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아시아나, 공정위 대기업집단서 제외…자산 3조원대 '뚝'
경제·산업
입력 2025-03-02 08:00:03
수정 2025-03-02 08:00:03
고원희 기자
0개
아시아나항공 매각에 자산 17조서 3.4조원으로 줄어

[서울경제TV=고원희 인턴기자] 금호아시아나그룹이 아시아나항공을 매각한 결과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하는 대규모기업집단 명단에서 제외됐다.
공정위는 27일자로 기업집단 금호아시아나를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공시대상기업집단에서 제외했다고 밝혔다.
공정위는 매년 기업집단의 자산총액을 집계한 뒤 대기업집단의 명단을 발표한다. 사익편취 규제, 상호 출자 금지, 계열사 채무보증 금지, 금융·보험사 의결권 제한 등 규제 대상이 된다.
상출집단은 자산총액이 전년도 명목 GDP의 0.5% 이상(지난해는 10조4000억 원)으로 통상 ‘재벌’로 불린다. 공시집단은 자산 5조 원 이상으로, ‘준재벌’로 지칭된다.
금호아시아나는 2023년 말 기준 자산이 17조3900억 원으로 지난해 공정위 지정까지는 재계 서열 28위로 상출·공시집단에 남아 있었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11일 매각 절차 완료로 한진그룹 소속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의 최대출자자로 등극했다.
이에 따라 아시아나항공과 그 아래 에어부산·에어서울 등 7개사가 함께 계열 제외되면서 금호아시아나의 자산총액은 3조4300억 원으로 쪼그라들었다. 재계 순위도 100위 밖으로 밀려났다.
공정거래법 시행령에 따르면 자산 총액이 상출집단의 경우 7조2800억 원 미만, 공시집단의 경우 3조5000억 원 미만이 되면 지정이 제외된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올해 초 계열 제외 신청을 했고, 공정위는 관련 자료를 분석해 전날 지정을 해제했다.
대기업집단에서 제외되면서 금호아시아나그룹은 각종 대기업 규제 대상에서 빠지게 된다. 계열사 중에 중소기업에 해당하는 업체는 그동안 대기업 소속이라 받을 수 없던 각종 혜택도 받을 수 있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한 한진그룹은 14위에서 12위로 순위가 2계단 상승했다. 1946년 창립한 금호고속을 모태로 한 금호아시아나그룹은 박삼구 전 회장 시절 공격적으로 회사 몸집을 불렸다.
2006년 대우건설을 6조4000억 원에, 2008년에는 대한통운을 4조1000억 원에 인수하면서 재계 서열 7위로 '10대 그룹' 반열에 올라섰다. 그러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건설경기는 급락하고 차입 대금을 갚을 수 없게 되면서 그룹 전체가 유동성 위기를 맞았다.
이 과정에서 박 전 회장은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회장과 사이가 틀어지며 이른바 ‘형제의 난’을 벌이기도 했다. 이후 여러 차례 그룹 재건을 노렸지만, 취약한 재무구조가 발목을 잡으며 사세는 기울었고, 2019년 아시아나항공 매각으로 사실상 재벌의 위상을 잃었다. /highlight@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자금 조달 장기간 지연되는 코스피社…제도 허점 '요주의'
- AI 발전에 질주하는 원전 관련 ETF
- MG손보, 281명 고용승계 합의…내달 가교보험사 영업 개시
- "감성 소비 트렌드 주도"…식음료업계, 작가·캐릭터 협업 활발
- "걸을 때 발 방향만 조금 교정해도 '무릎관절염' 완화"
- 中 CATL 리튬 광산 중단, K-배터리 수혜볼까
- 금융위 이억원·금감원 이찬진...'원팀' 생산적 금융 대전환 이루나
- 2분기 줄줄이 적자…LCC, 자본확보·M&A로 돌파구 모색
- 中 단체관광 무비자 허용…K-쇼핑·관광업계 ‘기대감'
- 통신사, 광복 80주년 의미 새긴다…다큐 공개·기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K-반도체 벨트 힘받아…TOK첨단재료 평택공장 착공
- 2“주철현 의원, 광폭 행보…전남도지사 출마 밑그림 잘 그리고 있다”
- 3카드 사용액 늘었다면…‘상생페이백’ 챙겨요
- 4업비트 효자 둔 두나무…네이버와 빅딜 '촉각'
- 5대체거래소, ETF 도입 박차…가격 급등락 대책은
- 6해외시장 넓히는 오리온…제2 초코파이도 나올까
- 7‘1.8조 전자전기’ 수주전…KAI·한화 vs LIG·대한항공 '대격돌'
- 8부산銀 연체율 경고등…건전성 개선 과제
- 9美시장 환율·관세 변수에도…"현대차 비교 우위"
- 10원전 1기 수출 때 1조 지급…한수원, ‘굴욕 합의’ 후폭풍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