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모, 자율주행차 기업 나브야에 전략적 투자…“동북아 시장 공략”

에스모가 유럽 증시에 상장된 글로벌 자율주행차 기업 나브야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해 자율주행 사업을 본격화한다.
에스모는 프랑스 리옹의 자율주행차 기업인 나브야(Navya)에 2000만 유로(한화 약 263억원)의 전략적 투자를 진행한다고 1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전환사채 방식으로, 지분 전환시 2대 주주(지분율 20.1%)로 등극한다. 에스모는 한국을 포함해 일본, 중국 등 동북아시아 지역에서의 나브야 자율주행 차량 판매 및 관련 서비스를 독점하겠다는 목표다.
에스모 관계자는 “나브야의 기술을 활용해 국내에서 전기차 기반 자율주행 챠량을 직접 조립 및 양산하고 ,국내와 일본, 중국 등에 자율주행 차량 및 모빌리티 서비스를 판매하는 것이 주요 사업 모델”이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자율주행차 서비스 플랫폼 기업으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로넥스트 상장사인 나브야는 세계 최초로 자율주행 셔틀버스 상용화에 성공해 차량을 개발하고 생산하는 기업으로, 현재까지 전세계 20여 개국에 자율주행 셔틀버스를 150대 판매했다. 자율주행 셔틀버스로는 세계 최초로 미국 교통부의 안전보장을 획득한 유럽 최고의 자율주행 선도기업이다. 유럽 내에서도 가장 빠른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을 완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브야가 현재 테스트 중인 자율주행 차량은 최고 단계인 레벨 5로, 운전대가 없는 완전 무인차다. 모든 환경에서 시스템이 운전하고 사람은 관여하지 않는다.
현재 나브야의 15인승 자율주행 셔틀버스는 오스트리아, 덴마크, 중국, 일본, 싱가폴, 미국 등 세계 각국에서 서비스가 이뤄지고 있다. 주로 공항, 대학 캠퍼스, 병원 및 놀이공원 등에서 활용된다. 최대 15명이 탑승 가능하다. 6인승 자율주행 택시 모델 역시 개발이 완료돼 현재 유럽, 미국, 호주에서 총 25대가 실증 테스트 중에 있다.
회사 관계자는 “기존에 보유한 공장을 활용해 국내에서 완성차 조립을 진행할 것”이라며 “완성된 차량을 국내와 중국의 서비스 업체에 판매하고자 사전 협의 중이며, 올 하반기 내 20~30대 정도의 판매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노약자의 차량 이동에 어려움이 있는 특정 지역 등을 대상으로 지자체와 연계한 자율주행 택시(Autonom CAB) 서비스도 추진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에스모는 와이어링 하네스 전문기업으로, 1994년 설립 이후 완성차 기업에 납품하는 내연기관용 와이어링 하네스를 생산해왔다. 최근에는 자율주행 및 전기차 등과 관련한 사업 다각화 및 고부가가치 신규 사업 추진에 집중하고 있다. 현재 보유한 계열사로는 디에이테크놀로지, 엔디엠 등이 있다. 이번 나브야 지분 투자는 자율주행 모빌리티 분야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이뤄졌다.
/배요한기자 byh@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전국화 과제' iM뱅크, 포스트 황병우 시대 열리나
- MBK 중징계 직격탄…롯데카드, 대주주 리스크 고조
- '고환율 쇼크'에 외국인 엑소더스…개미는 '저가 매수'
- 농협중앙회, 임원 내부통제 관리책임 체제 도입 추진
- KB금융, 독립유공자 후손 소상공인 대상 '명예를 품은 가게' 2호점 현판식 개최
- iM금융지주, 규범준수경영시스템 ISO37301 인증 획득
- 알펜시아 리조트 ‘스키700’, 내달 4일 개장
- NH농협은행 "내년 녹색·전환금융 추진 활성화, 공시이행 역량 강화"
- 범농협, 22만명 연체 정보 삭제…"신용사면 통한 포용금융 시행"
- 수출입銀, 셀트리온 미국 생산시설 M&A 3500억원 지원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LS그룹 3세’ 구동휘 사장 승진…‘조직 안정’ 인사
- 2K-원전 ‘중동 넘어 유럽’…튀르키예 30兆 시장 열렸다
- 3'전국화 과제' iM뱅크, 포스트 황병우 시대 열리나
- 4MBK 중징계 직격탄…롯데카드, 대주주 리스크 고조
- 5“배달앱 가격은 점주마음”…교촌치킨, ‘책임 회피’ 도마
- 6전기차 20만대 시대…제네시스·BMW 등 신차 ‘봇물’
- 7'고환율 쇼크'에 외국인 엑소더스…개미는 '저가 매수'
- 8삼성전기 장덕현, ‘그릿 리더십’…‘1조 클럽’ 청신호
- 9제네릭 약가 인하에 업계 반발…“R&D 타격 불가피”
- 10삼성전자, 5년만 임원인사 확대…AI·로봇 인재 중용



























































댓글
(0)