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LCC 국제선 탑승객, 대형항공사 3년 연속 추월
경제·산업
입력 2025-07-13 09:44:34
수정 2025-07-13 09:44:34
이지영 기자
0개

제주항공과 에어부산은 사고 여파로 탑승객이 줄었지만, 이스타항공·진에어 등이 이를 만회하며 전체 LCC 실적은 증가했다.
13일 국토교통부 항공 통계에 따르면 올해 1∼6월 국내 공항의 국제선 여객 수(출발·도착 합산)는 총 4582만9686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국내 LCC 8개사의 국제선 이용객은 1578만1630명(34.4%)이었다.
이는 대한항공(947만4488명)과 아시아나항공(618만1907명)을 더한 대형 항공사의 국제선 탑승객 1565만6395명(34.2%)보다 12만여 명 많다. 외항사(1439만1661명·31.4%)를 140만 명 가까이 웃돈다.
올해 상반기 국내 저비용항공사(LCC)의 국제선 탑승객 수가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 대형 항공사(FSC)와 외국 항공사를 모두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3년 이후 3년 연속 LCC가 국제선 점유율 1위를 기록한 것이다.
올해 상반기 LCC 국제선 이용객 수는 1578만여 명으로, 대한항공(947만 명)과 아시아나항공(618만 명)을 합친 대형 항공사 국제선 탑승객 수(1565만여 명)를 12만 명가량 앞섰다. 외국 항공사(1439만 명)보다도 약 140만 명 많았다.
LCC들은 엔데믹 전환 이후 일본, 동남아 등 중·단거리 노선에 집중하며 수요를 확대해왔다. 다만 LCC와 대형 항공사 간 점유율 격차는 지난해 상반기 2.6%포인트에서 올해 0.2%포인트로 좁혀졌다.
대형 항공사는 1년 새 탑승객이 약 150만 명 증가한 반면, LCC는 제주항공과 에어부산의 사고 여파로 증가 폭이 52만 명에 그쳤다.
제주항공은 올해 상반기 359만 명이 탑승해 지난해 같은 기간(432만 명)보다 73만 명 감소했다. 사고 이후 운항 편수 축소로 공급 좌석 수가 10% 넘게 줄었다.
그럼에도 제주항공은 진에어(347만 명), 티웨이항공(338만 명)을 제치고 국내 LCC 중 가장 많은 탑승객 수를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 에어부산 국제선 탑승객은 205만여 명으로, 작년 상반기(218만 명)보다 13만 명(5.9%) 감소했다. 1월 여객기 화재로 항공 수요가 많은 1∼2월 운항이 축소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에어서울도 올해 상반기 88만여 명이 이용해 작년 같은 기간보다 4만3000명(4.7%) 줄었다. 항공기 정비 문제로 인해 5월 말부터 이달 초까지 일부 노선이 비운항된 것이 영향을 미쳤다.
반면, 새 항공기를 도입하거나 노선을 증편한 저비용항공사(LCC)는 국제선 승객이 증가했다. 이스타항공은 1년 사이 74만 명에서 135만 명으로 81.2% 증가했다. 신규 항공기 4대를 도입하고 인천∼도쿠시마, 부산∼치앙마이 등 노선에 취항한 결과다.
진에어는 34만 명(11%), 에어로케이는 21만 명(58.8%), 티웨이항공은 18만 명(5.8%) 각각 증가했다. /easy@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올해 서울 아파트, 거래 가장 많이 늘어난 구간은 '26억 이상'
- 쿠팡 로켓배송, 인구감소지역 중소기업 성장 이끌어
- 포스코, 사우디 아람코 플랜트에 HIC 강재 첫 납품
- 대우건설, 천호동 532-2 일대 재개발사업 시공사로 선정
- 수도권·지방 격차 확대…전셋값 양극화 심화
- LG유플러스, 한전과 맞손…1인가구 돌봄사업 지원
- 엘앤에프, 재무부담에도 ‘LFP’ 승부수 띄운 속내는?
- [김효진기자의 heavy?heavy!] “이스타항공 타고 도쿠시마 라멘 한 그릇 어떠세요”
- "살모넬라 식중독 5년간 8000명 육박…여름철 집중"
- 조국혁신당 "선거제 개혁으로 내란세력 배제"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코스피 공매도 잔고 9조 돌파…3개월 새 2배 급증
- 2수성구 파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한국마사회 대구지사, 지역 주민 복지 증진 위한 업무협약
- 3김한종 장성군수, 11개 읍·면 순회 '이장과의 소통 간담회' 진행
- 4장성군,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칭 '스미싱' 경고
- 5영덕군-박형수 국회의원, 2026년 국비 확보 정책협의
- 6대구 중구, 공공디자인 진흥계획 수립 착수…도심 경관 새 단장 나선다
- 7대구상수도사업본부, 달서구 일부지역 흐린 물 출수 예상
- 8대구교통공사, ‘2025년 노사문화 우수기업’ 선정
- 9올해 서울 아파트, 거래 가장 많이 늘어난 구간은 '26억 이상'
- 10금융위, 자본규제 개선…"주담대 죄고 벤처투자 문 푼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