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전업계, AI 기술 대전…똑똑한 가전으로 승부수
삼성, ‘초연결’ 방점…AI기술 담은 신제품 선봬
LG, 자동 관리 강화…“스스로 운전 조절”
캐리어, 에어컨에 AI기술…“음성으로 제어”

[서울경제TV=윤혜림기자]
[앵커]
가전업계가 고객편의를 높이는 다양한 기술을 앞세워 소비자 공략에 나서는 모습입니다. 오늘(26일) 삼성전자가 친환경과 초연결에 방점을 찍은 가전을 선보였고, 앞서 LG전자도 인공지능(AI)을 적용해 실내환경에 맞춰 운전하는 가전을 내놨는데요. 현장에 윤혜림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애플리케이션에서 버튼을 누르자 에어컨의 인공지능(AI) 절약 모드가 실행됩니다.
실내 공기질에 맞춰 공기청정기 팬이 스스로 돌아갑니다.
삼성전자가 오늘(26일) ‘비스포크 무풍에어컨’과 ‘비스포크 큐브 에어 공기청정기’ 등 연결성을 강화한 에어솔루션 신제품을 공개했습니다.
[인터뷰] 신문선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 상무
“기기 간 연결, 초연결을 통해서 사람들이 특정기기에만 한정된 게 아니라 여러 가지 연동을 통해서 전기, AI 에너지 절약 이런 것을 할 수 있고요. AI 딥러닝, 사용자 패턴 이런 것들을 지속해서 학습을 하고 있고요, 사용자에게 새로운,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 가전은 통합 연결 플랫폼 스마트싱스를 통해 ‘AI 절약 모드’를 이용하면 에너지 사용량을 20%(에어컨)에서 30%(공기청정기)까지 줄일 수 있습니다.
공기청정기는 스마트싱스의 자동화 루틴을 설정해 두면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맞춰 공기질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앞서 LG전자는 자동 관리 기능을 강화한 ‘휘센 타워에어컨’과 ‘퓨리케어 360˚ 공기청정기 알파’를 내놨습니다.
에어컨에는 실내환경에 맞춰 운전하는 ‘스마트케어’,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외출절전’ 기능을, 공기청정기에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절전 기능인 ‘인공지능+’를 적용했습니다.
캐리어도 다양한 AI 기술을 담은 에어컨 ‘디 오퍼스’를 출시했습니다. 음성 명령을 통해 제품을 작동하거나 주변 환경에 맞춰 AI 운전이 가능합니다.
[스탠딩]
“가전업계가 특화기술과 인공지능처럼 신기술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가전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은 더욱 뜨거워질 전망입니다. 서울경제TV 윤혜림입니다.” /grace_rim@sedaily.com
[영상취재 오성재 / 영상편집 채민환]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도요타, 생산량 전망치 상향 조정…1000만대 가능성도
- 트럼프, 파월에 불만 표출…연준의장직 유지 질문엔 "아마도"
- 독일 "패트리엇 2기, 우크라이나 지원"
- 안규백 국방장관, 폴란드 K2 전차 현지 생산 공장 방문
- 빅터차 "트럼프, 무역합의 대가로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구할듯"
- 정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불법 유통 특별 단속
- "디지털 자산 활성 기대"…비트마인에 몰린 서학개미
- 메가팩토리약국, 여름철 취약계층 건강 지원
- 다리 붓기 케어 브랜드 ‘레그랩’, 정제형 신제품 ‘라인포뮬러’ 출시
- 소비쿠폰 신청률 90%…재난지원금 때보다 하루 단축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조현, 美상원·백악관 인사와 면담…"전략적 경제 협력 심화"
- 2도요타, 생산량 전망치 상향 조정…1000만대 가능성도
- 3트럼프, 파월에 불만 표출…연준의장직 유지 질문엔 "아마도"
- 4김건희특검, '집사게이트' 의혹 IMS·사모펀드 대표 동시 소환
- 5독일 "패트리엇 2기, 우크라이나 지원"
- 6안규백 국방장관, 폴란드 K2 전차 현지 생산 공장 방문
- 7빅터차 "트럼프, 무역합의 대가로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구할듯"
- 8정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불법 유통 특별 단속
- 9"디지털 자산 활성 기대"…비트마인에 몰린 서학개미
- 10"중학야구계 신흥 강호로 부상"…기장BC, '대통령기 전국중학야구대회' 첫 우승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