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챠, 회생 기로…1세대 토종 OTT 무너질까
경제·산업
입력 2025-07-10 19:39:56
수정 2025-07-10 19:39:56
이수빈 기자
0개

[앵커]
국내 1세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플랫폼 왓챠가 기업회생 갈림길에 섰습니다. 왓챠는 계속된 적자로 재정 상태가 악화되면서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빠졌는데요. 갚아야 할 부채는 많은데, 이용자가 급속도로 빠져나가면서 실적은 5년째 바닥을 기고 있습니다. 이수빈 기잡니다.
[기자]
국내 1세대 OTT 플랫폼 왓챠가 회생절차 기로에 놓였습니다.
벤처캐피탈(VC) 업계에 따르면 왓챠의 전환사채(CB) 투자사 중 한 곳은 지난 8일 법원에 왓챠의 기업 회생을 신청했습니다.
기업회생 신청 제도는 기업 자기자본의 10% 이상의 채권을 보유하고 있을 경우, 채권자가 기업과 협의 없이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번 회생 신청은 계속된 적자로 인해 왓챠의 재정 상태가 악화된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왓챠의 지난해 자본 총계는 -875억 원으로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빠진 상황입니다.
부채는 971억 원에 달하는 데 이 중 대부분이 1년 이내 상환해야 하는 유동부채입니다.
이 중 490억 원은 지난 2021년 발행한 CB로, 왓챠는 원리금조차 상환하지 못한 상황입니다.
실적도 부진합니다.
왓챠의 지난해 매출은 지난해 341억 원으로 전년 대비 21.9% 감소했습니다.
영업손실은 22억원을 기록해, 2019년 이후 5년 연속 적자를 이어갔습니다.
왓챠가 이처럼 적자의 늪에 빠진 건 OTT 플랫폼 간 경쟁 심화와 흥행작 부재로 인해 이용자 수가 크게 줄었기 때문입니다.
왓챠의 월간활성이용자 수는 지난 5월 기준 약 47만명으로, 3년 전인 2022년 5월 대비 67만 명 줄었습니다.
경쟁사들이 오리지널 콘텐츠와 멤버십 동맹 등을 무기로 빠른 속도로 이용자 층을 빨아들인 사이, 왓챠는 별다른 경쟁력을 보여주지 못하면서 점유율을 빼앗긴 겁니다.
왓챠 회생 지원 여부를 놓고 업계의 의견은 분분합니다.
넷플릭스가 국내 OTT 시장에서 절대적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토종 OTT를 지원해 국내 콘텐츠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는 주장이 나옵니다.
반면 다른 국내 OTT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경쟁력을 키우고 있는 만큼, 왓챠에만 특혜를 줘서는 안 된다는 의견도 제기됩니다.
왓챠는 투자사들과의 협의를 통해 회생 신청을 철회하고 비즈니스를 개선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서울경제TV 이수빈입니다. /q00006@sedaily.com
[영상취재 오승현 / 영상편집 김양희]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도요타, 생산량 전망치 상향 조정…1000만대 가능성도
- 트럼프, 파월에 불만 표출…연준의장직 유지 질문엔 "아마도"
- 독일 "패트리엇 2기, 우크라이나 지원"
- 안규백 국방장관, 폴란드 K2 전차 현지 생산 공장 방문
- 빅터차 "트럼프, 무역합의 대가로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구할듯"
- 정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불법 유통 특별 단속
- "디지털 자산 활성 기대"…비트마인에 몰린 서학개미
- 메가팩토리약국, 여름철 취약계층 건강 지원
- 다리 붓기 케어 브랜드 ‘레그랩’, 정제형 신제품 ‘라인포뮬러’ 출시
- 소비쿠폰 신청률 90%…재난지원금 때보다 하루 단축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서로에게 너무 당연한 태도가 불러오는 갈등
- 2안지선(헤일리온코리아 본부장) 부친상
- 3조현, 美상원·백악관 인사와 면담…"전략적 경제 협력 심화"
- 4도요타, 생산량 전망치 상향 조정…1000만대 가능성도
- 5트럼프, 파월에 불만 표출…연준의장직 유지 질문엔 "아마도"
- 6김건희특검, '집사게이트' 의혹 IMS·사모펀드 대표 동시 소환
- 7독일 "패트리엇 2기, 우크라이나 지원"
- 8안규백 국방장관, 폴란드 K2 전차 현지 생산 공장 방문
- 9빅터차 "트럼프, 무역합의 대가로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구할듯"
- 10정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불법 유통 특별 단속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