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마감시황]코스피, 개인 1조원 매수 불구 2,760선 하락 마감

[서울경제TV=김혜영기자]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 공세에 2,760선으로 밀렸다. 개인이 1조원 어치를 사들였지만, 지수 상승을 견인하기에는 역부족이였다.
14일 전 거래일 대비 0.63포인트(0.02%) 내린 2,769.43에서 출발한 코스피는 등락을 거듭하며 결국 하락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7.86p(0.28%) 내린 2,762.2원에 거래를 마쳤다.
투자자별 매매동향을 살펴보면, 장 초반부터 매도세를 이어오던 기관은 7,012억원 어치를 팔았고, 외국인 역시 ‘팔자’로 돌아서며 3,604억원을 순매도했다. 반면, 개인은 외인과 기관의 물량을 받아내며 1조3,32억원을 순매수했다.
업종별로는 비금속광물(-2.7%), 운수창고(-2.28%),건설업(-1.93%), 증권(-1.72%), 섬유의복(-1.72%), 의료정밀(-1.65%), 화학(-1.44%), 유통업(-1.19%), 기계(-1.1%), 철강금속(-1.05%)등이 하락 마감했다.
시가총액 상위종목에서는 반도체 업황 개선 기대감에 따라 삼성전자(+0.54%)와 SK하이닉스(1.30%)가 상승 마감했다. 반면, LG화학(-1.85%),삼성바이오로직스(-0.98%),셀트리온(-0.97%),네이버(-1.38%) 등은 하락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 시장에서 상승한 종목은 276개, 보합 55개, 하락 557개로 집계됐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10p(0.12%) 오른 929.54로 마감했다. 이날 코스닥 시장에서 개인은 40억원, 외국인은 757억원을 각각 사들였다. 반면 기관은 560억원을 순매도 했다
이날 시장에서는 재택근무 관련주를 비롯해 원격수업 등 언택트(비대면) 관련주의 상승이 두드러졌다.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며,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격상을 논의하고 있는 가운데 관련 수혜주가 부각된 것으로 풀이된다.
원격지원·제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알서포트는 6.58% 오른 1만6,200원에 마감했다. 원격 영상회의 시스템 및 솔루션 제공 전문기업인 이씨에스 29.90% 급등으로 장을 마쳤다. 소프트캠프도 전 거래일 대비 11.46% 강세를 보였다. 원격수업 관련주인 YBM넷(+4.93%), 아이스크림에듀(+2.41%), 웅진씽크빅(+2.66%) 등도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1.5원 오른 1,091.8원으로 거래를 마쳤다./jjss1234567@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대표이사부터 바꾸는 코스닥 M&A…자금조달 차질에 '혼선'
- 코스피 공매도 잔고 9조 돌파…3개월 새 2배 급증
- 금융위, 자본규제 개선…"주담대 죄고 벤처투자 문 푼다"
- 민생 쿠폰 수수료 인하 협의 결렬…카드사 "역마진 우려"
- 정부, 모바일 신분증 발급 민간앱 확대…4개 은행 추가 선정
- 8월 vs 10월 금리 인하 시점은?…가계부채·집값·관세 변수
- 카드·저축銀·온투·대부업까지…2금융권 가계대출 '절반 감축' 비상
- JP모건 "지배구조 개혁 땐 코스피 5000 간다"…투자의견 '비중확대'
- 비트코인, 11만8000달러 넘긴 뒤 숨고르기
- 엔비디아, 주가 4일째 상승 마감…시총 4조 달러 돌파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동물병원 네트워크 '코벳', 반려동물 사료·용품 배송 서비스 'Vet2Home' 시작
- 2SKT, 고객 잡아라…'스타벅스·파리바게뜨' 릴레이 할인
- 3하이원리조트 여자오픈 2025, 방신실 최종 우승
- 4폭염에 장바구니 물가 비상…정부, 배추·과일 등 물가 관리 총력
- 5의대생 1년 반 만에 복귀…의사·교수단체 "존중과 지원 필요"
- 6대표이사부터 바꾸는 코스닥 M&A…자금조달 차질에 '혼선'
- 7코스피 공매도 잔고 9조 돌파…3개월 새 2배 급증
- 8수성구 파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한국마사회 대구지사, 지역 주민 복지 증진 위한 업무협약
- 9김한종 장성군수, 11개 읍·면 순회 '이장과의 소통 간담회' 진행
- 10장성군,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칭 '스미싱' 경고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