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 ‘아이슬란드 공포’ 재발되지 않도록

[서울경제TV=정새미 기자]
지난 2010년, 아이슬란드 남부 에이야프얄라요쿨 빙하지대 화산이 폭발했다. 11km 상공까지 치솟은 화산재는 기류를 타고 퍼져, 북유럽지역 항공기 운항은 사실상 전면 중단됐다.
화산 폭발은 질주하던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제동을 걸었다. 부품이 바닥나자 닛산은 처음으로 규슈와 요코스카 공장의 조업을 멈췄다. BMW도 독일 내 공장 3곳의 가동을 중단해 하루 생산량이 7,000대 이상 줄었다.
상처를 입은 자동차 회사들은 머리를 맞댔다. 그 결과 재난과 사고 등 예상치 못한 상황으로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공급처를 각기 다른 대륙의 복수업체에서 선정하도록 했다. 한 지역에 문제가 생기면 다른 곳의 공급량을 늘리는 일종의 ‘플랜B’를 만든 것이다. 하지만 두 배가 넘는 물류비와 관리비용에 직면하면서 ‘아이슬란드의 공포’는 점점 희미해졌다.
이후 10년. 이번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을 흔들고 있다. ‘와이어링 하니스’ 수급 문제로 현대차와 기아차, 쌍용차, 르노삼성 등 국내 대부분의 완성차 공장이 가동을 멈췄다. 관계자들은 중국의 제작 수준도 높을뿐더러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중국에 상당부분 의지했다고 털어놨다.
멈춘 공장을 재가동하기 위한 방법은 두 가지다. 국내 생산 설비를 깔아 직접 생산하거나 동남아시아 등에서 대체 부품공급선을 찾는 방식이다. 대부분의 완성차들은 현지 협력업체 찾기에 몰두하고 있다. 부품 조달시간을 최대한 앞당겨 눈덩이처럼 불어날 손실을 막는 게 급하기 때문이다. 국내에 생산 설비를 갖춘다면 이후의 재발 위험을 줄일 수 있지만 막대한 시간과 돈의 투자는 불가피하다.
문제는 이번 위기를 넘기더라도 언제든지 비슷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10년 후 예기치 못한 어떤 재해가 자동차 업계를 흔들지 모른다. 이를 막기 위해선 임시방편이 아닌 산업구조의 근본적 변화가 필요하다. / jam@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대박땅꾼의 땅땅땅] 왜 토지투자를 할까? 목표에 따라 전략이 달라진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토지투자의 원리, 정부 정책을 따라간다
- [이지연의 스마트 스피치] 자발적 IR커뮤니케이션 활동의 필요성과 효과
- [대박땅꾼의 땅땅땅] 토지투자의 원리, 사람에 투자한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토지투자의 원리, 1시간에 투자한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무모한 도전이 될까, 위대한 도전이 될까?
- [대박땅꾼의 땅땅땅] 꼼꼼히 준비해야 하는 지목변경
- [대박땅꾼의 땅땅땅] 기획부동산을 조심하자
- [기고] 국가인재생태계 개혁 없다면, 대한민국 미래는 없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3,000만 원짜리 토지 투자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연세하남병원 착공…2027년 종합병원 시대 여는 하남
- 2주철현, 전남도당위원장 사퇴…전남지사 출마 본격화 – ‘찐명’ 세력 부상 관심
- 3'야생 독버섯의 습격'…해남군, 야생버섯 섭취한 주민 8명 병원 치료
- 4조석훈 목포시장 권한대행, 추석 종합상황실 찾아 비상근무자 격려
- 5여수해경, 선저폐수 50L 해양 불법배출 선박 적발
- 6계명문화대 슬로우푸드조리과, 전국 요리 경연대회 전원 수상 쾌거
- 7티웨이, 프랑크푸르트 취항 1주년…10만여명 탑승
- 8정부 “추석연휴, 정보시스템 복구 골든타임”
- 9고속도로 통행료 '상습 미납' 5년간 256만대 달해
- 10네이버, 추석 지도서비스 업데이트..."신호등 본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