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성년자 배당소득 연간 2,300억…5년새 2.9배↑

미성년자들이 한 해 동안 주식으로 벌어들인 배당소득이 2,000억원을 훌쩍 웃돌았다. 2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정우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미성년자 연령별 배당소득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3~2017년 5년간 주식 배당소득을 올렸다고 신고한 미성년자들은 총 82만2,311명으로 이들이 올린 배당소득은 7,177억여원에 달했다.
배당소득이 있는 미성년자 수는 매년 증감을 거듭했으나 대체로 10만명대 후반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하지만 이들이 올린 배당소득은 2013년 801억원에서 2014년 1,232억원, 2015년 1,492억원, 2016년 1,361억원, 2017년 2,288억원으로 5년 사이에 2.9배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미성년자 1인당 평균 배당소득은 2013년 44만원에서 2014년 74만원, 2015년 86만원, 2016년 100만원, 2017년 136만원으로 매년 큰 폭으로 늘었다. 특히 미취학 아동(만 0∼6세)에 대한 배당소득이 2013년 81억원에서 2017년 358억원으로 크게 늘었고, 이에 따라 해당 연령대의 1인당 평균 배당소득도 같은 기간 27만원에서 133만원으로 5배 가까이 증가했다. 심지어 걸음마도 떼기 전인 만 0∼1세에 평균 165만원의 배당소득을 올린 ‘금수저’도 지난해 1,603명이나 됐다.
김정우 의원은 “생산활동을 하지 않는 미성년자 배당소득의 지속적인 증가는 조기 상속, 증여의 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며 “미성년자 상속·증여에 대한 세금 집행이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 국세청의 꼼꼼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훈규기자 cargo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한국수력원자력, ‘경주상생협력기금’ 1120억 본격 시행
- [기획] 양주시, '북부 1위' 빈집 도시…되살릴 수 있을까
- [인터뷰] 김종혁 김포시의회 의장 “기본에 충실한 의회 만들겠다”
- [이슈플러스] 박동식 사천시장 “대한민국 우주 수도 만들 것”
- 서부지방산림청-광주지방교정청, 산림경영대행 업무협약 체결
- 부산시, 항저우 제치고 '2028 세계디자인수도(WDC)' 최종 선정 쾌거
- 김병민 용인특례시의원 '주차장 돌진사고 예방 조례안 개정 논의'
- 수원시, '지속가능발전 보고서 초안 심의'
- 신안군, 섬 홍도원추리 축제 마무리…2000여 명 방문
- 해남군, 전남 최초 '어린이 스마트 안전쉼터' 개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