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기후위기 대응 본격화…녹색금융 452조 투입
‘기후 위기 대응 금융 지원’ 발표…2030년까지 총 452조 투입
5대 시중은행·산업은행 9조 미래에너지펀드 조성
신재생에너지 설비 증설…21.6% 확대 목표
민관 합동 9조 규모 '기후 기술 펀드' 조성

[앵커]
정부가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해 2030년까지 452조원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시중은행과 함께 미래에너지펀드를 조성해 재생 에너지 설비 증설에도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입니다. 이연아 기자입니다.
[기자]
금융위원회와 환경부 등 정부 부처가 오늘(19일) 오전 서울 에너지드림센터에서 정책금융기관장 간담회를 열고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금융 지원 확대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인터뷰] 김주현 / 금융위원장
"녹색 자금 공급량을 과거 5개년 평균 대비 67% 확대해 총 420조원을 지원함으로 기업들이 신속하게 저탄소 시설로 전환하고 녹색 프로젝트를 적극 수행하도록 유도하겠습니다."
정부는 먼저 2030년까지 420조원 규모 정책 금융을 공급해 글로벌 녹색 시장 변화에 대응한다는 계획입니다.
기업의 저탄소 공정 전환을 위해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기업은행 등을 통한 정책 금융을 공급하는데, 정부는 이를 통해 올해부터 2030년까지 총 8,597만톤의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우선 KB국민, 신한, 우리, 하나, 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과 산업은행이 9조원 규모 미래에너지펀드 조성을 시작합니다.
이후 정책 금융 기관이 14조원 규모 후순위 대출로 지원 사격에 나서, 총 23조원이 기업들의 저탄소 공정 전환에 투입됩니다.
이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를 늘려 현재 9.2% 수준인 신재생에너지 설비 비중을 2030년 21.6%로 확대한다는 계획입니다.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분야 특성상 자금 회수가 최대 20년 이상 걸리는 점을 감안해 정책 금융을 먼저 투입하는 방식으로 마중물 역할을 한다는 방침입니다.
또, 민관 합동 기후 기술 분야 투자에 9조원이 투입됩니다.
기업은행과 5대 시중은행은 3조원 규모 기후기술펀드를 조성하고, 혁신성장펀드 5조, 성장사다리펀드 1조원이 각각 투입됩니다.
정부가 대규모 정책 금융을 투입하는 배경에는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기 때문입니다.
탄소 포집, 온실가스 고정 등의 기술은 유망 분야이지만, 초기 경제성이 부족해 자본 투자가 소홀했던 탓에 선진국과 기술 격차는 최대 3년 이상 벌어졌습니다.
여기에, 파리 협약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까지 2018년 대비 40% 감축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또, 유럽 등을 중심으로 탄소 배출 기업 규제가 강화된 변화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정부는 기후 금융 협의체를 구성하고, 향후에도 관계 부처 등과 협조해 금융 지원을 지속한다는 계획입니다.
서울경제TV 이연아입니다. / yalee@sedaily.com
[영상취재 강민우]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미래에셋證, 임직원 가족 초청 ‘패밀리 페스티벌’ 확대 개최
- '주담대 승부수' 토스뱅크…정부 규제가 최대 변수
- 천정부지 코스피에…증권사, 실적·주가 '양날개'
- “고파이 해결하라”…국감 도마 오른 바이낸스
- 케이지에이, 평택 신공장 준공…내달 말 입주 예정
- 인포스탁, '맞춤형 ETF투자정보서비스' 선봬…ETF 80개 테마로 분류
- 이찬진 금감원장 "'삼성생명 일탈회계' 논란, 국제기준 맞춰야"
- 엔바이오니아, '메타아라미드페이퍼 제조기술' 대한 국가핵심전략기술 획득
- IBK기업은행,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일임서비스' 제휴사 확대
- 신한은행, 21일 '오락실 적금' 사전예약 접수 시작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막말 파문' 보성군의회, 공직사회 두 번 울린 '인권 침해' 논란
- 2미래에셋證, 임직원 가족 초청 ‘패밀리 페스티벌’ 확대 개최
- 3팔다리 힘 빠지고 시야가 흐릿하다면? 다발성경화증 의심
- 4“매출 축소에도 수익 개선”…건설사 3분기 실적 ‘활짝’
- 5‘코리아패싱’ 논란 SK바이오팜 뇌전증약… “11월 초 허가”
- 6지마켓, ‘셀러·고객·AI’ 7000억 투자…재도약 드라이브
- 7'주담대 승부수' 토스뱅크…정부 규제가 최대 변수
- 8삼성, 中企·지역과 함께 성장해 온 스마트공장 10주년 맞아
- 9LG엔솔·스텔란티스 加 합작공장, ‘안전 위반’ 논란
- 10천정부지 코스피에…증권사, 실적·주가 '양날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