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플러스] 널뛰기 원달러 시장, 어디로 가나

[앵커]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제롬 파월 의장이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지난밤 사이 뉴욕 증시가 급등했는데요. 오늘 파월 의장의 발언이 대대적으로 보도되면서 한국은행도 서둘러 금리 인하를 검토하게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파월 의장의 발언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결국 우리 환율 시장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 금융팀 고현정 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고 기자, 파월 의장이 지난밤 금리 인하를 언급했다고요?
[기자]
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현지시각 4일 시카고 연설에서 무역 분쟁이 계속됨에 따라 “미국의 경제전망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하게 주시하고 있다”며 “탄탄한 고용시장과 목표치 2% 안팎의 물가상승률과 함께 경기확장 국면이 유지되도록 적절히 대응하겠다”고 말했는데요.
지난 2일까지만 해도 파월 의장은 “미국 경제가 좋은 지점에 있고 경제도 전망 양호하다. 때문에 금리 정책을 서두를 필요를 못 느낀다”는 입장이었기에 시장의 이목이 더욱 쏠렸습니다.
이에 시장에서는 무역전쟁 장기화로 미국의 실물경기에 타격이 발생한다면, 미 연준이 연내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앵커]
파월 의장은 사실 ‘금리 동결’이나 ‘금리 인상’ 쪽에 가까운 입장이었잖아요? 그런데 이번에 ‘금리 인하’로 선회한 게 트럼프의 압력 때문이라고요?
[기자]
네.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에 앞선, 일종의 ‘경제 맷집 키우기’라는 건데요. 먼저 전문가 인터뷰 들어보겠습니다.
[인터뷰] 고태봉 / 하이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
”너네(Fed)가 자꾸 금리 인상해서 미국 경기가 꺾여 버리게 되면 중국하고 싸울 힘도 없지 않느냐, 결국은 금리 인하하라는 부분을 압박을 넣어왔던거고.“
[앵커]
그러니까 이번 ‘금리 인하’ 시그널이 있다고 해서, 지난 4월부터 줄곧 이어진 달러 강세 기조가 바뀌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거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일시적으로 소폭 달러 약세가 나타날 수는 있지만, 결국 중장기적으로 달러는 계속 강세로 보는 게 맞다는 겁니다.
왜냐하면 미국이 중국과 멕시코 등에 2,500억달러, 3,000억달러에 달하는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듯, 얼마나 긴 시간이 걸리든 결국은 미국이 무역전쟁에서 이길 것이라고 보는 게 대세이기 때문입니다.
특히 지난달 30일 멕시코에 이민 문제를 해결하라며 보인 행동만 봐도, 이번 금리 인하 시그널은 중국과의 무역분쟁에서 오래 버티기 위한 사전 조치, 즉 ‘트럼프 풋(Put)’으로 해석하는 게 맞다고 보여집니다.
[인터뷰] 고태봉 / 하이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
“미국이 경기가 좀 둔화되고 금리 인하로 간다면 사실 ‘달러 약세’가 되어야 맞는데 예전이랑 다른건 뭐냐면 (무역) 적자를 절대 용납을 안하겠다는 거 아니에요, 지금? 결국은 만약에 미국이 무역갈등에 대해서 계속 미국의 입장을 고수한다면 ‘달러 강세’로 가는 게 맞는 거죠. 트럼프 풋(Put)이라는게 작동했다고 봐요. 지금.”
[앵커]
만일 미국이 정말 금리를 인하하게 된다면 한국은행은 어떤 조치를 취하게 되나요?
[기자]
아마 미국의 금리 인하가 확실시 되는 경우에 우리도 곧바로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한국 경제 지표가 수출, 투자 부진 등으로 지난 분기 마이너스 0.4% 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매우 좋지 않아 시장에서도 금리 인하 기대감이 높은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지금 이미 미국보다 우리나라 금리가 더 낮은 상태라 그동안 금리를 더 낮추기 부담스러웠는데, 이번에 미국이 금리를 인하한다면 한은 쪽에서도 금리 인하를 곧바로 단행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네. 결국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원하는 대로 세계 경제가 끌려가는 듯한 모습인데요. 결국 계속되는 무역전쟁과 ‘달러 강세’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외환당국의 고민은 더욱 깊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기자]
감사합니다. /고현정기자 go8382@sedaily.com
[영상편집 김담희]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한주간 MMF 설정액 7.6조 늘었다…최근 한달 증가치보다 많아
- 다음달 한국 MSCI 편입 앞두고 들썩이는 증권 시장…퍈춞입 후보는
- '불황형 소비' 바람…"최저가·중고에만 지갑 연다"
- 코스피 상장사 현금배당 30조…시가배당률 3.05%로 5년래 최고
- 5월 금리 인하론 우세…예대금리 시계는 거꾸로 간다
- 최저가에만 열리는 지갑…상승세 탄 불황형 소비株
- 키움 이어 미래에셋 주문 ‘먹통’…프리마켓 거래 10분간 중단
- 우리銀, 알뜰폰 새이름 우리WON모바일 출시
- 우리금융, 전국다문화도시협의회와 함께 다문화가족 지원 나선다
- BNK부산銀·한국 M&A거래소 업무협약…지역기업 성장 지원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오늘 첫 경선토론 여는 국힘…김문수·안철수·양향자·유정복 대결
- 2한덕수 대행 4·19기념사 "위기극복에 국민 통합이 가장 중요"
- 3정치권 "4·19 정신 계승해야"
- 4민화, 시대를 넘나드는 예술 그리고 민화의 삶을 사는 손유영 작가
- 5전북대병원, 비수도권 최초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GMP 인증 획득
- 6김철우 보성군수 "지역 미래 인재 위해 아낌없는 교육지원"
- 7"의약품 기부·희귀질환 지원" 제약업계, 사회공헌활동 강화
- 8말레이 총리 "미얀마 휴전 연장할 듯…아세안, 인도적 지원"
- 9장흥군, 5월 2~5일 정남진 장흥 키조개축제 개최
- 10젤렌스키, 8월 5일께 日 오사카엑스포 방문 검토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