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스트플레이어, 연 매출 700억 원 목표 수립…데이터 커머스로 진화 선언

헬스케어-이너뷰티 분야의 커머스 강자 넥스트플레이어(대표이사 박선태)가 데이터 커머스로의 진화를 선언했다.
넥스트플레이어는 그동안 진행해온 2000여 개의 캠페인, 약 200만 명의 축적된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기반 커머스
플랫폼을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구체적으로는 유통 트렌드에 맞는 제품 기획부터 제품별 마케팅 예산 수립, 캠페인 진행, 판매 분석까지 원스톱(one-stop)으로 이어지는 커머스 가치 사슬을 구축해 낼 계획이다.
동 플랫폼을 통해 제조사는 시장의 동향을 파악해 상품을 기획 및 제조에 반영할 수 있으며, 고객 입장은 빠르게 개인별 취향에 맞는 상품을 클릭 한 번으로 손쉽게 구매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가 나온다. 그동안 수개월 내지는 수년이 걸려왔던 신규 브랜드 런칭도 빠르면 30일
이내 시장에 안착시킬 수 있을 전망이다.
이를 위해 넥스트 플레이어는
올해 초 빅데이터 관련 조직을 신설하고 관련 연구 개발을 착수했다. 또 올해 3월에는 이채호 동국대학교 교수(인공지능학과)를 자문 교수로 위촉해 AI 분야 전문가들과의 협업도 속도를 올리고
있다.

넥스트플레이어 용산 이전 사무실 조감도 [사진= 넥스트플레이어]
넥스트플레이어는 지난 2013년 설립된 커머스 스타트업이다. 20~30대의 젊은 사용자들을
주 대상으로 하는 헬스헬퍼 등 헬스케어와 이너뷰티 산업군의 다양한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무엇보다
그동안 ‘헬스케어 불모지’로 불려왔던 젊은 20~30대 고객들을 대상으로 매년 2.5배 이상의 폭발적인 헬스케어
매출 증가세를 기록 중이며, 비(본명 정지훈) 등 다양한 연예인들을 간판 모델로 삼아 성공적인 광고를 진행하고 있다. 넥스트플레이어는
올해 약 700억 원의 매출을 목표로 사업을 진행 중이다.
특히 강력한 자체 커머스
플랫폼을 통해 충성 고객군을 확보한 점은 넥스트플레이어의 지속적인성장비결로 꼽힌다. 대부분의 온라인
중심 브랜드들이 오픈 마켓을 통해 성장한 반면, 넥스트플레이어의 브랜드들은 자체 커머스 플랫폼을 통한
매출 비중이 무려 90%에 달한다. 그만큼 고객의 충성도가
높고, 이탈률이 낮아 지속적인 재구매가 이어진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한편 넥스트플레이어는 축적된 저력을 바탕으로 내년 상장심사 청구를 추진 중이다. /박진관 기자 nomadp@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부고] 안지선(헤일리온코리아 본부장) 부친상
- 여름철 수족구병 확산…영유아 감염자 비율 급증
- 식중독 주의보…"식재료 내부까지 충분히 익혀 드세요"
- 고려대 의대 백신혁신센터, ‘한국형 ARPA-H’ 보건안보 분야 과제 주관기관 선정
- 폭염에 코로나까지 기승…기침·발열 있다면 의심을
- 분당서울대병원 변석수 교수, 일반인 위한 신장암 안내서 세 번째 개정판 출간
- 서울대병원 "혈액 검사로 소아 모야모야병 조기 진단 가능성"
- 인천세종병원 관상동맥우회술센터 개소
- 가수 보아,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에 1억원 기부
- "뇌졸중 치료, 유전자형 따라 다르게 접근해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