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코스피 상승률, 역대 대통령 중 최하위

문재인 대통령 취임 후 2년간 코스피는 약 5% 하락하고 코스닥지수는 16%가량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역대 대통령 중 코스피 상승률은 최하위이고 코스닥은 중위권 성적이다.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문 대통령 취임(2017년 5월 10일) 후 약 2년이 지난 8일 코스피는 2,168.01로 마감, 취임 직전 거래일인 2017년 5월 8일(2,292.76)보다 5.44% 떨어졌다.
코스피는 문 대통령 취임 후 기업실적 개선과 주주 친화 정책 강화 등 정책 기대감에 힘입어 작년 1월 29일 장중 한때 사상 처음으로 2,600선을 돌파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 뒤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불안, 기업실적 부진 등 대내외 악재의 영향으로 작년 10월 말께 2,000선 밑으로 후퇴했고 올해 들어 소폭 회복한 상태다.
코스피 출범(1983년 1월 5일) 이후 취임한 대통령 7명의 코스피 등락률로 보면 문 대통령의 취임 2년째 증시 성적은 최하위권이다.
김대중 전 대통령 때는 한국경제가 외환위기에서 빠져나오면서 취임 후 2년간 코스피가 60.36%나 뛰어올랐다.
노무현(60.17%)·김영삼(32.71%)·노태우(28.69%) 정부 때도 2년간 코스피는 두 자릿수 상승률을 보였다.
그러나 증시가 박스권에 갇힌 박근혜 정부(-2.12%)와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은 이명박 정부(-4.37%) 때는 코스피가 하락했다.
코스닥지수는 문재인 정부 2년간 혁신성장 지원, 코스닥 활성화 대책 등에 힘입어 비교적 견조한 상승세를 나타냈다.
코스닥지수는 지난 8일 745.37로 마감했는데, 이는 문 대통령 취임 직전(643.39)보다 15.85% 오른 수준이다.
코스닥지수도 증시가 활황세를 보인 작년 1월 920대까지 치솟았으나 그 뒤 미중 무역분쟁 등 여파로 상승 폭의 상당 부분을 반납했다.
문 대통령 취임 후 2년간 코스닥지수 상승률은 코스닥 출범(1996년) 후 역대 대통령 5명 가운데 3번째다.
김대중 정부 때는 2년간 코스닥이 정보기술(IT)·닷컴 열풍의 영향으로 168.87%나 급등했고 박근혜 정부 때도 창조경제 정책 등에 힘입어 17.59% 상승했다. 노무현 정부 때는 13.40% 올랐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21.29%) 때는 금융위기의 후유증에 코스닥도 하락세를 기록했다./김성훈기자 bevoic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코스피 공매도 잔고 9조 돌파…3개월 새 2배 급증
- 금융위, 자본규제 개선…"주담대 죄고 벤처투자 문 푼다"
- 민생 쿠폰 수수료 인하 협의 결렬…카드사 "역마진 우려"
- 정부, 모바일 신분증 발급 민간앱 확대…4개 은행 추가 선정
- 8월 vs 10월 금리 인하 시점은?…가계부채·집값·관세 변수
- 카드·저축銀·온투·대부업까지…2금융권 가계대출 '절반 감축' 비상
- JP모건 "지배구조 개혁 땐 코스피 5000 간다"…투자의견 '비중확대'
- 비트코인, 11만8000달러 넘긴 뒤 숨고르기
- 엔비디아, 주가 4일째 상승 마감…시총 4조 달러 돌파
- 국내 증시 '시총 3000조' 시대 열었다…추가 상승에 무게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대표이사부터 바꾸는 코스닥 M&A…자금조달 차질에 '혼선'
- 2코스피 공매도 잔고 9조 돌파…3개월 새 2배 급증
- 3수성구 파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한국마사회 대구지사, 지역 주민 복지 증진 위한 업무협약
- 4김한종 장성군수, 11개 읍·면 순회 '이장과의 소통 간담회' 진행
- 5장성군,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칭 '스미싱' 경고
- 6영덕군-박형수 국회의원, 2026년 국비 확보 정책협의
- 7대구 중구, 공공디자인 진흥계획 수립 착수…도심 경관 새 단장 나선다
- 8대구상수도사업본부, 달서구 일부지역 흐린 물 출수 예상
- 9대구교통공사, ‘2025년 노사문화 우수기업’ 선정
- 10올해 서울 아파트, 거래 가장 많이 늘어난 구간은 '26억 이상'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