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인데요" 목소리에 다 속았다 …''권력사칭' 급증한 보이스피싱

[서울경제TV=최재영 기자] 보이스피싱이 가족 등 지인 사칭은 크게 감소한데 반해 검찰 등 정부기관을 사칭 사례를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국민의 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8년부터 올해 7월까지 발생한 기관 사칭형 보이스피싱은 2만550건으로 피해액은 4143억원이다.
특히 올해에만 2506건(343억원)에 달하는 기관 사칭형 보이스피싱이 발생했다. 2021년 912건(171억원), 2022년 1310건(213억원)과 비교해 증가세가 뚜렷하다.
반면 지인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2021년 991억원, 작년 927억원에서 올해 상반기 320억원으로 크게 줄었다. 대출 빙자형은 2021년 521억원, 지난해 311억원, 올해 상반기 241억원으로 집계됐다.
기관을 사칭한 보이스피싱에서는 검찰·경찰·법원을 사칭한 건수가 1만6008건(3400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10건 중 8건 이상이 사법기관을 행세한 것이다.
다음으로는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사칭도 적지 않았다. 금융당국 직원인 것 처럼 연락해 돈을 유구한 경우는 1781건(55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외에도 시중은행(146건·22억원), 우체국·택배회사(254건·145억원) 등을 사칭한 경우들도 적지 않았다.
보이스피싱 수법은 갈수록 더 교묘해지면서 피해약 환급도 줄고 있다. 최근 6년간 기관 사칭 보이스피싱 피해금 중 환급액은 1242억원으로, 환급 비중은 30%에 불과했다. 지난 2020년 64.5%(267억원), 2021년 25.1%(43억원), 2022년 13.3%(28억원)로 해를 거듭할수록 환급은 급감 수준을 보였다.
강민국 의원은 “금감원은 그동안 기관 사칭형 보이스피싱 범죄 예방을 위해 보도자료 배포와 소비자경보 발령 등의 단순 홍보에만 집중해 왔다”며 “기존 홍보에서 탈피해 TV 공익광고와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에 소개하는 등의 홍보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특단의 대책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cjy3@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연결고리를 찾아라"…증권가, '무신사 모시기' 치열
- 신한 이어 삼성도…시니어 사업 키우는 보험사
- 소호·소소 제4인뱅 재도전…"당국 의지가 최대 변수"
- 지니언스-에티버스, '안티 바이러스' 솔루션 총판 계약 체결
- 그린플러스, 경북 예천 '88억원 규모 임대형 스마트팜' 수주
- 토스인슈어런스, 추석 연휴 보험 체크포인트 5가지 소개
- NH농협은행, 비대면 투자상품 가입 활성화 위해 '투자상품 FESTA' 개최
- 신한투자증권, 연휴 기간 '해외주식·파생 글로벌 데스크' 24시간 운영
- IBK기업은행, 글로벌·아시아 '단기 투자상품 공급 최우수 기관상'
- KB금융, '그룹 금융소비자보호 강화 종합 대책 회의' 실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고려아연 찾은 김두겸 시장 "어려운 상황 잘 대응…울산 시민도 마음 보태"
- 2김철우 보성군수 "'안전·편안' 추석 위해 행정력 집중"
- 3남원시, 일본 관광시장 공략…관광자원·체험 콘텐츠 적극 홍보
- 4전국 전산 장애 속 남원시, '민원 대란' 최소화 총력 대응
- 5계룡건설-한국전기안전공사, '전기안심 인증' 업무 협약
- 6‘무비자’ 中 관광객에 유통가 들썩…연말 기대감 ‘쑥’
- 7AI 혁신과 산업 대전환…“연결·협업으로 새 판짜야”
- 8LG전자 인도법인, 14일 상장…“글로벌 사우스 공략”
- 9코웨이, ‘2025 한국산업의 고객만족도’ 3관왕 달성
- 10혁신 로봇 기술 한자리…‘서울AI 로봇쇼’ 개막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