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재집권에…제약·바이오업계 ‘기회’
경제·산업
입력 2024-11-11 17:43:57
수정 2024-11-11 17:59:35
이혜란 기자
0개

트럼프 재집권에 반도체 업계만큼이나 촉각을 곤두세운 곳이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감축법과 생물보안법 등의 영향을 받는 제약·바이오 업계인데요. 이들 법안이 어떻게 변할지, 국내 기업들도 예의주시 하고 있습니다. 이혜란 기잡니다.
[기자]
트럼프 재집권에 제약·바이오 시장에도 변화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미국은 의료비 부담이 큰 만큼 ‘약가 인하’에 대한 기조는 기존 정부와 동일하지만 2022년 미국 바이든 정부가 제정한 법안인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은 폐기될 거란 관측.
이 법은 이름 그대로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마련된 법으로, 바이든 정부는 미국 보험청(CMS)이 제약사와 협상해 약가를 인하하도록 추진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는 정부가 통제하는 방식 대신 바이오 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와 제네릭(합성의약품 복제약)의 시장 경쟁을 촉진해 약가 인하를 강화할 거란 전망.
복제약은 특허가 만료된 기존 의약품과 효과가 비슷하면서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습니다.
이 정책을 추진할 경우 바이오 시밀러의 수요가 확대되며, 일각에선 국내에서 해당 사업을 하는 제약바이오 기업엔 성장의 기회가 될 거란 기대가 나옵니다.
미국 국가 안보를 보호하고 중국 바이오 기업을 견제하기 위해 발의된 생물보안법도 트럼프 정부에서 이어질 것으로 관측됩니다.
미국에서 사실상 퇴출되는 중국 CDMO(바이오의약품위탁개발생산) 기업의 경쟁사들이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오는 가운데, 국가·기업 간 경쟁은 치열할 거란 전망입니다.
서울경제TV 이혜란입니다. /rann@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중진공, 경남 우주항공 산업 글로벌 시장 진출 이끈다
- 셀트리온, 일라이릴리 美 공장 인수…“관세 리스크 해소”
- 한화 김동선, 고급 리조트 승부수…‘안토’ 브랜드 첫 선
- 카톡에 챗GPT ‘쏙’…정신아 “일상 AI 플랫폼 도약”
- “아이폰17 팬심 통했다”…LGD, 3년 만 적자탈출 하나
- 한온시스템 1兆 증자에…한국타이어 “5000억 부담”
- “디에이치도 써밋도 래미안 못 넘었다”…하이엔드 가치 뚝?
- 중기중앙회, '2025 중소기업 리더스포럼' 개막
- KT&G, 주당배당금 6000원 상향…美 '니코틴 파우치' 협력
- 싱가포르 씨푸드 레스토랑 ‘점보씨푸드’, 여의도 IFC몰서 확장 전략 발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미래에셋증권, 국립중앙박물관 ‘반가사유상 뮷즈’ 제공 이벤트 실시
- 2수성아트피아, 10월 마티네 콘서트 기타리스트 박규희 리사이틀 개최
- 3수성아트피아, 쥬크박스 뮤지컬 '노민호와 주리애' 무대 올린다
- 4대구한의대 메디푸드HMR산업학과, 제3회 안동전통주 칵테일경연대회에서 일반부 부문 전원 입상
- 5계명문화대, ‘2025 총장배 제과 경연대회’ 성료
- 6영남대, 네이버클라우드와 협력해 SW 실무 교육성과 ‘눈길’
- 7경산교육지원청, 경산Wee센터 선도위원회 특별교육 진행
- 8대구시 3개 공사·공단, 청년 정책 발굴 프로그램 출범
- 9대구교통공사, 안전한 ‘시니어 안전지킴이’ 일터 만든다
- 10대구경북지방병무청, 적극행정 역량 강화 위한 쌍방향 소통 온라인 교육 실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