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 시장 ‘여성·고령’ 점유율↑…“중소형차 수요 증가 전망”
경제·산업
입력 2025-03-15 08:00:06
수정 2025-03-15 08:00:06
진민현 기자
0개
여성은 1인당 등록 증가율·고령층은 총등록 증가율 높아
"여성 사회진출 확대·고령화 영향으로 수요 빠르게 증가"

[서울경제TV=진민현 인턴기자]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여성과 고령층의 점유율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중소형 차량 수요가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임현진 한국자동차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지난 12일 '인구·사회구조 변화와 국내 자동차 시장' 보고서에서 이러한 분석을 내놨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15∼2024년 여성의 1인당 등록 대수 증가율은 2.8%로 남성(1.0%)보다 1.8%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여성은 8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1인당 등록 대수 증가율이 남성보다 높았다. 이에 따라 남녀 1인당 등록 대수 비율은 2015년 32.4%, 2020년 34.2%, 2024년 37.3%로 꾸준히 상승했다.
임 선임연구원은 "사회 진출이 활발해짐에 따라 경제력이 높아지는 여성의 차량 보유 의사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대형차보다는 실용적인 중소형 차량 위주의 수요가 더 빠르게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또 고령층(60∼80대)의 경우 총등록 대수가 빠르게 증가했다. 지난 10년간 국내 총등록 대수 증가율은 2.3%였는데 60대와 70대가 나란히 6.7%, 80대는 5.5%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20대는 4.7%, 30대 -0.4%, 40대 0.1%, 50대 2.1%였다. 임 선임연구원은 "60∼80대의 1인당 등록 대수 증가율은 그에 미치지 못하는 점을 고려할 때 구매 성향 증가보다는 인구 증가로 인한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된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고령 운전자는 소득·신체기능 등의 변화로 운전이 용이하고 실용적인 차량에 대한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면서 "경제활동 영위 비중이 작아 가격대가 높은 차량으로의 교체 수요는 다소 작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작년 말 기준 국내 총등록 대수는 전년 대비 1.3% 증가한 2630만대로 집계됐다. 총등록 대수 증가율은 1990년 27.6%, 2000년 8.0%, 2010년 3.6%, 2020년 2.9%로 둔화하는 추세다.
임 선임연구원은 "고령화의 가속화가 생산가능인구 감소와 잠재성장률 하락 등으로 이어지면서 장기적으로 자동차 등록 대수가 순감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총등록 대수와 1인당 등록 대수 증가율 모두 0.6%로 전체 평균(2.3%·1.5%)보다 낮게 나타났다.
임 선임연구원은 "서울은 높은 생활비 등으로 인한 소득 대비 높은 부채 비율, 대중교통 인프라에 대한 접근의 용이성 등으로 인해 개인의 차량 보유 의사 증가 속도가 느리다"고 설명했다. /jinmh0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코스피 상장사 현금배당 30조…시가배당률 3.05%로 5년래 최고
- 가격 협상서 우위?…한국타이어, 대리점에 '영업비밀 요구' 제재
- 대형마트, '강동대전' 막 올랐다…신선 먹거리 승부수
- 코레일, 5월 황금연휴 열차운행↑…KTX 등 64회 추가운행
- 금융사 핀테크 출자규제 완화한다는 당국…비이자이익 확보 길 열리나
- 티웨이항공 직원도 소액주주연대 합류…“고용 안정 보장 원해”
- 방산·조선주 강세에…국민연금 1분기 주식 평가액 8조↑
- 4월 초순 수출, 전년比 13.7%↑…반도체·車가 견인
- 90일 유예에도…내수 부진·상호관세 리스크에 유통업계 ‘긴장’
- '항공권 해외직구' 주의보…'아고다·트립닷컴' 피해상담 2배↑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오늘 첫 경선토론 여는 국힘…김문수·안철수·양향자·유정복 대결
- 2한덕수 대행 4·19기념사 "위기극복에 국민 통합이 가장 중요"
- 3정치권 "4·19 정신 계승해야"
- 4민화, 시대를 넘나드는 예술 그리고 민화의 삶을 사는 손유영 작가
- 5전북대병원, 비수도권 최초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GMP 인증 획득
- 6김철우 보성군수 "지역 미래 인재 위해 아낌없는 교육지원"
- 7"의약품 기부·희귀질환 지원" 제약업계, 사회공헌활동 강화
- 8말레이 총리 "미얀마 휴전 연장할 듯…아세안, 인도적 지원"
- 9장흥군, 5월 2~5일 정남진 장흥 키조개축제 개최
- 10젤렌스키, 8월 5일께 日 오사카엑스포 방문 검토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