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말 은행 자본비율 소폭 상승…당기순익 증가 영향

[서울경제TV=고현정기자] 은행의 자본비율이 소폭 상승했다.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9월 말 현재 19개 국내 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총자본비율은 15.40%, 기본자본비율은 13.36%, 보통주자본비율은 12.76%, 단순기본자본비율은 6.60%로 집계됐다. 이는 6월 말 대비 각각 0.05%p, 0.07%p, 0.05%p, 0.09%p씩 오른 것이다.
3분기 중 은행들의 자본증가율은 총자본 기준으로 2.0%로 위험가중 자산 증가율(1.7%)을 소폭 상회했다. 연결 당기순이익이 3조4,000억원 증가했고, 증자·자본증권 발행 등으로 총자본이 4조9,000억원 늘었다. 위험가중자산은 신용위험 가중자산을 중심으로 26조5,000억원 증가했다.
은행별로는 씨티(19.51%)·광주(16.71%)·신한(16.46%)·국민은행(16.42%) 등의 총자본비율이 높았다. 수협은행(13.97%)과 인터넷 전문은행인 케이뱅크(11.85%), 카카오뱅크(9.97%)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케이뱅크는 6월 말과 비교해 총자본비율이 1.23%p 올랐으나 카카오뱅크는 1.78%p 떨어졌다. 3분기 중 케이뱅크는 소규모 자본 유입이 있었지만 카카오뱅크는 지배구조 문제가 정리가 안 돼 유상증자가 미뤄진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지난달 유상증자가 이뤄지면서 총자본비율이 13%대까지 올라갔다.
국내 9개 은행지주회사(은행을 계열사로 둔 지주사)의 자본비율은 2분기 말과 비교해 대체로 하락했다. 총자본비율은 13.62%, 기본자본비율은 12.25%로 각각 0.02%p씩 떨어졌다. 보통주자본비율은 11.37%로 0.06p 하락한 반면, 단순기본자본비율(5.76%)은 0.05%p 올랐다. 은행 지주사들의 총자본은 5조4,000억원 증가했고, 위험가중자산도 41조6,000억원 늘었는데 위험가중자산 증가율(3.3%)이 자본 증가율(3.1%)을 앞질렀다. KB·하나·신한·농협 등 대형 지주사들의 총자본비율은 14∼15%대를 기록했다. 우리지주(11.44%)와 한국투자지주(10.95%)는 비교적 낮았다./go8382@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대표이사부터 바꾸는 코스닥 M&A…자금조달 차질에 '혼선'
- 코스피 공매도 잔고 9조 돌파…3개월 새 2배 급증
- 금융위, 자본규제 개선…"주담대 죄고 벤처투자 문 푼다"
- 민생 쿠폰 수수료 인하 협의 결렬…카드사 "역마진 우려"
- 정부, 모바일 신분증 발급 민간앱 확대…4개 은행 추가 선정
- 8월 vs 10월 금리 인하 시점은?…가계부채·집값·관세 변수
- 카드·저축銀·온투·대부업까지…2금융권 가계대출 '절반 감축' 비상
- JP모건 "지배구조 개혁 땐 코스피 5000 간다"…투자의견 '비중확대'
- 비트코인, 11만8000달러 넘긴 뒤 숨고르기
- 엔비디아, 주가 4일째 상승 마감…시총 4조 달러 돌파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의대생 1년 반 만에 복귀…의사·교수단체 "존중과 지원 필요"
- 2대표이사부터 바꾸는 코스닥 M&A…자금조달 차질에 '혼선'
- 3코스피 공매도 잔고 9조 돌파…3개월 새 2배 급증
- 4수성구 파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한국마사회 대구지사, 지역 주민 복지 증진 위한 업무협약
- 5김한종 장성군수, 11개 읍·면 순회 '이장과의 소통 간담회' 진행
- 6장성군,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칭 '스미싱' 경고
- 7영덕군-박형수 국회의원, 2026년 국비 확보 정책협의
- 8대구 중구, 공공디자인 진흥계획 수립 착수…도심 경관 새 단장 나선다
- 9대구상수도사업본부, 달서구 일부지역 흐린 물 출수 예상
- 10대구교통공사, ‘2025년 노사문화 우수기업’ 선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