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집값 전망 '오른다' 우세…"추가 규제 예고에 방향성은 유동적"

[서울경제TV=정창신기자] 하반기 주택 매매시장은 상승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한 것으로 조사됐다.
1일 직방이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총 4,090명을 대상으로 하반기 거주지역의 주택 매매시장을 어떻게 예상하냐는 질문에 42.7%인 1,748명이 ‘상승’할 것으로 응답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은 42.6%가 ‘상승’, 36.9%가 ‘하락’, 20.6%가 ‘보합’일 것으로 전망했다. 경기 지역도 유사한 응답이 나왔다. 응답자의 44.3%가 ‘상승’, 36.3%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인천은 43.1%가 ‘하락’할 것으로 전망해 ‘상승(36.5%)’을 예상한 응답자보다 하락을 전망하는 응답자가 더 많았다.
이 설문 조사는 6월 12일부터 6월 22일까지 11일간 조사됐는데, 이 기간 중 6·17대책이 발표됐다. 대책 전후 전체 응답자의 답변 차이는 없었지만 지역별로는 응답의 차이가 나타났다고 직방은 설명했다.
서울과 경기 지역은 대책 발표 후 하반기에 주택 매매시장이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하는 응답률이 감소한 반면, 인천과 광역시, 지방은 대책 발표 후에 ‘상승’할 것이라는 응답비율이 더 늘었다. 대책 발표 후에도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한 지역에서 상승 전망이 높아졌던 것으로 보인다.
주택보유 여부에 따라서도 하반기 주택 매매시장을 바라보는 시각이 달랐다. 유주택자는 49.7%가 ‘상승’, 29.8%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한 반면, 무주택자는 49.1%가 ‘하락’, 32.6%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반기 매매시장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 이유로는 상승 응답자 1,748명 중 34.9%가 ‘저금리 기조로 부동자금 유입’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이어 △교통, 정비사업 등 개발호재(14.6%) △선도지역, 단지 가격 상승으로 인한 동반 상승(12.8%) △신규 공급물량 부족(11.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직방 관계자는 “하반기에는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시행, 다주택자 양도세 한시적 완화 종료 등 달라지는 정책이 많은 가운데, 저금리 기조는 이어져 여유 자금 유입이 계속될 전망이다”면서 “다만, 6·17대책이 발표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았고, 주택시장 불안 조짐이 나타날 경우 정부가 추가적인 부동산 대책을 예고하고 있어 하반기 주택시장의 방향성은 유동적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csj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르노코리아, 3월 8256대 판매…전년比 15.7% 증가
- LS전선, HVDC 수주 급증…KERI 협약으로 품질시험 기반 강화
- 금감원 "한화, 계열사 지분구조 재편과 증자 연관성 설명해야"
- 아이소이, 성수 팝업스토어 ‘New 잡티로즈쎄럼실’ 오픈
- 현대차, 지난달 36만5812대 판매…전년比 2.0% 감소
- 쿠빙스, ‘서울커피엑스포’ 참가…새로운 블렌더 출시
- KGM, 지난달 총 9483대 판매…전월比 20% 증가
- 한화오션, 초대형 원유운반선 2척 수주…3784억 원 규모
- “경영 효율화” 현대면세점, 동대문점 폐점·무역센터점 축소
- 기아, 올해 1분기 77만2351대 판매…'역대 최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르노코리아, 3월 8256대 판매…전년比 15.7% 증가
- 2무안군, '유아숲교육' 11월말까지 운영
- 3LS전선, HVDC 수주 급증…KERI 협약으로 품질시험 기반 강화
- 4금감원 "한화, 계열사 지분구조 재편과 증자 연관성 설명해야"
- 5아이소이, 성수 팝업스토어 ‘New 잡티로즈쎄럼실’ 오픈
- 6현대차, 지난달 36만5812대 판매…전년比 2.0% 감소
- 7쿠빙스, ‘서울커피엑스포’ 참가…새로운 블렌더 출시
- 8목포시의회·신안군의회, 지역 공동 상생 협력 위한 간담회
- 9경기도, 의료데이터 AI 활용 기반 마련
- 10이권재 오산시장, 오산대학교 명예교수 임용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