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즘'속 휘발유 수요 건재…작년 국내 생산·소비 역대 최대
경제·산업
입력 2025-03-23 10:45:01
수정 2025-03-23 10:45:01
김수윤 기자
0개
휘발유 차량 등록대수, 수출도 최대…전기차로 대체 '아직'

[서울경제TV=김수윤 인턴기자] 지난해 국내 휘발유 자동차 등록 대수와 국내 정유사들의 휘발유 생산량 및 내수량이 일제히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내연기관차 수요를 잠식할듯했던 전기차 열풍이 한풀 꺾이고 캐즘(Chasm·일시적 수요정체)이 찾아온 가운데 휘발유 수요가 아직 건재를 과시하고 있다.
23일 한국석유공사 페트로넷에 따르면 지난해 휘발유 생산량은 1억8847만배럴로, 전년의 1억7378만배럴 대비 8.5% 늘며 역대 최대를 달성했다. 휘발유 내수 소비량도 전년의 9036만배럴보다 5.2% 증가한 9504만배럴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이처럼 휘발유 생산량과 소비량이 꾸준히 증가하는 것은 휘발유 차량 증가로 휘발유 수요가 계속 늘고 있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 통계누리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에 등록된 휘발유 자동차 대수는 1242만대로 집계됐다. 기존 역대 최대치인 2023년의 1231만4000대 대비 10만대 이상 늘며 최대 기록을 새로 썼다.
국내 휘발유 자동차 등록 대수는 2016년 처음 1000만대를 돌파한 후 연평균 증가율 2.6%로 매년 꾸준히 늘고 있다. 전기차 등록 대수도 같은 기간 54만3900대에서 68만4244대로 25.8% 늘었다. 그러나 전년 대비 증가율은 2022년 68.4%, 2023년 39.5%에서 둔화하는 추세다.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세계 각국의 친환경 정책에 힘입어 승승장구하던 전기차는 시장에서 예상보다 빠르게 치고 나가지 못하고 있다.
전기차 수요가 주춤한 이유로는 아직 비싼 가격, 부족한 충전 인프라, 화재 위험을 비롯한 안전성 우려 등이 꼽힌다. 또 배출가스 문제로 경유 및 LPG(액화석유가스) 차량이 줄면서 상대적으로 휘발유 차량으로 수요가 옮겨갔다는 분석도 있다.
특히 최근에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으로 친환경 에너지 및 전기차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화석연료 생산 확대 가능성도 거론된다.
이성규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세계 에너지 수요는 계속 증가하고 지정학적 위험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올해 각국은 단기적으로 화석연료 소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청정에너지 공급을 빠르게 증대시키려 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런 상황에서 국내를 넘어 전 세계에서 휘발유 수요가 아직 탄탄해 국내 정유업계는 휘발유 수출로도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대한석유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정유 4사가 수출한 휘발유는 사상 최대인 1억1189만 배럴이었다. 특히 휘발유 수출은 전년보다 12.1% 늘어 전체 석유제품 중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석유협회 관계자는 "중국 등 일부 지역에서는 전기차 수요가 급증해 휘발요 수요가 둔화하고 있지만, 아직 전 세계적으로는 휘발유 차량 수요가 견조하고 대세가 전기차로 돌아섰다고 하기에는 애매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중장기적으로는 휘발유 수요가 감소할지라도 아직은 휘발유 차량을 비롯한 내연기관차가 수요가 줄지 않았다는 기조가 유효하다"고 덧붙였다. /suyu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롯데온, 2025년 유통상생대회서 산자부위원장상 표창
- 홍찬욱 코이로 대표, ‘2025 사회적기업의 날’ 고용부 장관 표창
- '고맙당’ 저당고추장, 아마존 프라임 칠리페이스트 1위 달성
- 쿠팡 택배기사 10명 중 6명 ‘주 5일 근무’…CJ는 0.15명 그쳐
- 역전할머니맥주, 인니에 첫 해외 매장…K주점 글로벌 진출
- 신세계사이먼 파주 프리미엄 아울렛, '크로우캐년' 팝업스토어 오픈
- 유클리드소프트, 일경험 사업 통해 청년 언론인 성장 지원
- 이엠텍, 연초 본연 맛 구현한 전자담배 ‘이토 하이브리드’ 출시
- G마켓,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표창…"셀러 상생 공로"
- 푸디스트, '고객 참여형 메뉴'로 워터파크 식음 트렌드 선도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해링턴 플레이스 풍무’ 견본주택 11일 오픈
- 2롯데온, 2025년 유통상생대회서 산자부위원장상 표창
- 3홍찬욱 코이로 대표, ‘2025 사회적기업의 날’ 고용부 장관 표창
- 4'고맙당’ 저당고추장, 아마존 프라임 칠리페이스트 1위 달성
- 5해남군, 정부 RE100 산업단지 조성 계획 '전폭 환영'…"재생에너지 메카로 우뚝 설 것"
- 6박형덕 동두천시장, 미군 공여지 반환 촉구…“국가가 약속 지켜야”
- 7쿠팡 택배기사 10명 중 6명 ‘주 5일 근무’…CJ는 0.15명 그쳐
- 8오산시 '의료취약 어르신 대상 방문 사업' 시범운영
- 9안산시, 7월 정기분 재산세 802억 원 부과해
- 10도성훈 인천교육감, 교통안전 캠페인 참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