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로 기업 재무적 부실 해소 못한다"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기업의 인수합병(M&A)이 재무적 부실을 줄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은 BOK경제연구 '기업인수의 재무적 성과:한국의 사례' 보고서를 통해 "국내 기업인수는 주로 재무적 부실과 관련해 발생하나 실제로는 부실을 해소하는 역할을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2004년~2017년 국내 상장기업 인수합병 중 사실상 경영권이 바뀌지 않은 사례를 제외한 인수합병 총 1,379건을 분석한 결과다.
그 결과, 인수합병 대상이 된 기업의 절반 이상이 재무적 부실 상태였으며, 인수합병 이후 피인수기업과 인수기업 모두 부실이 더 커졌다.
피인수기업 가운데 2년 연속 적자를 기록한 곳이 53%, 자본잠식상태인 기업은 61%였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내지 못하는 등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기업은 71%였다.
또 피인수기업의 재무상태가 나쁠수록 인수합병 발생 가능성이 커졌다.
피인수기업의 모회사에 재무적 부실이 심할 경우에도 합병 발생 가능성이 올라갔다.
이렇듯 기업 재무상황을 개선하려는 목적에 인수합병이 이뤄지나 합병 후 피인수기업과 인수기업의 재무적 성과는 오히려 나빠졌다는 것이다.
분석 결과 피인수기업은 인수합병이 이뤄진 지 2년 후를 기준으로 총자산순이익률(ROA)이 4.9% 하락했다.
인수기업은 총자산순이익률이 4.8% 하락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조은아 부연구위원은 "M&A 시장이 효율적으로 작동하지 않았다는 의미"라며 "미국 등에서 재무적으로 건전한 기업들이 인수합병을 통해 시너지를 추구한다거나 비효율적으로 운영되는 기업을 인수해 효율성을 높이는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인수합병 시장의 질적인 부분에 대해서도 관심을 둬야 한다"고 덧붙였다./고현정기자go8382@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전국화 과제' iM뱅크, 포스트 황병우 시대 열리나
- MBK 중징계 직격탄…롯데카드, 대주주 리스크 고조
- '고환율 쇼크'에 외국인 엑소더스…개미는 '저가 매수'
- 농협중앙회, 임원 내부통제 관리책임 체제 도입 추진
- KB금융, 독립유공자 후손 소상공인 대상 '명예를 품은 가게' 2호점 현판식 개최
- iM금융지주, 규범준수경영시스템 ISO37301 인증 획득
- 알펜시아 리조트 ‘스키700’, 내달 4일 개장
- NH농협은행 "내년 녹색·전환금융 추진 활성화, 공시이행 역량 강화"
- 범농협, 22만명 연체 정보 삭제…"신용사면 통한 포용금융 시행"
- 수출입銀, 셀트리온 미국 생산시설 M&A 3500억원 지원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LS그룹 3세’ 구동휘 사장 승진…‘조직 안정’ 인사
- 2K-원전 ‘중동 넘어 유럽’…튀르키예 30兆 시장 열렸다
- 3'전국화 과제' iM뱅크, 포스트 황병우 시대 열리나
- 4MBK 중징계 직격탄…롯데카드, 대주주 리스크 고조
- 5“배달앱 가격은 점주마음”…교촌치킨, ‘책임 회피’ 도마
- 6전기차 20만대 시대…제네시스·BMW 등 신차 ‘봇물’
- 7'고환율 쇼크'에 외국인 엑소더스…개미는 '저가 매수'
- 8삼성전기 장덕현, ‘그릿 리더십’…‘1조 클럽’ 청신호
- 9제네릭 약가 인하에 업계 반발…“R&D 타격 불가피”
- 10삼성전자, 5년만 임원인사 확대…AI·로봇 인재 중용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