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브랜딩 2년 이니스프리…‘제주’ 뗐더니 실적 뚝
경제·산업
입력 2025-04-03 17:56:53
수정 2025-04-03 22:27:12
이혜연 기자
0개
이니스프리, 지난해 영업익 16억원…전년比 84%↓
‘제주’ 이미지 탈피 리브랜딩에…“정체성 모호” 지적
라네즈·코스알엑스, 글로벌 시장서 선방…입지 축소

[앵커]
1세대 화장품 로드숍 중 하나인 이니스프리가 실적 부진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리브랜딩으로 돌파구 찾기에 나선지 2년이 지났지만 뚜렷한 성과는 없는데요. 이혜연 기잡니다.
[기자]
K뷰티 열풍 속 국내 화장품 시장을 이끌던 ‘1세대 로드숍’ 브랜드들이 부활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아모레퍼시픽그룹의 자회사 ‘이니스프리’는 여전히 부진한 실적을 보이고 있습니다.
수익성 악화에 리브랜딩이라는 승부수를 던졌지만 마땅한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이니스프리의 매출은 2246억원, 영업이익은 16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매출은 전년대비 17.97% 하락했고, 영업이익은 1년 새 84.15% 떨어졌습니다.
이니스프리의 실적 악화는 2020년부터 본격화됐는데, 코로나19 이후 급변한 화장품 소비 트렌드에 적응하지 못한 점이 원인으로 꼽힙니다.
지난 2020년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89% 급감한 70억원을 기록한 데 이어, 이듬해에는 영업이익이 마이너스(-) 10억 원으로 적자 전환하기도 했습니다.
이니스프리는 계속된 실적 부진을 타개하기 위해 2023년 기존의 ‘제주’ 이미지를 탈피하고 가상의 섬인 ‘뉴 아일(THT NEW ISLE)’로 새로운 아이덴티티 구축에 나서는 등 대대적인 리브랜딩을 단행했습니다.
그러나 자연주의 콘셉트와 제주산 원료를 강조했던 브랜드 정체성을 스스로 희석시키면서 차별성이 사라졌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이밖에도 아모레퍼시픽 브랜드 중 라네즈와 코스알엑스가 글로벌 시장에서 급성장하면서 그룹 내 이니스프리의 입지가 더욱 축소되는 상황.
업계에서는 모기업의 지속적인 지원에도 불구하고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는 이니스프리를 두고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한때 단일 브랜드 최초로 국내외 매출 1조원을 돌파하며 K뷰티의 대표 주자로 자리 잡았던 이니스프리.
최근 해외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실적 부진을 만회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서울경제TV 이혜연입니다. /hy2ee@sedaily.com
[영상취재 오승현 / 영상편집 김양희]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LCC 슬롯 전쟁…티웨이항공, 사업 다각화 속도
- 네카오, 3분기 실적 ‘맑음’…장기 성장 ‘미지수’
- 수가는 낮고 보령도 사업 철수...‘복막투석’ 소멸 위기
- 두산건설, ‘10·15 대책’ 후 첫 청약…“비규제 효과 톡톡”
- 신세계免, 인천공항점 ‘적자’…이석구 신임 대표 시험대
- 삼성·테슬라, AI칩 동맹 강화…머스크 “삼성과 AI5 생산”
- 푸디스트, 장애인 근로자 고용으로 사회적 가치 창출
- ‘동국제약과 함께하는 갱년기 극복 동행캠페인’ 성료
- 오리온, 진천통합센터 착공…"글로벌 수출 전진기지"
- '꼼수 인상' 교촌치킨, 결국 중량 200g 늘려 원상복구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경기북부 산업단지, ‘빈 땅의 10년’
- 2인천시, 교육청·동구와 손잡고 화도진도서관 새단장
- 3경관조명으로 물든 오산시, 70억 원의 투자
- 4인천시의회 조현영 의원, 제3연륙교 개통...송도 주민 혜택 촉구
- 5기장군, 제19회 기장붕장어축제 열린다
- 6인천시, 갈등조정에서 공론화로… 시민 참여 숙의 행정 본격화
- 7인천시, 수도권 규제완화 논의… 지역 역차별 해법 찾는다
- 8문경복 인천 옹진군수 “정확한 통계...정책의 기초”
- 9유정복 인천시장, ‘시민이 묻고 시장이 답하다’ 현장 소통
- 10인천시의회 이단비 의원, 시민 혜택과 소상공인 보호 동시에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