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3구 1인 가구 비율 37%…주택 ‘다운사이징’ 트렌드 확산

[서울경제TV=정창신기자] 강남3구 1인 가구 비율이 37.1%로 나타난 가운데, 소형주택이 주목받고 있다.
18일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 인구 기타현황’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서울 강남·서초·송파 등 이른바 강남3구의 1인 가구는 총 25만4,465가구로 확인됐다. 전체 가구수인 68만5,307가구의 37.1%에 해당하는 수치로 3가구 당 1가구 이상이 1인 가구인 셈이다.
이 같은 분위기에 소형주택 거래도 활발한 모습이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월별 거래규모별 주택거래현황’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강남 3구에서 거래된 전용 60㎡ 이하의 소형주택은 총 7,634건으로 확인됐다. 전년 동기 거래량(6,336건) 보다 20.49% 증가했다.
가격 상승세도 나타나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강남구 삼성동 ‘힐스테이트 1단지’ 전용 31.402㎡ 타입은 올해 5월 12억2,50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기록했다. 앞서 3월 거래된 11억9,000만원에서 2개월 만에 3,500만원 올랐다. 강남구 개포동 ‘성원대치 2단지’ 전용 33.18㎡ 타입 역시 지난해 5월 8억7,000만원에서 올해 5월 2억7,000만원 오른 11억4,000만원에 손바뀜 됐다.
도시형 생활주택 등 대안 주거시설도 비슷한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서울시 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강남구 청담동 ‘라테라스 청담’ 전용 35.31㎡ 타입은 지난해 6월 7억5,000만원에 거래되던 것이 같은해 11월 5,000만원 오른 8억원에 거래된 바 있다.
부동산 전문가는 “강남3구 1인 가구 비율이 늘면서 ‘다운사이징’된 소형 주거시설이 인기를 끌고 있다”며 “특히, 오피스텔 대비 상대적으로 가격 상승폭이 큰 소형 아파트나 도시형 생활주택 등으로의 수요 쏠림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가운데, 강남3구에서는 소형주택 분양이 이어지고 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서울 강남구 역삼동 옛 스포월드부지에서 ‘원에디션 강남’을 분양 중이다. 대지면적 6,355㎡에 지하 5층~지상 20층 3개 동 규모로, 도시형 생활주택 전용 26~49㎡ 234가구 및 오피스텔·근린생활시설·스포츠시설 등으로 구성된다. 최근 강남3구에서 분양한 고급주거시설 대다수가 1개 동 규모인 점을 감안하면 규모면에서 차별화된다.
‘원에디션 강남’ 외부는 곡선의 건축미학을 살린 유선형 설계가 적용된다. 생활공간 내부는 와이드LDK 설계로 개방감이 극대화되며, 일부 가구에는 서울 강남의 파노라마 뷰를 누릴 수 있는 프라이빗 테라스 등이 도입된다. 이밖에도 독일제 명품 주방 가구 ‘지매틱’을 비롯, 명품 빌트인 가전 ‘가게나우’, 이태리산 브랜드 ‘리마데시오’, 미국의 주방 및 욕실 제품 브랜드인 ‘퀼러’ 등 해외의 명품 가구 및 가전 등도 적용된다.
견본주택은 서울시 강남구 신사동 622-5번지에 위치해 있다. /csj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오세훈 서울시장 “10·15 대책 대폭 수정해야”
- 국토부, 올해 동계 항공편 운항 일정 확정…국제선 회복세 뚜렷
- 자립준비청년 정신건강 진료 5년간 30% 증가…구조적 관리 필요
- 日, 트럼프 방일 시 美와 조선업 협력각서 체결 조율
- 최선희 北 외무상, 러시아·벨라루스 방문…북미 정상 만남 불발되나
- 국내 유통 CEO들 한자리에…APEC서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 李대통령, 아세안 참석차 말레이 향발…정상외교 슈퍼위크 시작
- 현대건설, '국내기업 최초' 美 대형원전 프로젝트 수행계약 체결
- 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 정부 제동 가능성…BP 우선 협상 논란 확산
- 기후변화에 자취 감춘 중·대형 고등어…수입산 비중 확대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오세훈 서울시장 “10·15 대책 대폭 수정해야”
- 2국토부, 올해 동계 항공편 운항 일정 확정…국제선 회복세 뚜렷
- 3자립준비청년 정신건강 진료 5년간 30% 증가…구조적 관리 필요
- 4日, 트럼프 방일 시 美와 조선업 협력각서 체결 조율
- 5최선희 北 외무상, 러시아·벨라루스 방문…북미 정상 만남 불발되나
- 6국내 유통 CEO들 한자리에…APEC서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 7李대통령, 아세안 참석차 말레이 향발…정상외교 슈퍼위크 시작
- 8현대건설, '국내기업 최초' 美 대형원전 프로젝트 수행계약 체결
- 9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 정부 제동 가능성…BP 우선 협상 논란 확산
- 10기후변화에 자취 감춘 중·대형 고등어…수입산 비중 확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