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은행연체율 0.22% 최저…“코로나19 착시 우려 더 커져”

[서울경제TV=최재영기자] 올해 3월말 국내 은행 원화대출 연체율이 0.22%를 기록하면서 전월에 이어 낮은 수준을 이어갔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산 이후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한 금융지원(대출 만기 연장, 이자 상환 유예)등을 고려하면 착시 현상이 더 짙어지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금융감독원이 19일 내놓은 ‘2022년 3월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 현황’(잠정)을 보면 올 3월말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은 0.22%로 전월말(0.25%)보다 0.03%포인트 하락했다. 또 1년전 같은달(0.28%)보다는 0.06%포인트 내린 수치다.
3월 신규 연체 발생액은 8000억원으로 전달 보다는 1000억원 감소했다. 다만 연체채권 정리규모는 1조5000억원으로 전월보다 9000억원 증가했다.
부문별로는 기업대출 연체율이 0.26%를 기록, 전월말(0.30%)대비 0.04% 하락했다. 전년동월말(0.37%) 대비로는 0.11%하락한 규모다.
대기업대출 연체율(0.23%)은 2월말(0.23%)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고 1년전 같은달(0.36%)과 비교해서는 0.13%포인트 하락했다.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27%로 전월말(0.23%)보다는 0.05%포인트, 전년동월 대비로는 0.10%포인트 내렸다. 또 중소법인 연체율은 전월(0.42%)보다 0.07%포인트 하락한 0.35%를 기록했고 개인사업자대출은 전달(0.20%)보다 0.03%포인트 떨어진 0.17%로 집계됐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1.7%로 전달(0.19%)보다 0.02%포인트 내렸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은 전달(0.11%)보다 0.01%포인트 떨어진 0.10%를 나타냈다.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신용대출 등 가계대출은 전월(0.37%)보다 0.06%포인트 하락한 0.31%를 기록했다.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코로나19가 확산시기던 2020년 2월 0.43%를 기록한 이후 줄곧 하락세를 보여왔다. 그동안 은행들이 연체율 관리를 강화한 영향 때문이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산 당시 정부가 소상공인, 중소기업에 대한 금융지원 강화를 고려하면 아직 연체율이 제대로 드러나지 않았다는 평가도 나온다. /cjy3@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KB금융, '제25회 대한민국 디지털경영혁신대상' 대통령상 수상
- 비에이치아이, 2MW급 친환경 그린수소 생산설비 시연회 성료
- 신한은행 '땡겨요', 서울시 및 11개 피자·햄버거 프랜차이즈와 상생 협약
- IBK證, 부동산 담은 AI자산진단 MTS 서비스 출시
- 한울반도체 “비트로 인수…글로벌 팬덤 비즈니스 진출”
- 키움증권, 낙인배리어 35% 글로벌지수 ELS 출시
- 키움증권, ‘제18기 고객패널’ 모집
- 신협, 임직원 참여형 ESG 자원순환 캠페인 실시
- NH농협은행, 기업ERP서 금융업무 가능한 'NH임베디드플랫폼' 오픈
- 헬스케치, ‘스타브랜드 대상’ 헬스케어 빅데이터 플랫폼 부문 대상 수상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iM뱅크(아이엠뱅크), ‘소상공인 성장촉진 보증대출’ 출시
- 2수성아트피아, 수성대합창제 '우리' 개최
- 3영남이공대, 모빌리티·로봇·외국인유학생 진로취업 지산학협의회 개최
- 4버거킹, 서울시와 '서울배달+ 땡겨요 활성화' 협약 체결
- 5존슨즈, 이마트 ‘고래잇 페스타’서 속광로즈 로션 세트 공개
- 6김천교육지원청 운곡초등학교병설유치원, 2학기 작가와의 만남 실시
- 7동원F&B, 온라인몰 '동원몰-더반찬&' 통합···"종합 식품 플랫폼 도약"
- 8CJ올리브영, ‘2025 어워즈’ 발표…프로모션 진행도
- 9KB금융, '제25회 대한민국 디지털경영혁신대상' 대통령상 수상
- 10폼폼팩토리, 유아 매트리스 전 항목 KOTITI 유아 안전 인증 통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