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F, 19일부터 대규모 손실 현실화…금감원 "은행 10월까지 추가검사"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 펀드(DLF)의 만기가 오는 19일부터 도래하기 시작하면서 대규모 손실이 현실화될 것으로 보인다. 그 규모는 연내 1,700억원 규모로 추산된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이 올해 3월부터 5월까지 판매한 DLF 만기는 오는 19일을 시작으로 11월 19일까지 차례로 도래한다. 우리은행은 당초 행사가격이 -0.2%인 상품을 팔았는데, 독일 국채 금리가 지속적으로 하락하자 행사가격을 계속 낮춰 현재 시중에 행사가격이 -0.25%, -0.27%, -0.30%, -0.32%, -0.33%인 상품도 있다. 만기가 19일인 DLF의 규모는 134억원, 24일과 26일은 각각 240억원, 다음 달은 303억원, 11월에는 559억원이다. 우리은행의 전체 DLF 규모는 1,236억원이다.
독일 국채 금리는 이달 초까지만 해도 100% 원금 손실 구간인 -0.7%까지 떨어졌다가 13일(이하 현지시간) 현재 -0.4452%까지 반등한 상태다. 다만 이 상품에 투자한 모든 고객은 원금 손실 구간에 있다. 13일 수준으로 각 상품이 만기를 맞으면 손실률은 40% 내외가 된다. 하나은행이 판매한 DLF도 이달 25일부터 만기가 돌아온다. 연말까지 만기를 맞는 상품은 '메리츠 금리연계 AC형 리자드'로 463억원어치에 달한다. 올해 안에 만기가 도래하는 우리·하나은행의 DLF 규모는 모두 1,699억원이다.
이에 금감원은 "우리은행과 하나은행 등에 검사 인력들을 다시 파견한다"고 밝혔다. 지난주 초까지 1차 검사를 마친 금감원은 인력을 잠시 철수했다가 이번에 2차 검사를 시작한다는 방침이다. 금감원은 이번 검사에 따로 기간을 두지는 않았으나 현재 약 150건의 분쟁조정 신청이 접수됐으나 다음달까지는 검사가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분쟁조정위원회에 상정하기까지 외부 법률 자문을 거치고 검사 결과도 검토해야 하기 때문이다./고현정기자go8382@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12일만에 멈춰선 코스피…FOMC 앞두고 '숨고르기'
- 금융위, 제4인뱅 컨소시엄 4곳 모두 예비인가 '불허'
- 금융권 "생산적 금융 위해 위험 기준 낮춰야"
- 롯데카드, 해킹 피해 눈덩이…곧 대국민 사과
- [부고] 박우주(IBK투자증권 부장)씨 외조모상
- 하나증권, 퇴직연금 IRP 계좌개설 특별 이벤트 진행
- SC제일은행, 기업금융 강화…자금관리·무역금융 환경 논의
- 우리금융에프앤아이 회사채 3000억원 발행
- KODEX K방산TOP10레버리지, 상장 당일 전체 ETF 중 최고수익률 기록
- 금융위, 제4인뱅 예비인가 심사 결과 발표…4개 컨소 모두 '탈락'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포항시, K-바이오의 미래를 말하다…‘바이오헬스에서 찾는 포항 미래발전포럼’ 개최
- 2포항시의회, 제325회 임시회 1일 차 ‘시정질문’ 실시
- 3천년고찰 직지사, 국보와 수장고로 문화유산 지킨다
- 4김천시, 추석맞이 자동차 무상점검 실시
- 5경주시, 반려동물 테마파크로 미래형 문화 인프라 구축
- 6영천시, 제22회 영천보현산별빛축제 세부추진계획 보고회 개최
- 7김천교육지원청, 안전한 등굣길 위한 범죄 예방 캠페인 전개
- 8포항교육지원청, 2025학년도 2학기 교(원)장·교(원)감 회의 개최
- 9영천시, 경북 무형유산 ‘영천 목조각’ 홍보전 개최
- 10포항시, 2025 청년친화헌정대상 종합대상 수상…청년정책 성과 인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