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인데요" 목소리에 다 속았다 …''권력사칭' 급증한 보이스피싱

[서울경제TV=최재영 기자] 보이스피싱이 가족 등 지인 사칭은 크게 감소한데 반해 검찰 등 정부기관을 사칭 사례를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국민의 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8년부터 올해 7월까지 발생한 기관 사칭형 보이스피싱은 2만550건으로 피해액은 4143억원이다.
특히 올해에만 2506건(343억원)에 달하는 기관 사칭형 보이스피싱이 발생했다. 2021년 912건(171억원), 2022년 1310건(213억원)과 비교해 증가세가 뚜렷하다.
반면 지인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2021년 991억원, 작년 927억원에서 올해 상반기 320억원으로 크게 줄었다. 대출 빙자형은 2021년 521억원, 지난해 311억원, 올해 상반기 241억원으로 집계됐다.
기관을 사칭한 보이스피싱에서는 검찰·경찰·법원을 사칭한 건수가 1만6008건(3400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10건 중 8건 이상이 사법기관을 행세한 것이다.
다음으로는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사칭도 적지 않았다. 금융당국 직원인 것 처럼 연락해 돈을 유구한 경우는 1781건(55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외에도 시중은행(146건·22억원), 우체국·택배회사(254건·145억원) 등을 사칭한 경우들도 적지 않았다.
보이스피싱 수법은 갈수록 더 교묘해지면서 피해약 환급도 줄고 있다. 최근 6년간 기관 사칭 보이스피싱 피해금 중 환급액은 1242억원으로, 환급 비중은 30%에 불과했다. 지난 2020년 64.5%(267억원), 2021년 25.1%(43억원), 2022년 13.3%(28억원)로 해를 거듭할수록 환급은 급감 수준을 보였다.
강민국 의원은 “금감원은 그동안 기관 사칭형 보이스피싱 범죄 예방을 위해 보도자료 배포와 소비자경보 발령 등의 단순 홍보에만 집중해 왔다”며 “기존 홍보에서 탈피해 TV 공익광고와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에 소개하는 등의 홍보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특단의 대책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cjy3@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GD 카드’ 나온다…하나카드 성수동 팝업 오픈
- 삼성생명 '일탈회계' 결론 임박…이억원 “정비는 동의, 절차는 신중”
- '불장'에 은행도 판매 채비…증권사 ELS 활기 되찾나
- AI 찐 수혜는 로봇株…쏟아지는 텐베거에 ‘환호’
- 신보 "이사장 숙박비 논란, 국제행사 초성수기 영향…회의실 임차 절감"
- 라이프 네트웍스 “자체 AI 제작 영상으로 코인 백서 공개”
- 비에이치아이, 3분기 누적 영업익 512억…전년비 259%↑
- 파미셀, 3분기 누적 매출 794억·영업이익 246억
- 대원미디어, 3분기 매출액 929억…전년比 54.9%↑
- 신한은행, 신한갤러리 두 번째 기획전 '먼지를 걷는 자들' 개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정종복 기장군수, 올해 ‘한국선진교통문화 의정대상’ 수상 영예
- 2화성특례시, '중소기업 산업재해·중대재해 대응 방안 세미나’ 개최
- 3'현장 중심 행정 철학'…김성 장흥군수, '군민과의 대화'로 장흥 변화를 이끌다
- 4‘GD 카드’ 나온다…하나카드 성수동 팝업 오픈
- 5삼성생명 '일탈회계' 결론 임박…이억원 “정비는 동의, 절차는 신중”
- 6“통화 중에도 AI로 검색”…LGU+, ‘익시오 AI 비서’ 공개
- 7삼성·LG, 벤츠와 미래車 동맹…‘전장 사업’ 강화
- 8'불장'에 은행도 판매 채비…증권사 ELS 활기 되찾나
- 9AI 찐 수혜는 로봇株…쏟아지는 텐베거에 ‘환호’
- 10카톡 개편 두 달…이용자 90% “개편 피로감”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