층간소음 막는다던 바닥구조, 95%가 엉터리

[앵커]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층간소음 문제에 대해 감사원이 나섰습니다. 층간 소음을 줄이는 건설 관련 제도가 잘 작동되고 있는지 실태 조사를 한 것인데요. 결과는 엉망이었습니다. 김혜영 기자입니다.
[기자]
저질자재 사용, 측정 조작, 부실 공사까지.
아파트 층간소음을 줄여주는 바닥구조 관리가 유명무실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앞서, 국토부는 2004년 층간소음 관련 기준에 맞는 바닥구조로 시공하면 완공 뒤에는 층간소음 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인정하는 사전 인정제도를 도입했습니다.
층간 소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취지였지만, 막상 현장에서는 이 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었습니다.
감사원이 조사한 LH와 민간 건설사가 시공한 191세대의 아파트 중 95% (184세대)는 사전에 인증받은 것보다 층간 소음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심지어 10곳 중 6곳(114세대)은 최소 성능 기준에도 미치지 못했습니다.
조작 사례도 드러났습니다.
업체들은 조작된 완충재 품질 성적서를 제출하거나 도면보다 두껍게 제작된 시험체를 제출했고 성능시험 인증기관인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이를 제대로 잡아내지 못했습니다.
이에 감사원은 LH 등에서 인정받은 바닥구조 95%( 154개 중 146개) 는 신뢰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사후 평가도 허술했습니다.
최소성능 기준을 맞추기 위해 소음 측정위치를 임의로 변경하거나 데이터를 조작해 성적서를 발급한 겁니다.
또, 실제 공사현장에는 인정시험 때보다 낮은 품질의 완충재를 납품한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서울경제TV 김혜영입니다.jjss1234567@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이석희 SK온 CEO “기술 리더십으로 ESS 영향력 확대”
- LG 구광모, 책임경영 힘 싣나…조주완 '부회장 승진'에 촉각
- LH “텅 빈 주택 전시관, 지역 문화공간으로 활용”
- 위기감 속 CJ그룹 '조기 인사'…미래전략 속도전
- ‘철수설’ 한국GM, 신차 출시·인프라 축소 ‘혼란’
- 지도에 국가 중요시설 노출…“플랫폼 지도 기준 모호”
- 정기선 HD현대 회장 취임…“인류 개척 퓨처빌더 되자”
- 모두벤처스, 첫 소득공제형 채권 만기 상환 완료…안정적 투자 운용 입증
- GC녹십자의료재단 ‘대한임상화학회 2025년 추계학술대회' 성료
- 장영기 세원하이텍 대표, ‘2025 올해를 빛낸 인물’ 대상 수상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2025 원주만두축제, 10월 24일 개막
- 2이석희 SK온 CEO “기술 리더십으로 ESS 영향력 확대”
- 3주가는 이미 두배 올랐는데…디에스케이, 지체되는 M&A '골머리'
- 4광주 북구청장 도전 정달성 의원, 노형욱 전 장관 회동…"북구 지역발전 논의"
- 5국회 문체위 “노관규 순천시장 증인 불출석 시 대가 치를 것” 강력 경고
- 6‘안산페스타‘ 축제는 경제활성화 키포인트
- 7응급·분만 취약지 지원…동두천 ‘유일 응급실’ 지킨다
- 8국제라이온스협회 355-B3지구 여수새희망라이온스클럽, 만덕동·복지시설 찾아 생필품·혹한기 물품 전달
- 9주철현 의원 "임업 세제, 농업보다 불합리…이재명 정부 임기 내 개선 시급"
- 10포항시의회 김일만 의장, 지방자치대학 수강생 대상 특강 실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