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월급쟁이가 낸 세금 64.2조…사상 최초 법인세보다 많아
전국
입력 2025-02-20 11:21:13
수정 2025-02-20 11:21:13
박호재 기자
0개
안도걸 의원 “ 윤석열 정부에서 무너진 세수기반과 과세형평 회복해야”

지난해 국세수입은 336.5 조원으로 2 년 전(395.9조원) 대비 59.4 조원 (△ 15%) 감소했다 . 같은 기간 명목 GDP 는 9.4% 정도 늘어났다. 물가가 오르고 경제가 성장하는 만큼 세수는 비례적으로 증가해야 하는데, 대규모 감세조치로 세수기반이 무너진 것이다 .
윤 정부 출범 후 마련한 중기재정계획상 2024 년 세수계획(418.8 조원) 은 실적치보다 82.3 조원 많았다. 한해 80 조원이 넘는 세수가 증발해 버린 것이다. 2023 년 세수계획 대비 감소한 56.4 조를 포함하면 2 년간 139조원의 세수가 증발해 버렸다. 경기침체의 영향도 있지만 대규모 감세조치 아니고는 설명할 방도가 없다 .
가장 많이 감소한 세목은 법인세로 2022년 104조 원에서 지난해는 62.5조 원까지 떨어졌다. 40조 원 (△39.7%)넘게 급감한 것이다. 법인세는 경영실적을 토대로 신고‧납부하는 신고분과 법인이 받는 이자와 배당 소득 등에 대해 납부하는 원천 분으로 나뉜다. 이 중 기업실적 악화의 영향으로 법인세 신고분은 2년 전 (87 조원) 대비 47.6조 원 (△ 54.7%) 감소했다. 반토막 아래로 떨어진 것이다.
법인세 다음으로 감소 규모가 큰 세목은 양도소득세다. 양도세는 2년 전 (32.2 조원) 대비 15.5조 원 (△ 48%) 줄어들었다. 법인세 신고분과 양도세, 2개 세목에서만 63.1조 원 감소했다. 전체 세수감소 (△ 59.4 조원 ) 보다 많은 수치다 .
내수침체로 개인사업자 등에 부과되는 종합소득세가 2년 간 3.9조 원 (△ 15%) 감소했다. 세율 인하 등으로 종합부동산세는 2년 전 (6.8조 원) 보다 2.6조 원 (△ 38%) 줄어들었다. 세율 인하와 증시 침체로 증권거래세도 1.5조 원 (△ 24%) 감소했다.
대부분의 세목이 줄줄이 쪼그라드는 상황에서 근로소득세는 늘고 있다. 직장인의 월급에 부과되는 근로소득세는 64.2 조원으로 2년 전(60.4조 원 )보다 3.8조 원 (6.3%) 증가했다. 경기 악화와 윤 정부의 감세정책 영향으로 법인세, 양도세, 종부세 등은 줄줄이 감소했는데, ‘ 유리지갑’ 인 직장인이 낸 세금은 늘어났다.
정부가 발표한 ‘세목별 국세수입 실적’ 을 보면, 지난해 근로소득세는 61조 491억 원으로 집계된다. 하지만 국세청의 세수실적상 근로소득세는 64조 1584억 원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국세청이 징수한 근로소득세에서 근로‧자녀장려금을 차감해 집계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직장인이 낸 근로소득세 총액은 64.2조 원이며, 이 중 3.1조 원이 근로‧자녀장려금으로 지급되었다. 3.1 조원만큼 정부와 국세청의 근로소득세 집계에 차이가 발생 한다. 원칙적으로 다른 세목과 마찬가지로 국세청이 징수한 근로소득세를 통계로 집계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지난해 전체 근로·자녀장려금은 5.7조 원으로 전년 (5.1 조원) 보다 11% 증가했다 .
세수펑크에도 근로소득세는 늘어나 전체 국세에서 근로소득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근로소득세 비중은 2022년 15.3%에서 지난해 19.1%까지 상승했다. 반면 같은 기간 법인세수 비중은 26.2% 에서 18.6% 로 7.6% 포인트 급감했다 .
국세 통계를 집계한 이래 근로소득세가 법인세를 넘어선 것은 사상 처음이다. 역대급 세수펑크에도 근로소득세는 꾸준히 증가해 전체 세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커지고, 법인세는 세목 중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해 비중이 급감한 것이다. 윤 정부에서 세수기반이 무너졌을 뿐만아니라 과세형평도 심각하게 훼손된 셈이다. 정작 세부담을 줄여야 할 계층은 기업이 아니라 가계인 것이다 .
한편 국민 소득에서 세금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 조세부담률은 지난해 17.7%로 급감한 것으로 추정된다. 2022년 (22.1%) 대비 4.4% 포인트 하락한 수치이며, 7년 전인 2017년 (17.9%) 수준으로 급감한 수치다. OECD 평균 (25.2%) 에는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
이에 안도걸 의원은 “경기악화와 감세정책의 영향으로 법인세, 양도세, 종부세 등 세수가 줄줄이 쪼그라들었는데, 직장인이 낸 세금은 늘어났다” 면서 “정작 세 부담 완화가 필요한 이들은 대기업이 아니라 직장인” 이라고 밝혔다 .
이어 안 의원은 “윤석열 정부의 부자감세로 나라살림의 근간이 되는 세입기반과 과세형평이 완전히 무너졌다” 며 “ 부자감세를 단계적으로 정상화시켜 세입기반을 강화하고, 기업과 가계 간 기울어진 과세형평을 회복해야 한다” 고 강조했다
/pjnews@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개팔자가 상팔자"...댕댕이 전용 프리미엄 소파 나왔다
- 2호실적 행진에도 킥스 ‘발목’…보험사 자본확충 부담↑
- 3“K-주택 해외로”…현대건설, 해외시장 공략 잰걸음
- 4‘AI·보안’ 앞세운 삼성·LG…中 추격 따돌린다
- 5中 후판에 38% 반덤핑 관세…철강업계 ‘숨통’
- 6'하이퍼클로바X' 신모델 공개에도...“네이버 AI 1년 뒤처져”
- 7한한령 해제 기대감에...엔터·화장품·여행株 다 올랐다
- 8현대차 무뇨스 사장 “품질·안전에 양보·타협 없어”
- 9광명시, 시민과 함께하는 시정…18개 동 방문
- 10소상공인연합회 “제4인터넷은행 컨소 참여 검토”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