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냉장고·세탁기에 50% 철강관세…韓 가전업계 타격
경제·산업
입력 2025-06-13 08:48:28
수정 2025-06-13 08:48:28
진민현 기자
0개
건조기·레인지 등에 철강 함유량만큼 부과
美, 관세 대상 철강파생제품 확대 추세

[서울경제TV=진민현 인턴기자] 철강 제품뿐 아니라 철강으로 만든 파생제품에도 관세를 부과한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냉장고와 세탁기 등 가전제품에 사용된 철강에도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미국 상무부는 12일(현지시간) 연방 관보를 통해 50% 철강 관세 부과 대상이 되는 철강 파생제품 명단에 제품을 추가했다고 밝혔다.
추가된 제품에는 냉장고, 건조기, 세탁기, 식기세척기, 냉동고, 조리용 스토브, 레인지, 오븐,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등이 포함됐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3월 철강에 25% 관세를 부과하면서 철강으로 만든 파생제품에도 철강 함량 가치를 기준으로 25% 관세를 부과했다.
특정 제품에 사용된 철강의 가치를 따져 거기에 25% 관세를 부과한다는 의미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일부로 철강과 파생제품에 대한 관세를 50%로 올렸다.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한국 가전기업들이 미국에서 세탁기 등 일부 제품을 생산하기는 하지만 한국과 멕시코 등 다른 나라에서 만들어 미국에 수출하는 물량이 상당해 이번 관세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에 추가된 제품에 대한 관세는 오는 23일부터 적용된다.
트럼프 행정부가 파생제품의 범위를 광범위하게 설정해 갈수록 많은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면서 철강 관세의 여파가 당초 예상보다 커지는 형국이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3월 초 철강 관세가 부과되는 파생제품을 처음 발표했을 당시에는 그 제품 수가 철강과 알루미늄을 합쳐 172개였으나 상무부는 이후 명단을 계속 업데이트하고 있다.
상무부는 지난달 철강·알루미늄 파생제품에 추가할 제품에 대해 각계 요청을 접수하는 절차를 마련했으며, 이후 미국 철강 기업들은 가전제품을 비롯한 다양한 제품에도 관세 부과를 요청했다.
미국 기업들이 철강 파생제품으로 지정해달라고 요청한 제품에는 보일러와 에어컨, 산업용 로봇, 농기구, 선박, 가구, 아령 등 철강을 사용하는 온갖 제품이 포함됐는데 상무부가 향후 이런 제품에도 관세를 부과할지는 불투명하다. /jinmh0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HD현대, ‘AI 자율·친환경 선박 기술’ 공동 개발 착수
- 효성, HVDC변압기 공장에 3300억 투자
- HD현대중공업, 중대재해 근절 위해 ‘더 세이프 케어’ 전면 시행
- SKC, 2분기 영업손실 702억원…적자 확대
- LIG, 수해복구 성금 1억5000만원 전달
- LG AI 모델 ‘엑사원 4.0’, 글로벌 평가서 11위 기록
- 한전KDN, 지하 전력구 감시시스템 특별 안전 점검 시행
- 홈플러스 한마음협의회 "조기 회생 촉구 호소문 대통령실 제출"
- 쿠팡이츠서비스, 여름철 온열질환 예방 캠페인
- 벤처 업계 "코스닥 활력 회복해야…구조 개선 필요"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HD현대, ‘AI 자율·친환경 선박 기술’ 공동 개발 착수
- 2우리銀, 지급보증부 커버드본드 2100억 발행
- 3효성, HVDC변압기 공장에 3300억 투자
- 4HD현대중공업, 중대재해 근절 위해 ‘더 세이프 케어’ 전면 시행
- 5SBI저축은행, '사이다뱅크 커피적금' 내달 1일 2차 판매 시작
- 6현대카드, 종합자산관리 서비스 '내 자산' 개편
- 7신한카드, '갤럭시Z 폴드7·플립7' 구매 고객 대상 이벤트 진행
- 8명현관 해남군수 "고품질 해남쌀 위해 벼 병해충 선제 대응 총력"
- 9NH농협카드, 경기도 가평군서 '수해복구 봉사활동' 실시
- 10목포시의회,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속 지급 위한 '원포인트 임시회' 개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