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컬리, 입점 중소상공인 매출 100%↑

[서울경제TV=문다애 기자] 장보기 앱 마켓컬리가 입점 파트너의 95%인 중소상공인의 상품을 지난 해 대비 2배가량 직매입하고 600개의 중소상공인과 신규 거래를 개시하는 등 코로나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상공인들과의 상생에 기여했다고 29일 밝혔다.
2020년 한 해 동안 마켓컬리에 상품을 공급한 파트너사의 실적을 분석한 결과, 중소상공인 파트너와의 거래규모는 지난 해 대비 2배가량 증가했다. 이는 통계청에서 매월 제공하는 제공하는 ‘상품군별 판매액’ 기준 음식료품 상품군의 2020년 1월부터 10월까지의 판매량 증가율 9%의 10배가 넘는 수치로 마켓컬리에 입점한 파트너사들은 관련 업계 대비 매우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중소상공인업체 중 240여개의 업체가 2019년 매출 대비 2배 이상의 매출 성장률을 보였다.가장 높은 매출 증가율을 기록한 업체는 정육 육가공 파트너사로 지난해보다 80배 성장했다. 월 평균 1억원 이상 매출을 올리는 기업도 100곳이 넘어 지난해 대비 2배 증가했다.
코로나로 인한 어려운 경제 상황 속에서도 마켓컬리에서의 매출 성장을 기반으로 사업 확장을 진행하고 있는 업체도 있다. 컬리에 수산물 밀키트를 공급하고 있는 파트너사는 올 한 해, 인력을 1.6배 이상 고용하고 공장 규모를 2배 이상 늘리는 등 사업을 확장했다. 코로나로 인해 판로를 잃고 극심한 위기를 맞았던 프리지아 화훼 농가는 아예 업종 변경까지 고려했지만 올해 2월 컬리에 입점하면서 재배면적을 늘리는 등의 성과를 얻었다.
마켓컬리는 올 한 해 약 600개의 중소상공인 파트너사와 신규 거래를 시작해 비대면 시대, 새로운 판로를 찾고 있는 중소상공인에게 온라인 판로를 제공했다. 지난 해 대비 1.7배가 넘는 신규 중소상공인이 마켓컬리를 통해 새로운 판로를 개척했으며 이 들 중소 상공인들은 마켓컬리 전체 파트너사의 95%를 차지한다.
컬리는 코로나로 인해 큰 타격을 입은 오프라인 식당과의 협업을 통해 침체기를 겪고 있는 식품 산업 전반에도 기여했다. 마켓컬리의 상품 기획 역량 및 풀콜드체인 유통망을 통해 매장에서 맛보았던 맛을 집에서도 구현할 수 있게 되자 관련 업체들의 매출은 5~10배가량 성장했다. 서래마을 맛집으로 유명한 이탈리아 음식점인 톰볼라는 2020년 기존 공급하던 라자냐 외에 피자, 뇨끼 등 새로운 상품을 추가로 입점하며 지난 해 대비 9.7배의 높은 성장을 보였다.
마켓컬리의 신용도를 활용해 금융기관이 파트너사에게 단기 자금을 융통하는 구매론 프로그램의 연간 누적 사용액 규모도 400억원 이상으로 지난 해 대비 3배 이상 증가했다. 2020년 11월 기준으로 파트너사들의 구매론 프로그램 이용횟수는 총 287회에 달하였으며, 이 자금은 각 기업의 원활한 자금 순환에 기여하고 있다./dalov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SK에코플랜트, 작년 영업익 2346억원…전년比 49%↑
- “신축 아파트 희소성 더 커진다”…‘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 2·3단지’ 선점 경쟁 후끈
- 방통위, 광고메시지 '친구톡' 준비 카카오에 "스팸 방지 협조 요청"
- HLB 진양곤, 간암 신약 불발 ‘사과’…“끝 아니다”
- 발란, 결국 법정관리…미정산 대금 130억 불투명
- 보험 수수료 공개가 생존 위협?…소비자 “환영”
- 신영證 등 증권사 연대, ‘홈플러스’ 형사고소…MBK는?
- 대우건설 김보현, 재도약 다짐…'안전' 최우선 과제로
- “中企 판로확대 돕는다면서”…‘T커머스 허가’ 하세월
- 코웨이 ‘집중투표제’ 도입 불발…행동주의 펀드 완패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