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와이 이민 120년'…"고달팠지만 정체성 지켰다"

[서울경제TV=김수빈기자]
[앵커]
우리 선조들이 하와이 땅으로 처음 이민 간 지 120년이란 시간이 흘렀습니다. 고된 노동을 하면서도 고국을 그리워하며 한국인의 정체성을 잃지 않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다고 하는데요. 선조들의 발자취를 찾기 위해 후손들이 발 벗고 나섰습니다. 김수빈 기자가 하와이 현지를 찾았습니다.
[기자]
울창한 대나무 숲 안에 여러 비석들이 보입니다.
비석 위에는 영어로 이름이 새겨져있지만, 명백한 한국인의 무덤입니다.
하와이 빅아일랜드 내 커피농장에 놓여진 정씨 할아버지의 비석.
정씨 할아버지의 후손들은 지난해 12월 한 하와이 대학교 교수가 쓴 한국 역사책에서 할아버지 묘 사진을 발견했습니다.
이후 지난 5월 현지를 찾아 할아버지 무덤을 확인했고, 돌아가신지 70년 만에 생전에 마주하지 못한 그리움을 달랬습니다.
이처럼 커피농장 내 방치 되고 있는 한인 1세대 묘비를 보면, 낯선 땅에서 고군분투했던 당시의 모습이 연상됩니다.
한인 이민 1세대들이 하와이 땅을 처음 밟은 건 1903년 1월.
저렴한 노동력을 찾는 미국의 요청과 고종의 허가로, 1900년대 초반 7,500여 명의 한인 이민자가 하와이에 발을 들였습니다.
그들은 고국의 굶주림을 피해 낯선 땅으로 왔지만, 대부분이 사탕수수와 파인애플 농장에서 하루 69센트에서 70센트 가량을 받으며 고된 노동을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면서도 한국인의 정체성을 잃지 않기 위해 초기 이민자들은 하와이 곳곳에 학교를 설립해 국어 교육에 힘썼습니다.
뿐만 아니라 독자적으로 여러 단체를 설립해 한국문화를 알렸고, 더 나아가 독립운동에도 발 벗고 나섰습니다.
[인터뷰] 백태웅 하와이대 법과대학 교수
“다른 어느 민족보다도 하와이에 오신 한인 이민자들은 빨리 적응하고, 또 직접적인 계약의 규제를 받지 않았기 때문에 일정한 기간 이후에는 다른 분야로 업종도 바꾸고 사회 진출을 많이 했어요”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후대가 정착할 수 있는 발판을 빠르게 마련한 하와이 한인 이민 1세대.
우리 이민사의 모범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김수빈입니다. /kimsoup@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세계여자의사회 회장, 인천힘찬종합병원 공식 방문
- 유경하 이화의료원장, 사립대의료원협의회 회장 연임
- 연세사랑병원, 보건복지부 4주기 의료기관 인증 획득
- GC녹십자, 수두백신 ‘배리셀라주’ 베트남 품목허가 획득
- 서울대병원 “두 당뇨병 치료제 투여로 췌장 베타세포 노화 억제”
- 노인성 난청, 노화 탓만은 아냐… 청력 유전자 변이 기전 첫 규명
- ‘자동차보험 제도개편, 누구를 위한 정책인가?’…국회 토론회 개최
- 펩트론, 전립선암·성조숙증 치료제 '루프원' 품목허가
- 이제는 ‘마이크로 뷰티’…허벅지·팔뚝살 빼주는 '지방파괴주사제' 주목
- 암 예측부터 희귀질환 진단까지…세계 최대 규모 유전자 기능 해석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YMCA여수시민학교, ‘탈진실 시대, 언론이 민주주의를 흔든다’…변상욱 대기자 강연 열려
- 2의성키움센터, 25년 지역균형발전사업 우수사례 선정
- 3의성군, 다문화·청년이 함께하는 다문화플리마켓 개최
- 4의성군, 전국 최초 ‘농업e지’ 키오스크 시범운영 성공적 마무리
- 5의성군, 아이들행복꿈터·출산통합지원센터 환경 개선 완료
- 6국내 원자력발전소에 ‘비순정 베어링’ 4년 이상 납품돼 논란 ‘일파만파’
- 7대한상의 하계포럼…최태원 “APEC서 韓 민주주의·저력 보여줄 것”
- 8남원시,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원…'국민비서' 알림서비스 당부
- 9CJ, 부실 계열사에 TRS로 부당지원…공정위 제재
- 10반도건설, 국내 분양시장 불황에…美 LA서 ‘활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