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오프라인으로 고객소통”…제주항공,국적 항공사 SNS 구독자 수 1위

[서울경제TV=이수빈 인턴기자] 제주항공은 자사 SNS 채널이 국적 항공사 중 구독자 수 1위를 달성했다고 26일 밝혔다.
유튜브, 인스타그램, 틱톡 등 제주항공의 공식 SNS 채널의 구독자수는 8월26일 기준 각각 17만, 30.8만, 3.3만명으로 국적 항공사 중 가장 많은 구독자 수를 보유하고 있다. 여행 꿀팁, 항공 업종 소개 등의 정보 제공부터 고객 참여형 콘텐츠 제작, 인기 챌린지 참여 등 다양한 콘텐츠를 선보이며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제주항공 유튜브 채널은 에어스테이지, 안녕하세요 J플래너 등 기획 연재 콘텐츠를 필두로 내·외국인, 여행객, 항공 업종 지망생 등 다양한 타겟층의 취향을 충족시키며 구독자 수를 늘려가고 있다.
유명 K-POP 아티스트와 함께 제작한 여행할 때 듣기 좋은 플레이리스트 콘텐츠 에어스테이지는 총 840만여회의 높은 조회수를 기록했다. 최근에는 엔터테인먼트 기업 안테나와 함께 음악 관련 콘텐츠를 협업해 제작하는 등 여행의 행복을 더해 나가고 있다.
제주항공은 유튜브 채널을 활용한 한국 관광 알리기에도 앞장서고 있다. 국내 유명 관광지와 맛집을 소개해 주는 감귤랭 가이드와 한류를 주제로 외국인 여행객과 제주항공 승무원이 국내 여행지를 소개하는 안녕하세요 J플래너를 통해 외국인의 한국 여행 욕구를 자극하고 있다.
제주항공은 유튜브를 통해 보다 많은 해외 시청자들에게 한국 여행의 매력을 알리고자 기존 영어 자막에서 일본어, 중국어, 베트남어 자막을 추가했다. 그 결과 올해 제주항공 공식 유튜브 채널의 전체 시청자 중 외국인 비율은 52.2%로 내국인 비율을 넘어섰다.
이밖에 MZ 신입사원이 출연해 직접 항공 전문 직군을 소개하는 콘텐츠 감귤항공 등 고객들이 궁금해하는 소재들을 활용해 차별화된 영상을 선보인다.
또 제주항공 인스타그램은 고객 소통을 바탕으로 고객의 직접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며 소통과 참여의 장으로 거듭나고 있다.
제주항공은 여행 관련 게시글 제작 시 제주항공을 이용해 여행을 다녀온 탑승객들이 직접 찍은 사진을 활용한다. 이를 통해 제주항공 탑승 이후에도 고객들과의 접점을 이어나가고 있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항공 여행 시 오프라인에서 접할 수 있었던 제주항공과의 즐거운 경험을 SNS라는 채널을 활용, 온라인으로 확대하며 고객 접점을 넓혀 나가고 있다”며 “앞으로도 더 많은 고객들과 행복한 경험을 나누기 위해 온오프라인에서 다양한 활동을 이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sb413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대한항공-美 안두릴, 유·무인 복합능력 향상 위해 ‘맞손’
- 중국시계 12만개 국내산 둔갑…김기문 제이에스티나 회장 기소
- 소상공인연합회, 이재명 대표 만나 소상공인 위기 대책 촉구
- 오데마 피게, '블루 뉘, 뉘아주 50' 세라믹 출시
-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 국보 승격 산사음악회 개최
- ‘미디어 비평과 옴부즈만 콘텐츠 제작’ 교육생 모집
- 포스코청암상 시상식 개최…“과학부문 첫 여성 수상자 탄생”
- 삼성물산, 에스토니아 SMR 사업 협력…"유럽 원전시장 공략"
- 김재교 한미사이언스 대표 “창업주 뜻 이어 글로벌 빅파마로 도약”
- 美 백악관 "2일 트럼프 대통령 상호관세 발표…즉시 발효"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대한항공-美 안두릴, 유·무인 복합능력 향상 위해 ‘맞손’
- 2서거석 전북도교육감, 학원장들과 불법과외 근절 대책 논의
- 3남원시, 지방소멸 극복 선도…청년·출산·정주 정책 '성과 눈에 띄네'
- 4전북자치도교육청, 직업계고 취업로드맵 개발·보급
- 5중국시계 12만개 국내산 둔갑…김기문 제이에스티나 회장 기소
- 6“주민 지지 없인 통합 불가”… 유희태 완주군수, 지방시대위 결정에 강경 입장
- 7장흥군, 상반기 사료구매 자금 96억 원 지원
- 8완주군의회 "주민공감대 형성 없는 통합 의미 없어"
- 9무주군, 고품질 쌀 생산에 15억 투입…1,591농가 육묘·상토 지원
- 10보성군, 귀촌형 사업 ‘전남에서 살아보기’ 본격 추진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