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84% "신약 혁신, 개발만으론 부족…환자 접근성까지 보장돼야"

건강·생활 입력 2025-11-17 16:02:05 수정 2025-11-17 16:02:05 이금숙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서울경제TV=이금숙기자] 신약의 혁신성을 평가할 때 치료 효과뿐 아니라 환자의 실제 사용 가능 여부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국민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이 비원메디슨 후원으로 실시한 '신약 혁신성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결과, 응답자의 84%가 "신약 개발 후 접근성까지 보장돼야 혁신"이라고 답했다. "경제적 이유로 사용할 수 없다면 혁신이 아니다"라는 응답도 82.7%에 달했다.

이번 조사는 2025년 8월부터 10월까지 전국 만 20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암·중증질환 환자 및 보호자 200명 이상이 포함됐다.

◇신약 접근 "어려울 것" 70%…최대 장벽은 '경제적 부담'
조사 결과 응답자의 69.5%가 "본인이나 가족이 암 또는 중증질환을 겪을 수 있다"고 답했으나, 비슷한 비율인 69.7%는 "신약 사용은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약 접근의 최대 장애요인으로는 '경제적 부담'(54.2%)과 '정보 부족'(52.2%)이 꼽혔다. 특히 고령층일수록 신약 정보 부족을 더 큰 문제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암이나 중증질환을 겪은 응답자의 경험은 더욱 심각했다. 이들 중 47%가 '신약 치료를 고려한 적이 있다'고 답했으나, 그중 74%는 '신약 치료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응답했다.

◇정부·의료진·제약사 등 다주체 협력 필요
혁신 신약의 접근성 향상을 위해 가장 큰 역할을 해야 할 주체로는 정부(89%)가 꼽혔으며, 의료진(83.5%), 제약사(64.2%) 순이었다.

응답자의 87.2%는 "정부, 제약사, 의료진, 환자, 언론 등 모든 주체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답해, 접근성 개선을 사회 공통 과제로 인식하는 경향이 뚜렷했다.

각 주체별 기대 역할로는 정부의 '신약 가격 평가 유연성 확보'와 '급여 기준 완화', 의료진의 '신약 정보 제공과 환자 소통', 제약사의 '임상시험 확대와 합리적 가격 협상' 등이 제시됐다.

◇"20년 전 약가제도 틀 벗어나야"
전문가 심층 인터뷰에서는 약가·급여 제도의 구조적 개선이 가장 시급한 과제로 지목됐다. 현재 제도가 20년 전 틀에 머물러 있으며, 전문 인력 부족과 심사 절차 지연이 신약 접근의 주요 병목이라는 지적이다.

이지연 엠브레인 리서치 사업부 팀장은 "국민들은 신약 혁신을 기술적 성과를 넘어 실제 환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사회적 가치로 인식하고 있다"며 "효과뿐 아니라 접근성까지 포함한 '혁신의 재정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양지혜 비원메디슨코리아 대표는 "혁신이 연구실을 넘어 환자의 삶에서 증명되어야 한다는 국민 인식을 확인했다"며 "정부와 의료진, 환자단체 등 모든 주체가 협력할 때 혁신이 환자에게 닿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ksle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이금숙 기자

kslee@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