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상식] 겨울철 심해지는 ‘어깨충돌증후군’ 증상과 치료법은?

어깨는 우리 인체에서 가장 가동범위가 넓은 관절로, 360도 돌아가는 유일한 곳이다. 하지만 어깨에 통증이 발생하면 운동 범위가 제한될 뿐만 아니라, 평소에 팔을 위로 들거나 움직이는 것에도 통증을 느껴 일상활에도 많은 제약을 받을 수 있다.
어깨 통증은 겨울이 되면 유독 심해지는 경향을 띈다. 잘못된 자세와 습관 등을 비롯해 외부의 자극으로 인해 나타나는 어깨 통증은 추위로 인하여 실내나 외부에서 움츠리는 자세를 이어감에 따라 강한 통증으로 이어지게 된다.
대표적으로 나타나는 어깨 질환은 어깨충돌증후군, 회전근개파열 및 오십견으로 알려진 유착성 관절낭염 등으로 최근에는 야구, 테니스, 골프 등의 스포츠를 즐기는 젊은 층 사이에서도 높은 환자 발생률을 기록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흔하게 나타나는 염증 질환인 ‘어깨충돌증후군’은 선천적인 뼈의 기형이나 회전근개의 손상, 노화로 인한 견봉과 힘줄 퇴행이 진행돼 위쪽 팔 뼈와 견봉의 사이 공간이 부딪혀 마찰로 인해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어깨충돌증후군의 특징은 팔을 일정 높이 올렸을 때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며, 아픈 어깨 쪽으로 누울 경우 통증이 극심해진다. 또한 평소 어깨에서 삐걱거리는 소리인 연발음이 들리거나, 무언가 걸리는 듯한 느낌이 종종 들며 욱신거리는 통증 등이 동반될 수 있다.
증상 초기에는 물리치료, 약물치료 등으로 개선이 가능하나 그 손상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X-ray를 통해 진단을 하고, 회전근개의 손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MRI 촬영을 한 뒤 수술이 필요할 경우 관절내시경을 삽입하여 수술을 받아야 한다.
이와 함께 평소 어깨 통증을 예방 및 완화하고, 어깨충돌증후군을 관리하기 위해 어깨를 사용하기 전 충분히 스트레칭을 할 것을 권장한다. 일상생활에서 물건을 들 때나 팔을 움직이는 자세 등은 어깨에 무리가 갈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하고, 어깨와 팔 주변의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을 꾸준히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정의준 기자 firstay@sedaily.com
도움말 : 정성훈 원장(연세사랑병원 어깨상지센터)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16세 미만서 발생하는 '소아특발성관절염'…유병률·발생률 밝혀져
- 유독 피곤하다면... 늦더위 탓 면역력·자율신경계 이상 의심해야
- 이화의료원 ‘이화 옴니 리더십 아카데미’ 운영
- 기온 33도 이상일 때 온열질환자 급증…질병청 "8월 말까지 주의"
- 무더운 여름, 전립선 건강엔 ‘빨간 불’
- 환자 맞춤형 인공관절 수술도구 스카이브 '니비게이트'…'평가 유예 신의료기술' 선정
- 새로운 결핵 백신·치료 플랫폼 개발…수지상세포 활용
- 바른세상병원, 4주기 연속 복지부 의료기관 인증 획득
- "나이 많다고 검진 제외됐는데…" 70세 이상도 '저선량 CT' 한 번에 폐암 발견
- 중앙대병원 "85세 고령에도 심장 수술…삶의 질 크게 높아져"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계명대 동산병원, ‘유방암’ 적정성 평가 1등급
- 2계명대 간호대학, 후쿠오카대 간호대학과 교환학생 프로그램 개최
- 3영남대, 2024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 가져
- 4대구대, 2024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 개최
- 5대구시, ‘지역거점 AX 혁신 기술개발’ 예타면제 통과
- 6안동고, 2025 안동 지역상생 포럼 대상 수상
- 7경상북도교육청연구원, 초등 3~4학년 2학기 과정중심 평가 도움자료 지속 개발‧보급
- 8달성군 시설관리공단, 기상청 ‘날씨경영 우수기관’ 4회 연속 선정
- 9이철우 경북도지사 “청도 열차사고 공식 명칭 ‘무궁화호 열차사고’로 통일” 요구
- 10경상북도 양자기술 100년, 미래 100년 향하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