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마감시황]코스피, 외인·기관 1.7조 매물 폭탄에 3%↓…3,000선 붕괴

[서울경제TV=배요한기자] 코스피 지수가 외국인과 기관투자자의 동반 매도 공세에 3% 넘게 급락하며 3,000선이 붕괴됐다. 4거래일 연속 하락세다. 이날 상승 출발한 코스피 지수는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물량이 지속적으로 출회되면서 장중 낙폭을 키워 거래를 마쳤다. 특히 외국인은 1조4,000억원이 넘는 매물 폭탄을 쏟아내면서 지수에 하방 압력을 가했다. 코스닥 역시 외국인과 기관의 쌍끌이 매도 공세에 3% 이상 내렸다.
코스피 지수는 29일 전일 대비 92.84포인트(-3.03%) 급락한 2,976.21에 종료됐다. 개인 홀로 1조7,086억원을 순매수한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조4,413억원과 2,537억원을 순매도했다.
모든 업종이 내림세를 보였다. 기계(-5.40%), 건설업(-4.92%), 운수장비(-4.50%), 의약품(-4.41%) 등의 순으로 하락 폭이 컸다. 시가총액 상위종목 역시 약세를 기록했다. 삼성전자(-2.03%), SK하이닉스(-0.41%), LG화학(-2.24%), 삼성전자우(-3.31%) 등이 내렸다. 제주은행과 현대비앤지스틸우가 상한가를 기록했고, 하한가 종목은 없었다.
코스닥 지수는 32.50포인트(-3.38%) 내린 928.73에 장을 마감했다. 개인 홀로 2,164억원을 순매수한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773억원과 1,094억원을 순매도했다.
오락·문화(-4.39%), 기계·장비(-4.35%), 섬유.의류(-4.09%), 종이·목재(-4.06%) 등 대부분의 업종이 약세를 나타냈다. 시가총액 상위종목에서는 에이치엘비(1.01%)를 제외하고 셀트리온헬스케어(-3.69%), 셀트리온제약(-6.22%), 씨젠(-2.37%) 등이 하락했다. 신원종합개발이 상한가를 기록했고, 하한가 종목은 없었다.
원·달러 환율은 소폭 상승 마감했다. 2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0.70원(0.06%) 오른 1,118.670원에 거래를 마쳤다.
서상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29일 “한국 증시는 미국 추가 부양책에 대한 기대 속 1% 넘게 상승하기도 했으나, 여전히 이어지는 외국인의 매물출회로 상승분을 반납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밝혔다.
이어 “장중 미국의 야간 지수 선물이 재차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투기적 거래 관련 종목들의 시간외 급등에 따른 우려 때문으로 추정된다”며 “외국인의 대규모 순매도가 지속되고 있는데 화학, 통신, 철강 등 일부를 제외하고 전기전자 등 대부분의 업종군에 대한 매물이 확산했다”고 분석했다.
/byh@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롯데카드 해킹사고' 청문회 증인 채택된 MBK 김병주 회장, 출석 여부 '관심'
- 그린플러스, 충남 부여·전남 보성서 74억 스마트팜 수주
- 한울앤제주 “팥고당, 태국·일본 업체와 협업 논의”
- 메드팩토, ‘백토서팁’ 골육종 임상 2상 첫 환자 등록
- 농협은행, 중견기업 맞춤형 금융지원 나선다
- JB금융그룹, 추석 특별자금 1조1000억원 지원
- 삼성전자, 프리마켓서 ‘9만전자’ 터치…장중 9만1000원
- 에이피알, 3분기 호실적 전망…목표가 10%↑-한투
- KS인더스트리, 'KORMARINE 2025' 참가…"글로벌 A/S 네트워크 공개"
- 토스 고성장에 조급했나…카카오페이證, 고수익률 홍보 알림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시, 생활문화예술동호회 페스티벌 9월 28일 개최
- 2남원시, 농촌공간 재편 위한 권역별 주민공청회 연다
- 3"남원의 자랑스러운 얼굴들"…2025 시민의장 주인공 발표
- 4김용진 전 기재부 차관, GH 제13대 사장 취임
- 5장수군, 농촌특화지구형 농촌공간정비사업 공모 선정
- 6장수군 홍보대사 최재명 팬, 장수군에 어린이 도서 600권 기탁
- 7대한패브릭 서한집 대표, 3년 연속 순창군에 고향사랑기부금 전달
- 8"군민 안전 최우선" 임실군, 2026년 재해예방 정비사업 확정
- 9임실군 붕어섬 생태공원, 가을꽃 물결로 단장
- 10LG전자 소프트웨어 개발자 콘퍼런스…"AI 기술 리더 한 자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