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시티’ 속도내는 충청권, 연내 2만8000여 가구 공급 앞둬

[서울경제TV=정훈규기자] 연내 충청권에서 2만8000여 가구가 쏟아질 전망이다. 천안·아산에 분양이 다수 몰려있고, 논산에서는 3년 만에 새 아파트가 선보여 눈길을 끈다. 특히 충청권을 하나의 생활권으로 묶는 ‘충청권 메가시티’ 조성에 속도가 붙었고, 지역별로 기반산업 조성이 활발해 새 아파트의 미래가치도 높다는 평가다.
16일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연내 충청권에서 총 2만8527가구가 분양을 앞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8월까지 분양된 2만2618가구 보다 늘어날 전망이다. 시장 관망세와 원자재값 상승 등으로 미뤄졌던 분양이 연말까지 몰린 것으로 분석된다.
지역별로 ‘천안·아산’에 전체 공급량의 약 65%가 집중된 충남이 1만8300가구로 가장 많고, 충북 5455가구, 세종 1800가구, 대전 2972가구로 나타났다.
선택폭이 넓은 많은 만큼 주요 건설사 시공 단지를 중심으로 청약 수요자들의 옥석가리기도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선 대우건설은 오는 11월 충남 내 2개 지역에서 아파트 분양에 나선다. 논산 강경읍에서는 ‘논산 강경 푸르지오 더 퍼스트’ 전용면적 84㎡ 총 375가구를 분양 예정이며, 연무읍에서는 ‘논산 연무 푸르지오 더 퍼스트’ 전용면적 84~103㎡, 총 433가구를 선보일 예정이다.
삼성디스플레이, 아산스마트밸리 등 기반산업이 탄탄한 충남 천안과 아산에도 눈여겨볼 아파트가 많다. 이달 천안 서북구 두정동에는 롯데건설이 ‘천안 롯데캐슬 더 두정’을 시장에 낼 예정이다. 전용면적 59~119㎡, 584가구로 조성된다. 더블유건설과 우남건설도 같은 달 서북구 부성지구에서 ‘부성역 우남퍼스트빌’을 전용면적 84㎡ 총 316가구를 분양 예정이다.
아산에서는 GS건설이 아산시 최초 민간공원 특례사업을 통해 ‘아산자이 그랜드파크’ 총 1588가구 대단지 공급을 앞뒀다. GS건설은 충북 음성에서도 ‘음성자이 센트럴시티’ 총 1505가구를 시장에 낸다.
대전에서도 브랜드 대단지 아파트 공급이 이어진다. 포스코건설과 계롱건설 컨소시엄은 대전 서구 용문동에 재건축 단지인 ‘둔산 더샵 엘리프’ 총 2763가구 중 전용면적 48~84㎡ 1935가구를 일반분양할 예정이다. 유성구 학하동에서는 한화건설이 9월 ‘한화 포레나 대전학하’ 분양에 나선다. 총 1754가구 중 일반분양은 872가구다.
세종에서는 6-3생활권 UR3블록에서 258가구를 비롯해 5-1생활권 L9블록에서 408가구, 5-1 생활권 L12블록에서 756가구를 각각 선보일 계획이다. /cargo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이틀째 '험지' 민심 공략하는 이재명…경남서 '경청 투어'
- 이준석 "국힘, 대표·후보 내쫓기 전과 4범…이제 개혁신당으로 승부하자"
- 이태원 유족 "경찰 집회방해로 다쳐" 손배소 2심도 패소
- 주유소 휘발윳값 13주 만에 상승…"다음 주는 보합세 전망"
- 핵심자원 비축·관리체계 강화…비상동원광산 지정 추진
- SK텔레콤 해킹 사고 이후 이심 사용 증가
- 네이버 "넷플릭스 요금 인상해도 제휴 멤버십 요금 유지"
- 이탈리아 프리미엄 브랜드 ‘미아다마’, 한국 공식 진출
- [부동산 캘린더] 내주 3017가구 분양…"3기 신도시 대장지구 분양 시작"
- 국내 사외이사, 교수·관료 출신 쏠림 여전…"전문성 미흡"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부산시립시민도서관, '2025 원북 시민 독서릴레이' 운영
- 2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내주 오사카 '한국의 날' 행사 참여
- 3'공금 유용 의혹' bhc 박현종 전 회장 검찰 송치
- 4전광훈 목사 주축 대국본, 국힘의 김문수 후보 자격 취소 비난
- 5이틀째 '험지' 민심 공략하는 이재명…경남서 '경청 투어'
- 6이준석 "국힘, 대표·후보 내쫓기 전과 4범…이제 개혁신당으로 승부하자"
- 7서울 한 초등학교서 학생 등 100여명 식중독 의심 증세
- 8이태원 유족 "경찰 집회방해로 다쳐" 손배소 2심도 패소
- 9주유소 휘발윳값 13주 만에 상승…"다음 주는 보합세 전망"
- 10핵심자원 비축·관리체계 강화…비상동원광산 지정 추진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