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M 부산 이전 논란…“정치 외풍에 흔들”

경제·산업 입력 2025-05-17 08:00:07 수정 2025-05-17 08:00:07 고원희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정부 출자 지분 있어 불가능하지 않아”
“일반주주 이익과 충돌할 수 있어” 지적도

[사진=뉴스1]

[서울경제TV=고원희 인턴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HMM을 부산으로 옮기도록 하겠다”고 공언한 이후 민간 해운회사인 HMM의 본사 부산 이전 실현 가능성을 두고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이 후보는 정부 출자 지분이 많고, 직원들도 동의했다는 점을 거론하며 “마음만 먹으면 불가능하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부가 지분율을 앞세워 본사 이전을 강행하는 건 일반주주 이익과 충돌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HMM은 기타공공기관인 산업은행(36.02%)과 한국해양진흥공사(35.67%)가 지분의 71.69%(4월 17일 기준)를 보유 중이다. HMM 전신인 현대상선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공공자금이 투입된 결과다. 

공공기관이 지분 3분의 2 이상을 소유한 대주주인 만큼 정부가 본사 이전이라는 전략적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게 찬성 측 논리다.

반면 “민간기업이 정치적 외풍에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HMM은 공기업이 아닌 민간기업이고, 정부 지분도 언젠가는 매각해야 하기 때문.
본사 이전 문제는 정부가 아닌 HMM의 경영적 판단과 주주의 뜻에 따라 결정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특히 민주당이 이사의 충실 의무를 일반주주로까지 확대한 상법 개정안을 추진하는 입장에서 ‘대주주 지분으로 밀어붙인다’는 방침은 타당하지 않다는 비판도 있다. 

이재명 후보가 언급한 ‘직원 동의’ 부분도 오해 소지가 있다. HMM 직원 1890명 중 육상직은 1063명, 해상직은 827명이다. 이 가운데 육상노조(민주노총) 소속은 약 750명, 해상노조(한국노총) 소속은 약 600명이다.

민주당은 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북극항로개척추진위원회 협약식에 참여한 해상노조가 본사 이전에 동의했다고 말한다. 

그러나 정성철 HMM육상노조 위원장은 “해상노조가 협약식에 참석하긴 했지만 부산 이전에 동의하진 않았고, 협약식 내용에 ‘부산 이전’ 자체가 없다”며 “더구나 (본사 이전은) 해상노조가 아닌 생활 터전을 옮기는 육상노조의 동의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본사 이동의 실익이 없다는 주장도 했다.

이에 민주당 북극항로추진위 관계자는 “국민 세금으로 현대상선을 살려놓은 건데, 국가 지도자가 얼마든 비전을 제시할 수 있다”며 “부산의 해운 기자재와 한국해양대, 해양수산부, 해사법원까지 결합한다면 HMM 기업 가치는 더 올라갈 수 있다. HMM 육상노조도 향후 설득할 것”이라고 말했다. 

회사 직원들의 입장은 극명하게 갈린 것으로 알려졌다. HMM 전체 직원 1800여명 가운데 서울에서 영업 등 사무직을 담당하는 HMM육상노조(민주노총)는 900여명으로, 이들은 부산 이전을 반대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선원 중심으로 구성된 600여명의 HMM해운연합노조(한국노총)는 부산 이전 시 해상 운송 업무에 최적화된 만큼 찬성하는 분위기로 전해진다.

해운업계에서는 직원들의 극명한 입장차에 대해 부산 이전은 간단한 문제가 아니라고 진단한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영업 등 경영을 담당하던 서울 거점의 직원들은 본사를 부산으로 옮기면 대거 이탈할 수 있다”며 “반 해상 쪽 직원들은 근무지가 배 인 만큼 바다를 접한 부산 이전에 거부감이 없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highlight@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