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영향 '간편식' 검색량 급증…시장규모 5년 새 두배로

[서울경제TV=서청석기자] 코로나19 사태로 함께 모여 식사를 하지 않고 가정에서 쉽게 조리할 수 식사를 선호하는 소비자가 늘면서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간편식을 찾는 검색량이 두배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네이버의 검색어 트렌드를 인용해 간편식 검색량을 점수화한 결과 코로나19 초기인 1월 셋째 주 43점에서 3월 넷째 주 100점으로 2.3배 늘었다고 19일 밝혔다.
간편식 검색량은 코로나19 감염세가 주춤했던 4월 들어 72점까지 떨어졌으나 수도권을 중심으로 다시 확산세가 퍼지면서 5월 셋째 주 94점으로 재상승했다.
간편식의 연관어는 코로나19 발생 전에는 '다이어트', '샐러드', '쉐이크', '맛' 다이어트식품, 건강보조제 등이 주를 이뤘지만, 발생 후에는 '코로나', '아침', '배달', '택배' 등이 늘었다.
이런 흐름과 함께 국내 간편식 시장은 성장세가 가파르다. 시장조사업체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국내 간편식 시장 규모는 2014년 1억210억원에서 지난해 1억9,500억달러로 두배 가까이 성장했고 2024년에는 2억9,15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간편식 유통 비중은 대형마트가 지난해 기준 36%로 가장 컸지만 5년 전의 47%보다는 상당히 감소했다. 대신 편의점이 25%에서 35%로 크게 늘었고, 온라인은 11%에서 13%로 소폭 늘었다.
또 간편식 구매 시 식품 첨가물, 용량, 원산지를 고려했다는 답변은 감소했지만 브랜드나 포장디자인, 기능·효과를 따졌다는 답변은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주부 고객층을 중심으로 간편식을 선택할 때 영양 측면을 고려하면서 다이어트 도시락, 만두, 사골곰탕 등 편리함과 영향을 모두 잡은 제품이 인기를 얻었고, '다이어트 도시락'은 2018년 냉동·간편조리식품 인기 검색어 순위 5위였으나 2019∼2020년에는 1위를 차지했다.
최근 수요가 많이 늘어난 간편식으로는 밀푀유 나베와 홈파티 음식이 있다. 이외에도 올해 들어서 곱창전골, 마라탕 키트, 떡볶이 등이 인기 제품으로 부상했다고 aT는 평가했다. /blu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한국수력원자력, ‘경주상생협력기금’ 1120억 본격 시행
- [기획] 양주시, '북부 1위' 빈집 도시…되살릴 수 있을까
- [인터뷰] 김종혁 김포시의회 의장 “기본에 충실한 의회 만들겠다”
- [이슈플러스] 박동식 사천시장 “대한민국 우주 수도 만들 것”
- 서부지방산림청-광주지방교정청, 산림경영대행 업무협약 체결
- 부산시, 항저우 제치고 '2028 세계디자인수도(WDC)' 최종 선정 쾌거
- 김병민 용인특례시의원 '주차장 돌진사고 예방 조례안 개정 논의'
- 수원시, '지속가능발전 보고서 초안 심의'
- 신안군, 섬 홍도원추리 축제 마무리…2000여 명 방문
- 해남군, 전남 최초 '어린이 스마트 안전쉼터' 개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