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家, 주식담보 비율 13.9%↓…태영그룹은 91.6%로 최대

[서울경제TV=김혜영기자] 대기업 오너일가의 주식담보 비중이 1년 반 새 4.3%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삼성 총수 일가 주식담보 비율은 10% 포인트 이상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오너일가의 주식담보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태영그룹으로 91.6%로 나타났다.
21일 CEO스코어가 대기업 78곳을 대상으로 주주들의 주식담보 현황을 조사한 결과 지난 9일 기준 대기업 오너일가의 주식담보 비중은 24.8%로 나타났다. 지난 2022년 말(29.1%)과 비교하면 1년 반 만에 4.3%p 줄어든 수치다. 이중 담보대출 비중은 11.6%에서 15.7%로 1년 반 사이 4.1%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납세담보 비중은 15.8%에서 7.8%로 8%포인트 감소했으며 담보제공 비중도 1.7%에서 1.3%로 0.4%포인트 줄었다. 이는 오너일가가 주식 매각 및 대출로 상속·증여세를 납부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 가운데, 주식담보 비율이 50% 이상인 대기업도 13곳으로 나타났다. 특히, 태영그룹은 태영건설 워크아웃(기업재무구조개선)으로 주식담보 비율이 가장 높았다. 태영그룹은 2022년 말 주식담보 비율은 0%에서 91.6%로 급증했다. 태영건설 워크아웃 관련해 윤석민 회장의 티와이홀딩스 지분(1,282만7,810주)과 윤세영 창업회장의 티와이홀딩스 지분(26만6,955주), 티와이홀딩스의 SBS 지분(556만6,017주)이 담보로 잡혀있는 상태다.
2위는 아이에스지주 총수 일가(82.7%)로 주식담보 비율은 같은 기간 12.8%포인트 증가했다. 3위는 롯데(81.7%)로 나타났다. 신동빈 회장의 주식담보 비율은 57.7%에서 80.9%로 늘었다. 대출금은 2,132억원에서 2,359억원으로 늘었다. 다만 납세담보 비율은 25.1%에서 0%로 감소했다. 이어 금호석유화학(58.8%), DB(58.2%), 한화(55.5%), 한진(54.8%), DN(52.8%), SK(52.7%), 파라다이스(52.6%), 한솔(52.5%)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반면, 삼성그룹 총수 일가의 주식담보 비율이 1년 반 사이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 총수 일가의 담보 대출 및 주식 처분을 통해 상속세를 납부해 담보 비율이 2022년 말 48.1%에서 이달 34.2%로 감소했다.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의 담보 비율은 65.5%에서 40.9%로 감소했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비율도 42.0%에서 19.8%로 줄었다. /hyk@sea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현대차 美 공장 가동 20년…국내 수출·고용 ‘껑충’
- 한샘 김유진의 ‘허리띠 졸라매기’…본업 경쟁력은 언제?
- 애경, 그룹 모태 ‘생활용품·화장품 사업’ 눈물의 정리
- 롯데건설, 완판행진 제동…‘김포풍무’ 고분양가에 수요자 외면
- AI폰 포문 연 삼성, 애플 추격 ‘예의주시’
- 대한항공-美 안두릴, 유·무인 복합능력 향상 위해 ‘맞손’
- 중국시계 12만개 국내산 둔갑…제이에스티나 대표 기소
- 소상공인연합회, 이재명 대표 만나 소상공인 위기 대책 촉구
- 오데마 피게, '블루 뉘, 뉘아주 50' 세라믹 출시
-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 국보 승격 산사음악회 개최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전국 수산인 한자리…고창군, ‘수산인의 날’ 개최
- 2이복현 금감원장 사의 표명…“부총리·한은 총재 만류”
- 3현대차 美 공장 가동 20년…국내 수출·고용 ‘껑충’
- 4法 “교보생명, ICC 강제금 효력 없다”…풋옵션 새국면
- 5ETF 수수료 ‘꼼수’ 쓴 운용사들…당국, 결국 칼 뺐다
- 6금감원, PEF 대대적 검사한다지만…MBK ‘맹탕 검사’ 우려
- 7한샘 김유진의 ‘허리띠 졸라매기’…본업 경쟁력은 언제?
- 8애경, 그룹 모태 ‘생활용품·화장품 사업’ 눈물의 정리
- 9롯데건설, 완판행진 제동…‘김포풍무’ 고분양가에 수요자 외면
- 10AI폰 포문 연 삼성, 애플 추격 ‘예의주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