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값 약세…은행 전세자금대출 증가세 둔화세 이어져

전셋값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전세자금대출 증가세 둔화 현상이 지속하고 있다.
14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KEB하나·NH농협은행의 지난달 말 전세자금대출 잔액은 68조4,901억원으로, 3월말에 견줘 2.0%(1조3,371억원) 늘었다. 전세자금대출의 전월 대비 증가율은 앞선 3월에 2.0%로, 2017년 5월의 1.9% 이후 23개월 만에 최저를 기록한 데 이어 4월에도 재차 낮은 수준을 보였다.
전년 동월과 비교해도 증가세 둔화 추세는 마찬가지다.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이 올 2월 38.2%로 40% 미만으로 떨어진 이후 3월 35.9%, 4월 34.3%로 하락 추세다. 전세자금대출 증가세 둔화는 지난해 9·13 대책 이후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고 전세 물량도 많이 나옴에 따라 전셋값 하락세가 이어진 영향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수도권의 주택 전셋값은 월간 기준으로 지난해 11월 마이너스로 돌아선 이후 4월까지 6개월째 하락세를 이어오고 있다. 특히 하락률이 올해 들어 1월 -0.28%, 2월 -0.30%, 3월 -0.32%, 4월 -0.34%로 확대되는 추세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만 보면 지난해 10월 29일부터 이달 6일까지 28주째 내림세다. 국민은행 부동산 플랫폼 ‘KB부동산 리브온’이 집계한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은 작년 11월에 59.6%로 60% 벽이 무너진 후 올 4월 59.3%로 계속 떨어지고 있다.
단, 전월세 거래는 증가세로 돌아섰다. 서울시의 서울부동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4월 서울 아파트 전월세 거래 신고 건수는 1만4,848건으로 전년 동월보다 9.3% 증가했다. 3월에는 전년 동월 대비로 5.1% 감소한 바 있다.
9·13 대책에 포함된 전세자금대출 규제도 전세자금대출 ‘옥죄기’에 일조했다. 정부는 1주택자는 부부합산 소득 1억원까지만 공적 보증을 제공하고, 2주택 이상은 아예 공적 보증을 제한했다. 공적 보증이 없으면 은행에서 대출을 해주지 않으므로 사실상 전세자금대출 대상자를 소득이 1억원 이하인 1주택자로 한정한 셈이다. /이아라기자 ara@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신재생株, 정책 기조에 수혜 기대…"원전보다 신재생"
- LS증권 "SK하이닉스, QLC 비중 높아 삼성전자 대비 상승"
- 빗썸, 창립 12주년 맞아 원화마켓 200종 거래 수수료 '0원'
- 신한카드, 위기브와 고향사랑기부금 캐시백 이벤트 진행
- 13개월만에 '8만전자' 회복…개미 팔고 외인 담고
- 농협도 가세…은행권, 자산관리 경쟁 치열
- 보험사, 킥스 반짝 개선…기본자본 규제 압박은 커져
- 롯데카드, 297만명 고객정보 유출…대국민 사과
- 증시 활황에 IPO 시장 화색…대형 증권사 쏠림 심화
- SK증권, '한국 1형 당뇨병 환우 지원' 위해 임직원 기부금 전달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대구한의대, 몽골 및 우즈베키스탄서 현지 대학생들 대상 한의학 교육 시행
- 2금호두산아파트, 재건축 진단 신청…패스트트랙으로 속도 낸다
- 3신재생株, 정책 기조에 수혜 기대…"원전보다 신재생"
- 4KT, 아이폰17 시리즈 출시…“에어 업그레이드 완판”
- 5통신3사, 아이폰 RCS 지원…"장벽 없는 메시징 통합"
- 6SK이노 E&S, 페스티벌 ‘아임인부산DAY’ 개최
- 7신라면세점, 인천공항 철수…"손실 커 영업 지속 무리"
- 8대구본부세관, 추석 명절 수출입업체 특별지원
- 9계명대 동산의료원, 에티오피아 6·25전쟁 참전용사 후손 초청 ‘나눔의료’ 지원
- 10김승수 의원 대표발의, OTT 광고·선전물의 청소년 심의 규제 완화법 문체위 통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