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1인 가구 가장 많은 곳 관악구…강서·송파·강남 순
오피스텔 임차시장서 전용 40㎡이하 거래 늘어

서울에서 1인 가구가 가장 많은 곳은 관악구로 나타났다. 이어 강서구, 송파구, 강남구 순으로 1인 가구가 많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0일 부동산정보 서비스 직방이 주민등록 인구와 오피스텔 실거래 임차시장을 분석한 결과 서울에서 1인 가구가 가장 많이 거주하는 곳은 관악으로 14만7,841세대로 나타났다. 이어 강서(10만679세대), 송파(9만4,131세대), 강남(8만9,958세대), 영등포(7만9,183세대), 마포(7만7,125세대), 동작(7만6,036세대), 은평(7만5,178세대)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 5월 기준 서울 1인 가구는 총 171만9,143세대로 전체 세대원수별 구성 중 40%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0년 전(142만9,482세대)에 비해 1인 가구 비중은 5.13%포인트 늘었다.
오피스텔 전·월세 거래도 다른 면적대에 비해 전용면적 40㎡이하가 2011년에 비해 크게 늘어나는 등 1인 가구 증가 추세에 따라 임차 거래시장이 형성되고 있는 모습이다.
1인 가구가 가장 많은 관악은 서울에서 오피스텔 월세가격(2019년 1~5월 누적)이 평균 46만원(서울 54만원)으로 주거비 부담이 적은 곳이다. 대학과 고시촌이 밀집해 있어서 학생과 수험생 수요가 많다. 또한 강남권과 여의도권이 가까워 직장인 수요가 많은 곳이기도 하다. 강서 역시 월세 평균 48만원으로 서울에서 주거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곳으로 임차수요가 많다. 송파, 강남, 영등포, 마포는 월세 평균 가격이 높은 편이지만 오피스 밀집지역으로 출퇴근이 용이해 직장인 거주 수요가 많다.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서울에서 전세와 월세로 실거래가 공개된 건수는 총 1만3,169건으로 나타났다. 전세는 6,074건(46.1%), 월세는 7,095건(53.9%)으로 월세로 공개된 건수가 더 많았다. 면적별로는 전세와 월세 모두 전용면적 40㎡이하 초소형에서 거래가 많은 가운데, 전용면적 20㎡초과~40㎡이하 면적대에서 거래가 가장 많았다.
오피스텔 전·월세 실거래 공개가 시작된 2011년과 비교한 결과 2019년 전·월세 거래는 전용면적 20㎡이하와 전용 20㎡초과~40㎡이하 초소형에서 거래 비중이 증가한 반면, 전용면적 40㎡초과 면적대는 거래비중이 감소했다. 1인 소형 가구가 증가하면서 오피스텔 임차수요의 거주 공간 면적도 작은 형태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2019년 서울 오피스텔 월세 거래가격은 평균 54만원으로 분석됐다. 월세가격이 가장 높은 곳은 △용산(82만원)이며, △강남(74만원) △양천(69만원) △중(67만원) △서초(66만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금천(40만원) ▽중랑(44만원) ▽도봉, 은평(45만원) ▽관악, 노원(46만원) ▽강동(47만원) ▽강북, 강서(48만원) ▽구로, 동대문(49만원) ▽성북(50만원)이 서울 평균보다 낮았다.
전세 거래가격은 평균 1억7,990만원으로 나타났다. △양천(3억2,192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성북(1억1,756만원)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관악(1억2,310만원) ▽중랑(1억3,346만원) ▽금천(1억3,629만원) ▽동대문(1억4,069만원) 등이 상대적으로 전세가격이 낮게 형성됐다. 전용면적 135㎡초과를 제외하고는 전용면적 20㎡이하 초소형이 2011년보다 전·월세 거래가격의 오름폭이 가장 컸다. 1인 가구 비중이 높아지면서 거래건수 외에 가격도 동반상승한 것으로 분석된다.
직방 관계자는 “서울의 가구 구성 비중이 1인 내지 1~2인 형태가 꾸준하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오피스텔 시장도 나홀로 가구가 살기 적합한 면적대나 주거공간으로의 다양한 변화가 시도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오피스텔 외에도 1인 임차가구의 수요가 꾸준한 원룸형태의 소형 연립, 빌라 전·월세 시장에도 초소형 주거공간의 선호는 계속될 것으로 보이며, 1인 가구가 거주하기 편리한 구조와 다양한 옵션 등의 조건이 가미된 형태의 매물이 더욱 각광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정창신기자 csj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낙동강 오염' 영풍 석포제련소 장형진 고문 형사고발 사건 수사 개시
- 공공디자인 페스티벌 2025, 디자인으로 사회 변화 대응
- 펩트론, 1개월 지속형 제1호 의약품 '루프원' 첫 출하
- 삼성전자·SK하이닉스, 합산 시총 첫 1000兆 돌파
- [위클리 비즈] 독도의 날, 기업들도 나섰다…맥주·핫팩·팝업스토어까지
- 대우·호반·한양, ‘풍무 7000가구’ 승부수…‘비규제’ 덕 볼까
- OTT 빠진 방미통위…“토종 OTT 역차별 우려”
- 임시주총 앞둔 콜마홀딩스…경영권 분쟁 향방은?
- 국민연금·행동주의 ‘경고’…LG화학 신학철 거취 ‘주목’
- 한진그룹, 창립 80년…조원태 “종합 모빌리티 기업 도약”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낙동강 오염' 영풍 석포제련소 장형진 고문 형사고발 사건 수사 개시
- 2인천교통공사, 장애인콜택시 사고 예방 장치 시범 적용
- 3경기도, 양주서 ‘장애인 기회소득’ 특별전 개최
- 4인천 연수구, 공동주택 관리 책임자 법정 교육
- 5공공디자인 페스티벌 2025, 디자인으로 사회 변화 대응
- 6펩트론, 1개월 지속형 제1호 의약품 '루프원' 첫 출하
- 7인천 미추홀구, 교육·경찰·지역사회 연계 학교폭력 대응 강화
- 8경기도, 기후테크 3대 비전 발표…“경기북부에 클러스터 조성”
- 9인천 ‘중봉터널’ 민간투자 제3자 공모…2032년 개통 목표
- 10부천시, 시민이 직접 공약 점검…'시민평가단' 운영 시작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