 9·13 대책 이후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고 전세 물량도 많이 나옴에 따라 전셋값 하락세가 이어진 영향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수도권의 주택 전셋값은 월간 기준으로 지난해 11월 마이너스로 돌아선 이후 4월까지 6개월째 하락세를 이어오고 있다. 특히 하락률이 올해 들어 1월 -0.28%, 2월 -0.30%, 3월 -0.32%, 4월 -0.34%로 확대되는 추세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만 보면 지난해 10월 29일부터 이달 6일까지 28주째 내림세다. 국민은행 부동산 플랫폼 ‘KB부동산 리브온’이 집계한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은 작년 11월에 59.6%로 60% 벽이 무너진 후 올 4월 59.3%로 계속 떨어지고 있다.
단, 전월세 거래는 증가세로 돌아섰다. 서울시의 서울부동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4월 서울 아파트 전월세 거래 신고 건수는 1만4,848건으로 전년 동월보다 9.3% 증가했다. 3월에는 전년 동월 대비로 5.1% 감소한 바 있다.
9·13 대책에 포함된 전세자금대출 규제도 전세자금대출 ‘옥죄기’에 일조했다. 정부는 1주택자는 부부합산 소득 1억원까지만 공적 보증을 제공하고, 2주택 이상은 아예 공적 보증을 제한했다. 공적 보증이 없으면 은행에서 대출을 해주지 않으므로 사실상 전세자금대출 대상자를 소득이 1억원 이하인 1주택자로 한정한 셈이다. /이아라기자 ara@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주가조작 합동대응단 출범…'원스트라이크 아웃' 도입
- 업비트·빗썸, '코인 대여' 논란…"규제 사각지대" 우려
- 오너 리스크 불거진 하이브…주가도 '급제동'
- "고령층이 핵심 고객"…KB금융, 시니어 사업 고도화
- 농협중앙회, 재해대책위 개최…여름철 재해대응 500억원 긴급 편성
- 농협경제지주, 일본 쌀·쌀가공식품 수출 확대 박차
- 이니텍, '제로트러스트' 미래 보안 전략 세미나 개최
- 기업지배구조보고서 공시 대상, 내년 코스피 상장사 전체로 확대
- 금융위, 삼성·한화·미래에셋 등 7곳 금융복합기업집단 지정
- 심플랫폼, HDC현산에 ‘AI 온열질환 대응 플랫폼’ 공급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대구파티마병원, 자원순환가게 ‘Eco Shop’ 오픈식 개최
- 2대구가톨릭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최태영 교수, '도망쳐도 괜찮아' 번역 출간
- 3영남대병원 대구금연지원센터, ‘2025년 대구광역시 금연사업 협력 워크숍 및 컨설팅’ 개최
- 4영남대 의과대학-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기술교류 세미나 성료
- 5영남대병원, 경북-캄보디아 핵심의료인력 역량강화 연수기관으로 참여
- 6영남대병원 조찬호 교수, 유럽안과학회 최우수 포스터에 선정
- 7영남대의료원, 2025년 ‘KOICA 글로벌연수사업’ 수행기관 선정
- 8강대식 의원, 헌법의 가치 회복 및 외국인 투기 차단 위한 민생 법안 2건 대표발의
- 9경북대병원, ‘지역의료 연구역량 강화 사업’ 선정
- 10경북대병원, ‘협력병원 실무자 교육세미나’ 성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