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대 그룹, 작년 직원 1만8,000명 고용… 삼성·CJ 앞장

지난해 주요 그룹들이 1만8,000명 이상 고용을 늘린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대부분은 일부 그룹의 정규직 전환 작업과 설비투자 확대 등에 따른 결과로, 근로시간 단축 등에 따른 고용창출 효과는 크지 않았던 것으로 분석됐다.
3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에 따르면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한 60대 대기업집단(자산 총액 5조원 이상)의 계열사 가운데 사업보고서를 제출한 364개 기업의 고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말 기준 직원 수는 총 108만7,786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1년 전(106만9,273명)보다 1만8,513명(1.7%) 늘어난 수치다. 부영, 중흥건설, 한국GM은 사업보고서 제출 의무가 없어 조사 대상에서 제외됐다.
특히, 일자리 창출의 주요한 역할은 CJ와 삼성, SK 였다.
CJ는 지난 2017년 말 2만1,133명에서 작년 말에는 3만2,735명으로 54.9%(1만1,602명)나 늘리며 전체 증가분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계열사인 CJ프레시웨이가 간접 고용했던 급식 점포 서빙 및 배식 보조 직원을 직접 고용으로 전환한 영향이 컸다.
이어 삼성그룹의 직원수가 4,745명(2.5%) 늘어나 그 뒤를 이었고 ▲ SK(3,545명·6.0%) ▲ 현대차(2,380명·1.5%) ▲ HDC(1,828명·74.1%) ▲ 현대백화점(1,414명·13.6%) 등도 1,000명 이상 증가했다.
삼성은 주력 계열사인 삼성전자의 경기도 평택 반도체공장 가동이, SK도 반도체 계열사 SK하이닉스의 충북 청주공장 등 설비 증설이 각각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개별 기업별로는 삼성전자가 1년 새 9,811명이나 늘어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고 ▲ CJ CGV 5,777명 ▲ SK하이닉스 3,718명 ▲ LG화학 3,457명 ▲ CJ프레시웨이 3,221명 등의 순이었다.
지난해 말 현재 60개 대기업집단 직원 가운데 정규직은 101만1,855명으로 전년보다 1만6,34명(1.6%) 늘었으며, 비정규직도 2,479명(3.4%) 증가한 7만5,931명으로 집계됐다./김혜영기자 jjss1234567@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李대통령, 일본으로 출국…3박 6일 日·美 순방
- 트럼프 " 美정부, 인텔 지분 10% 인수"…최대주주 등극
- 식품업계, '야외활동 간편식' 시장 공략…'처서 매직' 기대
- "한미정상회담, 힘 보탠다"…재계 총수 총출동
- [부동산 캘린더] 내주 1701가구 분양…"수도권·지방 동시 공급"
- 위조품 유통 느는데…온라인 플랫폼, 허술한 대응 ‘여전’
- “지금이 자금 조달 적기”…방산 중견사 상장 러시
- 정체된 토종 OTT...넷플릭스 독주 속 생존 과제는?
- 사망자 10명 중 8명이 '아버지' 세대…건설현장 기술이 답이 되다
- 스드메 300만원에 '셀프웨딩' 등장…'찍고 되파는' 2030 웨딩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