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값 인하, 살림살이 얼마나 나아질까

[앵커]
추경호 부총리가 라면가격을 저격한지 9일만에 라면업체들이 줄줄이 백기를 들며 가격인하에 나섰습니다. 하지만 실제 소비자들의 체감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란 지적도 나옵니다. 이호진 기자입니다.
[기자]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세계 밀 가격 하락을 이유로 라면가격 인하를 주문한지 9일만에 농심을 시작으로 삼양식품, 오뚜기, 팔도가 연이어 가격 인하 결정을 내렸습니다.
밀가루 발(發) 가격 인하 파장은 제과·제빵업체로도 이어져 롯데웰푸드, 크라운해태, SPC 등의 기업들도 잇따라 가격 인하를 발표했습니다.
날로 높아지는 소비자물가를 잡고자 한 경제부처 수장의 특단의 조치였지만, 실제로 소비자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라면이 소비자물가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기 때문입니다.
라면의 소비자물가지수 가중치는 1,000 중 2.7로 외식(126.7), 휘발유(20.8), 전기요금(15.5)과 비교하면 상당히 낮습니다.
작년 한국인의 1인당 연간 라면 소비량이 77개로 집계됐는데, 농심의 신라면 가격 인하로 소매점 판매가가 50원 낮아지면 1인당 연간 3,850원을 아낄 수 있게 되는 정도입니다.
이를 월로 환산하면 1인당 320원 수준입니다.
실제 가계나 지표상으로도 큰 개선 효과를 기대하긴 어려운 셈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유독 라면값에 신경쓰는 이유는 서민식품을 대표하는 상징성때문으로 풀이됩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시장 경제에 과하게 개입하는 지금의 방식은 문제가 있다는게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
[인터뷰] 서용구 / 숙명여대 경영학과 교수
“내년에 우크라이나 전쟁이 안 끝난다고 생각하면 밀가루를 더 많이 확보해서 밀가루 가격을 안정시키는 등의 원자재 가격을 정부가 간접적으로 신경을 쓰는 걸로 해야지 실질적인 소비자 가격까지 품목별로 관리하는 것은 되게 부적절하다고…”
라면기업들의 가격 인하는 13년 전 이명박 정부 시절 이후 처음입니다.
당시 이명박 정부는 라면 등 실생활 밀접 품목을 추려 MB물가지수를 만들고 집중 관리했지만 3년새 소비자물가지수가 12% 오른데 반해 MB물가지수는 20% 상승해 실패한 정책의 사례로 꼽힙니다.
서울경제TV 이호진입니다. /hojinlee97@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돈키호테' 서울 상륙...GS25 팝업스토어 오픈런
- 게임업계, 보안 예산 ‘인색’…“매출 1%도 안 써”
- 넥센 오너家 세금 없이 570억 확보…상속세 대비 포석?
- 본업 정상화 시급한데…형지글로벌 ‘코인’ 승부수
- 현대엔지니어링, 플랜트 사업 확대…재도약 기반 마련
- “갤럭시 출시·단통법 폐지”…통신사, 점유율 확대 ‘총력’
- 낙동강 상류 환경 피해 주민들 “환경오염 더는 못 참아”...영풍 석포제련소에 손배소
- 결혼정보회사 지노블, '프리미엄 매칭 서비스' 선봬
- 대한항공, 2분기 영업익 3990억 원…전년 동기 比 3.5% 감소
- 중기중앙회, 2026년 적용 최저임금 결정에 "깊은 유감"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돈키호테' 서울 상륙...GS25 팝업스토어 오픈런
- 2펫보험, 치열해지는 주도권 다툼…1강 구도 흔들리나
- 3나홀로 후진했던 BNK금융…실적 반등 노린다
- 4게임업계, 보안 예산 ‘인색’…“매출 1%도 안 써”
- 5넥센 오너家 세금 없이 570억 확보…상속세 대비 포석?
- 6본업 정상화 시급한데…형지글로벌 ‘코인’ 승부수
- 7현대엔지니어링, 플랜트 사업 확대…재도약 기반 마련
- 8“갤럭시 출시·단통법 폐지”…통신사, 점유율 확대 ‘총력’
- 9양산시, '하반기 공공근로·지역공동체일자리사업' 참여자 모집
- 10인천시, 공적입양체계 준비 합동 간담회 실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