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저축은행, 핀테크 보안 강화...피싱방지 솔루션 '페이크파인더' 도입
금융·증권
입력 2025-04-22 09:54:20
수정 2025-04-22 09:54:20
김수윤 기자
0개
AI 기반 악성앱 탐지 고도화
디지털뱅킹 앱 보안체계 개선

[서울경제TV=김수윤 인턴기자] 하나저축은행은 지난 3월 디지털뱅킹 애플리케이션 ‘하나원큐 저축은행’에 에버스핀의 악성 앱 탐지 솔루션 ‘페이크파인더’를 도입했다고 22일 밝혔다.
페이크파인더는 국내 악성 앱 피싱 방지 솔루션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번 조치를 통해 하나저축은행은 원격제어 및 악성 앱을 이용한 보이스피싱 등 범죄 피해 예방을 위한 자체 탐지 시스템을 한층 고도화했다.
기존에 사용하던 블랙리스트 기반 보안 솔루션을 화이트리스트 기반의 페이크파인더로 전환하면서 운영 효율성과 사용자 편의성도 동시에 개선했다는 설명이다.
하나저축은행 관계자는 “검증된 악성 앱 탐지 기능은 물론 원격제어 앱 실행 탐지 성능에서도 페이크파인더가 가장 탁월했다”며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과의 연동 편의성과 운영 효율성까지 종합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말했다.
페이크파인더는 정상 앱 데이터베이스를 기준으로 악성 앱을 탐지하는 화이트리스트 방식으로 개발됐다. 전 세계 앱 마켓의 정상 앱 정보를 바탕으로 악성 앱을 식별하고, AI 기술을 통해 악성 행위까지 정밀 분석한다. 이러한 방식은 피싱 범죄자들이 주로 일회성 앱을 배포하는 특성을 역으로 이용한 것이다.
현재 ▲KB국민은행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NH농협은행 ▲KB국민카드 ▲삼성카드 ▲삼성생명 ▲한화손해보험 ▲신한투자증권 등 주요 금융사에서 페이크파인더를 운용 중이며, 하나저축은행 도입을 계기로 점유율 1위를 더욱 공고히 했다.
디지털 금융 환경에서 보안은 단순히 부가 서비스가 아닌 필수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한 전문가는 “금융사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될수록 보안 투자는 필수”라며 “고객 자산 보호에 실패한 금융사는 신뢰도 하락으로 심각한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2014년 설립된 에버스핀은 국내 금융권을 넘어 핀테크 및 공공기관, 일본·인도네시아·남아프리카공화국 등 글로벌 시장에서도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suyu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우리銀 불지핀 '1거래소-1은행 폐지'…당국, 신중론 고수
- 매각 무산 MG손보, 정리 수순…가교보험사 첫 사례
- 엑스게이트 "차세대 양자통신 보안 산업 선도해 나갈 것"
- 롯데손보, 결국 후순위채 콜옵션 보류…"하반기 재추진"
- '관세 휴전에도 관망' 코스피 2600대 보합 마감…코스닥 상승
- 바이오솔빅스, 2025년 범부처재생의료 기술사업 신규선정 과제 참여
- 키스트론 “코스닥 상장 통해 글로벌 비철 금속 메이커로 성장”
- 스튜디오삼익, 1분기 영업익 12억…전년비 3.6%↑
- 케이쓰리아이 “엔비디아 옴니버스 연동 플랫폼 고도화”
- 벡트, 심플랫폼과 AI 스마트러닝 관련 MOU 체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