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재집권에…제약·바이오업계 ‘기회’
경제·산업
입력 2024-11-11 17:43:57
수정 2024-11-11 17:59:35
이혜란 기자
0개

트럼프 재집권에 반도체 업계만큼이나 촉각을 곤두세운 곳이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감축법과 생물보안법 등의 영향을 받는 제약·바이오 업계인데요. 이들 법안이 어떻게 변할지, 국내 기업들도 예의주시 하고 있습니다. 이혜란 기잡니다.
[기자]
트럼프 재집권에 제약·바이오 시장에도 변화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미국은 의료비 부담이 큰 만큼 ‘약가 인하’에 대한 기조는 기존 정부와 동일하지만 2022년 미국 바이든 정부가 제정한 법안인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은 폐기될 거란 관측.
이 법은 이름 그대로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마련된 법으로, 바이든 정부는 미국 보험청(CMS)이 제약사와 협상해 약가를 인하하도록 추진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는 정부가 통제하는 방식 대신 바이오 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와 제네릭(합성의약품 복제약)의 시장 경쟁을 촉진해 약가 인하를 강화할 거란 전망.
복제약은 특허가 만료된 기존 의약품과 효과가 비슷하면서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습니다.
이 정책을 추진할 경우 바이오 시밀러의 수요가 확대되며, 일각에선 국내에서 해당 사업을 하는 제약바이오 기업엔 성장의 기회가 될 거란 기대가 나옵니다.
미국 국가 안보를 보호하고 중국 바이오 기업을 견제하기 위해 발의된 생물보안법도 트럼프 정부에서 이어질 것으로 관측됩니다.
미국에서 사실상 퇴출되는 중국 CDMO(바이오의약품위탁개발생산) 기업의 경쟁사들이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오는 가운데, 국가·기업 간 경쟁은 치열할 거란 전망입니다.
서울경제TV 이혜란입니다. /rann@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에코프로, AI 캐치프레이즈 도입…"제조·R&D 혁신 가속"
- 바나나몽키즈 "광고 솔루션 '딜링T' 도입 효과…SKT와 협업 시너지"
- 세븐일레븐, 롯데면세점-위챗페이와 프로모션 진행
- 옥된장 문래역점, 미혼모협회 회원 초청 따뜻한 집밥 나눔
- SPC 파리바게뜨, 북미서 지속 성장세…"연내 300개 매장 목표"
- SKT, 금융 범죄 예방 교육하는 ‘찾아가는 행복안심스쿨’ 열어
- 경총 "노조법 개정, 산업 생태계 위협…노사관계 불안 커질 것"
- LH, 전세임대 처리 기간 평균 3주→1주로 단축
- 배민아카데미, ‘배민 AI장사스쿨’ 개설
- 한국마사회 청담지사-남동봉사관, 나눔 사회공헌 MOU 체결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부산시, 주민보고회 열고 해수담수화시설 활용방안 마련에 '머리 맞대'
- 2“잠자는 폐전기 ․ 전자제품 버리지 말고 기부하세요!”
- 3에코프로, AI 캐치프레이즈 도입…"제조·R&D 혁신 가속"
- 4바나나몽키즈 "광고 솔루션 '딜링T' 도입 효과…SKT와 협업 시너지"
- 5세븐일레븐, 롯데면세점-위챗페이와 프로모션 진행
- 6옥된장 문래역점, 미혼모협회 회원 초청 따뜻한 집밥 나눔
- 7SPC 파리바게뜨, 북미서 지속 성장세…"연내 300개 매장 목표"
- 8대경대, 유학생 위한 특별한 입학식 개최. . .1000명 시대 개막
- 9SKT, 금융 범죄 예방 교육하는 ‘찾아가는 행복안심스쿨’ 열어
- 10경총 "노조법 개정, 산업 생태계 위협…노사관계 불안 커질 것"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