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AI TV’ 일상 바꾼다…AI 홈 라이프 대중화
AI TV, 인공지능 가전 지휘 본부…'홈 허브' 역할
삼성, AI 기능 강화… ‘AI 홈 라이프’ 대중화 주도
‘화질·음향’ 등 최적화된 AI TV…"몰입감 높인다"
삼성전자 “AI가 사용자 맞춤별 시청 경험 제공”
상황·분위기 맞춰 자동 이미지 추천…인테리어 활용

[앵커]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가전 생태계 확장에 나섰습니다. AI 스크린을 통해 AI 홈 라이프 대중화를 이끌고 글로벌 TV 시장 18년 연속 1위 자리를 더욱 공고히 한다는 방침입니다. 김혜영 기자입니다.
[기자]
삼성전자가 AI가전 명가라는 공식을 세우고 있습니다.
[씽크] 용석우 / 삼성전자 사장
“AI스크린 시대를 선언을 했고, TV 시장의 새로운 장을 열였습니다. 소비자들께는 향후 7년 간 매년 새롭게 추가되는 AI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타이젠 OS' 를 (무상) 업그레이드 해드리겠다는…"
우선, 삼성전자는 AI TV를 중심으로 집 안에 흩어져 있는 기기들을 연결해 ‘홈 허브’를 구축합니다.
TV가 인공지능 가전의 지휘 본부 역할을 하는 셈입니다
TV 속 ‘데일리 보드’를 통해 집안의 상태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집의 평면도가 3D 지도(3D 맵 뷰 /Map View)로 구현되고 그 안의 기기들의 위치를 보고 제어할 수 있는 겁니다.
빈 방의 에어컨이나 조명 등을 끄거나 켤 수 있고, 에너지 사용량을 확인(데일리 보드/Daily Board) 할 수 있습니다.
AI를 통해 사용자 맞춤형 화질과 음향(사운드)도 구현해냅니다.
스포츠와 영화 등 장르별 화질을 다르게 구현해 몰입감을 높이고,
화질이 좋지 않은 과거 드라마나 영화 등을 고화질(AI 업스케일링을)로 구현해 줍니다.
특히, 화면의 윤곽선, 색상을 더욱 뚜렷하게 해(릴루미노 모드) 저시력자도 선명하게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
음향도 화면 내의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소리가 이동(무빙 사운드 Pro)하고 배경 음악이나 소음이 큰 장면에선, 화자의 음성만 추출해 크고 또렷하게 들려주는 기능(액티브 보이스 Pro)도 탑재했습니다.
AI 음성 기술을 통해 원하는 콘텐츠를 손쉽게 찾아 볼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형사들이 치킨 파는 영화 찾아줘” 라고 이야기하면, 관련 영화 목록을 찾아줍니다.
이와함께, 사용자가 그날의 감정 등 몇 가지 조건의 키워드를 선택하면 AI가 그에 맞는 이미지(Generative Wallpaper)를 추천해 줍니다.
TV 화면의 이미지를 액자처럼 인테리어로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이 같은 AI 기능 강화를 통해 AI TV를 넘어 ‘AI 홈 라이프’ 대중화를 주도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서울경제TV 김혜영입니다.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한전, APEC 정상회의 전력상황실·특별기동대 가동
- "행사기간 연장해주세요"…美 샌프란 K뷰티 팝업 매장 '인산인해'
- 제네시스 대형SUV GV80, '관세 충격' 美서 누적판매 10만대
- 풀무원, '제1회 동물보호의 날 축제' 참가…"동물복지 가치확산"
- 삼성전자 무선청소기, 美·EU 소비자 매체 평가 1위 휩쓸어
- "한층 전체가 장난감놀이터"…현대百, 도쿄장난감미술관 팝업
- '옷이 팔린다' 소비심리 꿈틀…백화점, 3분기 '깜짝실적' 기대
- 6년간 5만2000건 해킹 시도…우정사업본부 '최대 표적'
- "누적 1만4000여개 소개"…네이버 '나란히가게' 판매 급증
- 추석 황금연휴, 절반은 "여행 간다"…일본·베트남 강세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한전, APEC 정상회의 전력상황실·특별기동대 가동
- 2"행사기간 연장해주세요"…美 샌프란 K뷰티 팝업 매장 '인산인해'
- 3제네시스 대형SUV GV80, '관세 충격' 美서 누적판매 10만대
- 4풀무원, '제1회 동물보호의 날 축제' 참가…"동물복지 가치확산"
- 5삼성전자 무선청소기, 美·EU 소비자 매체 평가 1위 휩쓸어
- 6"한층 전체가 장난감놀이터"…현대百, 도쿄장난감미술관 팝업
- 7'옷이 팔린다' 소비심리 꿈틀…백화점, 3분기 '깜짝실적' 기대
- 86년간 5만2000건 해킹 시도…우정사업본부 '최대 표적'
- 9"누적 1만4000여개 소개"…네이버 '나란히가게' 판매 급증
- 10"보험사 자산운용, ALM·전문인력 확보가 핵심…사업모형 변화 필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