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트론바이오, 그램 음성균 타깃의 엔도리신 신약물질 확보

[서울경제TV=김혜영기자]인트론바이오 (048530, 대표 윤경원)는 최근 큰 문제가 되고 있는 그램 음성균 (Gram negative bacteria)에 대해 매우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 엔도리신 (Endolysin) 신약 후보물질 ‘GNA200’을 확보했다고 3일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창업 초기부터 오랜 기간 관련 연구를 통해 축적된 박테리오파지 및 엔도리신 개량기술과 더불어 더욱 진일보한 잇트리신 (itLysin) 기술을 접목한 엔도리신 신약기술의 결정체라 할 수 있는 GN200 series를 개발했다. 이 가운데 그 심각성이 가장 큰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Acinetobacter baumannii)에 대해 차별적 우수성을 보이는 신약물질인 ‘GNA200’을 최종 선발했다고 밝혔다.
인트론바이오는 해당 신약물질의 특허기술 권리를 확보하기 위해 우선권 주장 미국 특허출원을 완료했으며, 이를 근거로 글로벌 특허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지금까지 엔도리신을 포함한 항생제들은 그램 음성균에 존재하는 외막 (Outer membrane) 장벽을 통과하지 못해 효과가 저하된다고 알려져 왔다. 인트론바이오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유효 엔도리신을 이끌고 외막 장벽을 보다 용이하게 통과하게 하는 기술을 개발한 것으로서 이번 기술 개발은 ‘말과 마차 개념 (horse and wagon concept)’이 적용돼 PoC (proof of concept)가 입증된 것이라고 밝혔다.
그램 음성균은 폐렴 (Pneumonia), 복막염 (Peritonitis), 요로감염 (Urinary tract infections), 혈액감염 (Bloodstream infections), 수막염 (Meningitis)과 같은 다양한 질병을 야기시키고 있다. 특히 최근 그램 음성균의 항생제 내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반해, 그램 음성균 감염에 효과적인 치료제가 없는 실정이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또 그램 음성균 중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 감염증도 지난 15년 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은 이라크 분쟁지역에서 악명 높은 ‘Iraqibacter’라고도 불리면서 전세계에서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인트론바이오가 최근 다국적 사업을 영위하는 CRO(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와 협력해 미국 등의 시장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균은 항생제 내성 문제가 심각한 균종으로서 미국에서 카바페넴 내성 (Carbapenem resistance)이 가장 심각한 균종으로 카바페넴 내성률이 48%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GN200 series와 같은 새로운 계열의 항생물질의 필요성에 대해 큰 기대를 나타내기도 했다.
전수연 인트론바이오 생명공학연구소 센터장은 “항생제를 개발하고 있는 글로벌 대형 제약사들은 그램 음성균을 타겟하는 새로운 항생제의 개발에 큰 관심과 투자를 진행하고 있는데, 강한 항생제를 개발하면 결국 그에 또 내성을 갖는 더욱 강한 슈퍼박테리아가 유발되는 악순환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러한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수 있는 혁신적인 신약 플랫폼에 대해 매우 갈망하고 있는 상황에서 인트론바이오가 개발한 GN200 serie에 대해 지금까지 전문가들의 평가는 매우 고무적”이라고 밝혔다.
인트론바이오는 박테리오파지 및 엔도리신에 특화된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슈퍼박테리아에 효과적인 바이오신약을 개발해 오고 있는 기업으로서, MRSA 타겟 엔도리신 신약인 SAL200을 로이반트(ROIVANT)사에 1조원 규모로 기술수출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수의 유망한 그램 양성균 슈퍼박테리아에 대한 엔도리신 개발도 진행하고 있다.
윤경원 인트론바이오 대표는 “잇트리신 플랫폼 기술은 엔도리신을 자유자재로 용도에 맞게 개량해 낼 수 있는 플랫폼 기술로서, 이번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는 물론, 향후 슈도모나스 (Pseudomonas), 크렙시엘라 (Klebsiella) 등의 그램 음성균 슈퍼박테리아 신약 개발에 획기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잇트리신 및 박테리오파지 기술에 기반한 세균성 슈퍼박테리아 신약과, 파지러스 (PHAGERUS) 기술에 기반한 ‘슈퍼바이러스 (Super Virus)’에 대한 신약 개발에 집중 투자해 나갈 것이며, 명실공히 세균 바이러스 관련 글로벌 R&BD그룹으로 성장해 나가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hyk@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증시 부양 공약에 금리 인하 호재까지…환호하는 금융株
- [이슈플러스] 7달새 네번째 금리 인하…주담대 증가세 가속화?
- 금융당국 "사모펀드 감독 강화"에 긴장하는 2금융권
- 한국투자증권, 美 법인에 3711억 조달…"현지 IB 역량 강화"
- 네이버페이, 10주년 기념 'Npay 10 페스타'…31일까지 이어진다
- 두나무, 오경석 신임 대표 내정...내달 주총서 의결
- 이석우 두나무 대표 사임…"고문으로 남아 일할 계획"
- 코스피, 2720대 마감…10개월만에 최고
- IBK기업은행, ‘I-기후동행카드’ 출시
- 은행권, 지난해 사회공헌 1조8934억 투입…전년比 16% 증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전북 순창, 사전투표 첫날 투표율 45.51% '전국 1위'
- 2부산항만공사 "올카고 그룹, 부산항 신항에 물류센터 개장"
- 3남원시관광협의회 리플러스, 감성 힐링 프로그램 '별멍달멍' 개최
- 4미라클여성의원 박동수 원장, 계명대 동산병원에 발전기금 5천만 원 기부
- 5계명대 동산병원, 정신건강 분야 적정성 평가 2개 부문 ‘1등급’ 획득
- 6의성군의회, 의성소방서와 합동소방훈련 실시
- 7의성군, 국제자매결연도시 중국 셴양시 교사·학생 대표단 방문
- 8삼성물산, 엘리엇에 2심도 이겨…“지연손해금 안줘도 돼”
- 9대구광역시, 2025년 제1차 '라이즈(RISE) 성과포럼’ 개최
- 10대구광역시, 노숙인 일자리 창출 협력사업 업무협약 체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