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 시장 ‘여성·고령’ 점유율↑…“중소형차 수요 증가 전망”
경제·산업
입력 2025-03-15 08:00:06
수정 2025-03-15 08:00:06
진민현 기자
0개
여성은 1인당 등록 증가율·고령층은 총등록 증가율 높아
"여성 사회진출 확대·고령화 영향으로 수요 빠르게 증가"

[서울경제TV=진민현 인턴기자]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여성과 고령층의 점유율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중소형 차량 수요가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임현진 한국자동차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지난 12일 '인구·사회구조 변화와 국내 자동차 시장' 보고서에서 이러한 분석을 내놨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15∼2024년 여성의 1인당 등록 대수 증가율은 2.8%로 남성(1.0%)보다 1.8%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여성은 8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1인당 등록 대수 증가율이 남성보다 높았다. 이에 따라 남녀 1인당 등록 대수 비율은 2015년 32.4%, 2020년 34.2%, 2024년 37.3%로 꾸준히 상승했다.
임 선임연구원은 "사회 진출이 활발해짐에 따라 경제력이 높아지는 여성의 차량 보유 의사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대형차보다는 실용적인 중소형 차량 위주의 수요가 더 빠르게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또 고령층(60∼80대)의 경우 총등록 대수가 빠르게 증가했다. 지난 10년간 국내 총등록 대수 증가율은 2.3%였는데 60대와 70대가 나란히 6.7%, 80대는 5.5%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20대는 4.7%, 30대 -0.4%, 40대 0.1%, 50대 2.1%였다. 임 선임연구원은 "60∼80대의 1인당 등록 대수 증가율은 그에 미치지 못하는 점을 고려할 때 구매 성향 증가보다는 인구 증가로 인한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된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고령 운전자는 소득·신체기능 등의 변화로 운전이 용이하고 실용적인 차량에 대한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면서 "경제활동 영위 비중이 작아 가격대가 높은 차량으로의 교체 수요는 다소 작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작년 말 기준 국내 총등록 대수는 전년 대비 1.3% 증가한 2630만대로 집계됐다. 총등록 대수 증가율은 1990년 27.6%, 2000년 8.0%, 2010년 3.6%, 2020년 2.9%로 둔화하는 추세다.
임 선임연구원은 "고령화의 가속화가 생산가능인구 감소와 잠재성장률 하락 등으로 이어지면서 장기적으로 자동차 등록 대수가 순감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총등록 대수와 1인당 등록 대수 증가율 모두 0.6%로 전체 평균(2.3%·1.5%)보다 낮게 나타났다.
임 선임연구원은 "서울은 높은 생활비 등으로 인한 소득 대비 높은 부채 비율, 대중교통 인프라에 대한 접근의 용이성 등으로 인해 개인의 차량 보유 의사 증가 속도가 느리다"고 설명했다. /jinmh0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현대차, 포티투닷에 2000억원대 추가 출자…"SDV 시장 정조준"
- 한미반도체, 하이브리드 본딩에 1000억 투자…"2027년 전용 장비 출시"
- 신한운용, '글로벌탄소중립솔루션 펀드 환매주기' 단축
- 3년 만에 6배 '폭등'…테슬라, 비트코인 일찍 팔아 5조 놓쳤다
- ‘美 수출형 LNG선’도 뚫었다…조선업계, 훈풍 지속
- 불공정거래 감시 강화 나선 거래소…"유튜브도 살펴본다"
- “올 여름은 이열체험”…유통가, 도심 휴가 즐기는 ‘K-바캉스족’ 공략
- 부실과 부실의 만남…코스닥 깜깜이 주인 변경 '주의'
- 은행권 활발해진 공동대출…하반기 지방銀-인뱅 협업 이어진다
- 수입차, 30년 만에 38배 성장…“틈새에서 주류로”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인천세종병원 관상동맥우회술센터 개소
- 2위츠, 현대케피코에 'EV 완속충전기' 본격 공급 개시
- 3신세계사이먼 여주 프리미엄 아울렛·빌리지, '썸머 나잇 힐링 페스타' 개최
- 4의약품 관세 최혜국 대우…제약바이오협회 "중국 견제 기조 고려할 때 美 시장 확대 기회"
- 5삼성물산, 시공능력평가 12년 연속 1위…DL이앤씨·GS건설 순위 상승
- 6태광산업, 中 스판덱스 공장 중단…연말까지 중국사업 철수
- 7영천시, 문화관광복지국 주요사업 언론브리핑 개최
- 8경주시, APEC 앞두고 도심 하천 정비 박차...“북천을 품은 도시, 세계를 품는다”
- 9인디플러스 포항, ‘여름을 영화롭게!’ 상영 첫날 관객들 큰 호응
- 10경북테크노파크, 2025년 제1차 에너지절약위원회 개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