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쿠폰 효과'에 취업자 31만2000명↑…청년·건설업은 부진
경제·산업
입력 2025-10-19 08:00:04
수정 2025-10-19 08:00:04
강지영 기자
0개
19개월 만에 가장 큰 폭 증가세
[서울경제TV=강지영 인턴기자] 9월 취업자 수가 30만명 이상 늘며 19개월 만에 가장 큰 폭 증가세를 기록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도소매·숙박음식점업 등 서비스업 고용 호조세를 견인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제조업·건설업 등 양질의 일자리 감소와 청년층 고용률 하락 등 부문별 부진은 계속됐다.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가 17일 발표한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 달 취업자 수는 2915만4000명으로, 1년 전보다 31만2000명 증가했다. 작년 2월 32만9000명 늘어난 뒤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올해 들어 5월(24만5000명)을 제외하고 매달 10만명대를 맴돌았다.
서비스업 중심으로 고용 개선세가 뚜렷했다. 지난 7월 집행이 시작된 민생 회복 소비쿠폰이 일부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정부 분석이다.
도소매업 취업자는 2만8000명 늘며 2017년 11월(4만6000명) 이후 7년 10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다. 숙박·음식점업 취업자도 2만6000명 늘었다. 올해 3월(5만6000명) 이후 최대 폭 증가다.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취업자 수도 7만5000명 늘면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사업시설서비스업도 1만9000명 늘며 22개월만에 플러스로 전환했다.
반면 미국 관세정책과 건설업 불황 등에 따른 제조업·건설업 고용 부진은 계속됐다. 제조업은 6만1000명 줄며 15개월 연속 내리막을 기록했다. 건설업도 8만4000명 감소했다.
농림어업은 14만6000명 감소하면서 2015년 11월 이후 약 10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농림어가의 구조적인 감소세에 더해 최근 좋지 않았던 날씨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연령별로는 30대(13만3000명)와 60세 이상(38만1000명)에서 취업자가 증가했다. 30대는 2000년 7월 14만1000명 늘어난 뒤로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다른 연령대에서는 모두 취업자가 줄었다. 특히 청년층(15∼29세)은 14만6000명 줄며 감소 폭이 가장 컸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3만명 늘며 12개월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반면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8만5000명 줄며 작년 7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일용 근로자는 2000명 증가하면서 최근 2년 만에 처음으로 증가세로 전환했다. 상용·임시 근로자는 각각 34만명, 4만4000명 늘었다.
공미숙 국가데이터처 사회통계국장은 "사업시설·도소매업·숙박음식점업 등의 취업자가 증가로 전환하면서 취업자 수가 30만명 이상 늘었다"며 "소비·문화쿠폰 발행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소비쿠폰 효과가 한시적일 수 있다는 우려에는 "앞으로 지켜봐야할 부분"이라고 답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3.7%를 기록했다. 1982년 7월 월간 통계 작성이래 9월 기준으로 가장 높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70.4%였다. 청년층 고용률은 45.1%로 1년 전보다 0.7%포인트(p) 낮아져 17개월째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실업자는 30∼50대 중심으로 1만2000명 늘며 63만5000명을 기록했다. 실업률은 2.1%로 작년과 같았고, 청년층 실업률은 4.8%로 0.3%p 하락했다.
9월 비경제활동인구는 1600만9000명으로 11만6000명 감소했다. 작년 4월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세다.
쉬었음 인구는 252만1000명으로 4만2000명 늘었다. 쉬었음 청년은 3만4000명 줄었지만 40만9000명을 기록하며 40만명대를 웃돌았다. /jiyo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BYD 1위·지리 2위…中, 글로벌 전기차 시장 '압도'
- KDI, 경기 둔화 속 실업률 "착시"…'쉬었음' 청년 늘어난 탓
- 공정위-소비자원, 'AI워싱' 의심 사례 20건 적발
- "소재에 혁신"…올겨울 따뜻함 결정하는 '기술' 경쟁 본격화
- AI 확산, 청년 고용에 타격…노출 높은 업종일수록 감소 뚜렷
- 항공사들 ‘증편 경쟁’에 지연·결항 속출…승객 불만 폭주
- 퇴출 기조 강화되는데…상폐 심사받는 코스닥社 잇따라
- '불장'에 나타난 FOMO…개미 빚투 역대 최대 규모
- 4대 금융지주, '주주환원율 50% 시대' 문턱에…실적은 정점, 지속성은 과제
- 외국인 환전업자 10명 중 9명 중국인…위안화 환전은 2%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한-캐 방산협력 박람회 개최…캐나다 잠수함 사업 본격 공략
- 2지역아동센터 광주지원단, 2025년 성과공유회 개최
- 3입영의 문턱을 낮춘 현역병 입영제도
- 4한국GM, 내년 직영 서비스센터 전면 종료…협력센터 중심 체제
- 5北, 한미안보협의회 맹비난…"끝까지 대결" 위협
- 6경주새일센터, 여성 중간관리자 대상 AI 역량강화 워크숍 개최
- 7김천시, 깔따구 유충 정밀역학조사반 회의 개최
- 8컨트롤 유니온, ESG 진단 서비스 ‘ESG Insight Plus’ 론칭
- 9영천시, 창작스튜디오 18기 입주작가 찾는다
- 10포항시, 수산업 발전 교류화합대회 성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