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커뮤니케이션즈 ‘네이트Q’, 국내 팁 문화 도입 설문조사 결과 발표

SK커뮤니케이션즈(대표 장우홍) 시사 Poll 서비스 ‘네이트Q’가 최근 성인남녀 12,106명을 대상으로 ‘국내 팁 문화 도입’에 대한 의견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설문조사는 최근 국내 호출용 택시 업계를 시작으로 최근 유명 식당이나 카페 등에서도 속속 도입되고 있는 팁 서비스 문화에 대한 네티즌들의 의견을 묻기 위해 진행됐다.
설문 결과 응답자 중 약73%(8,934명)가 ‘절대 받아 들일 수 없다’라는 강한 반대 입장을 표했다. 이어 약 19%(2,403명)의 응답자가 ‘낼 사람은 내고, 안 낼 사람은 안 내면 된다’라며, 강제성이 없는 만큼 크게 개의치 않는다는 의견을 전했다. 반면 ‘좋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면 적극 수용할 수 있다’는 긍정적 의견은 5%(723명)에 그쳤다.
팁 문화 도입에 대한 불가 의견은 설문에 참여한 남녀 응답자 각각 72%, 75%의 응답률을 나타냈다. 다만 60대 이상 남성의 경우 ‘적극 수용할 수 있다’는 의견이 12%로 가장 높은 수용도를 나타낸 반면 20대 여성의 경우 팁 문화 도입 수용에 대한 긍정적 의견이 가장 낮은 3%에 그쳤다.
설문조사 댓글에는 ‘팁을 안 주거나 금액이 적으면 식당에서 차별 받으며 식사하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다’, ‘친절도 돈 주고 사야 하는 팁 문화는 없어져야 한다’, ‘팁을 당연히 받아야 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것이 짜증난다’ 등 팁 문화가 도입∙확대될 경우 소비자가 불이익을 당할 수 있을 것이란 우려 섞인 의견들이 많았다.
특히 ‘미국 역시 과도한 팁 요구 등으로 인한 문제가 많은데 이걸 굳이 도입해야 될 이유가 뭔지 모르겠다’ 등 팁 문화에 대한 강한 저항감을 나타냈다.
안지선 SK컴즈 미디어서비스 팀장은 “대부분의 네티즌들은 호출용 택시 서비스를 비롯 식당이나 카페 등 국내에서 속속 도입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팁 문화에 대해 대부분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이어 “최근 음식 배달비를 비롯해 기존에 무료로 제공되던 각종 서비스들의 유료 전환 및 요금 상승 등으로 소비자 부담과 저항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섣부른 팁 서비스 도입 시도에 앞서 소비자들이 납득할 수 있는 충분한 사회적 합의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정의준 기자 firstay@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문화해설 로봇 ‘큐아이’, 만화박물관서 ‘K-콘텐츠’ 알린다
- 한국음악저작권협회, ‘AI 사용 안 썼다’ 보증 절차 도입
- 지리산 산불, 국립공원 외곽 200m 남아…"오늘 주불 진화 최선"
- 韓 대행 "산불 이재민 일상 회복 때까지 모든 지원 아끼지 않을 것"
- '경북 산불' 사망자 2명 늘어…화마에 26명 목숨 잃어
- 부산대 의대 "미등록자 내달 5일부터 제적 절차 진행"
- 안동·의성 산불, 부분 재발화…헬기 투입 진화작업
- 한국문화정보원-법무법인 유연, 법률 자문 협약
- "가짜 팬후기"…'뒷광고' 카카오엔터 과징금 3억9000만원
- 의총협 "35개교 휴학계 반려 완료…나머지도 반려 예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