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조업계 프리드라이프, 재무건전성과 전문성 제고로 소비자 신뢰 확보 나서

'상조'는 더 이상 낯선 용어가 아니다. 상부상조(相扶相助)를 기반으로 장례절차에 관한 전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조서비스는 급속한 핵가족화와 고령화로 그 필요성이 증가되면서 전국 가입자 660만 명, 국민 9명 중 1명이 가입한 필수 서비스로 자리잡았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마크로밀엠브레인이 전국 만 24~59세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상조서비스 가입 시 최우선 고려사항으로 '회사의 신뢰성과 안전성'(40.9%)을 꼽았다. 뒤이어 '가입자 위주의 서비스'(9.3%)와 '상품 구성'(8.9%)을 고려한다고 답했다.
박헌준 프리드라이프 회장(한국상조산업협회 회장)은 "상조업계가 구조조정 과정을 거치면서 재무건전성을 확보하며 양질의 성장을 이루고 있다"며 "더불어 서비스 전문성 강화와 고객의 니즈를 반영한 라이프케어로 진화하며 고객 중심의 새로운 문화를 제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 역시 상조회사 선택 시 업체의 재무건전성을 살펴볼 것을 조언했다. 업계 관계자는 "목돈이 드는 장례비용을 나눠 납부함으로써 경제적 부담을 줄인다는 것이 상조서비스의 기본 개념으로, 오랫동안 회원자격을 유지해야 하는 만큼 재무적으로 튼튼한 회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업계 선두주자인 프리드라이프는 지난해 전년 대비 17.4% 증가를 기록하며 '국내 상조업체 최초' 자산 1조를 돌파했으며, 업계 최고 수준의 고객 납입금 보호 시스템 구축으로 소비자 권익보호에 만전을 다하고 있고 제1금융권 4개사(우리은행, 신한은행, 수협은행, 하나은행)과 지급보증계약을 체결하며 소비자 안정성을 극대화했다.
아울러 장례서비스의 전문성을 키우고, 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R&D분야에도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특히 전문장례지도사 교육 기관인 프리드 장례지도사교육원을 운영 중이며, 한국장례문화 연구원 및 한국장례문화 전시관, 경기장례문화 박물관을 개설하여 한국 장례문화의 선진화를 위한 연구에 앞장서고 있다. /유연욱 기자 ywyoo@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문화해설 로봇 ‘큐아이’, 만화박물관서 ‘K-콘텐츠’ 알린다
- 한국음악저작권협회, ‘AI 사용 안 썼다’ 보증 절차 도입
- 지리산 산불, 국립공원 외곽 200m 남아…"오늘 주불 진화 최선"
- 韓 대행 "산불 이재민 일상 회복 때까지 모든 지원 아끼지 않을 것"
- '경북 산불' 사망자 2명 늘어…화마에 26명 목숨 잃어
- 부산대 의대 "미등록자 내달 5일부터 제적 절차 진행"
- 안동·의성 산불, 부분 재발화…헬기 투입 진화작업
- 한국문화정보원-법무법인 유연, 법률 자문 협약
- "가짜 팬후기"…'뒷광고' 카카오엔터 과징금 3억9000만원
- 의총협 "35개교 휴학계 반려 완료…나머지도 반려 예정"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국내 첫 온전한 벽돌가마 진안서 확인…초기청자 제작 비밀 풀리나
- 2전주시‧완주군, 옛 만경강 철교에 ‘상생 철길’ 조성
- 3전북자치도의회 “윤석열 탄핵, 국민의 승리이자 새로운 시작”
- 4전주시의회 “탄핵은 국민의 승리…헌정질서 바로 세운 정의로운 결정”
- 5정읍소방 의용대원, 산불 속 주민 7명 구조…‘마을 지킨 영웅’
- 6남원 알파스카이팀, 일본 한일드론축구 친선대회 압도적 우승
- 7남원시, 보건기관 환경개선에 15억 투입…의료 인프라 개선
- 8남원시의회 경제농정위원회, 산불진화대 격려‧예방대책 논의
- 9순창군의회 더불어민주당 의원 “尹 파면, 민주주의 승리”
- 10조민규 고창군의회 의장 “尹 대통령 탄핵, 국민이 지켜낸 민주주의 결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